$\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천지역 학부모와 어린이 보육시설 원장들의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에 대한 인식 및 소비행동 조사
Study on Recogni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of Quality-Certified Children's Preferred Foods of Nursery Directors and Parents in Jecheon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3 no.3, 2017년, pp.353 - 362  

민성희 (세명대학교 바이오식품산업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quality-certified children's preferred foods as well as consumption behaviors of nursery directors and parents. Methods: A total of 243 nursery directors and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were surveyed using questionnaires. Results: Parents' 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천지역 미취학 어린이 보육시설 원장들과 학부모의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에 대한 인식과 소비 행동 조사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교육내용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진행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총 243명으로 어린이 보육시설 원장 99명(4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가 자주 섭취하는 가공식품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4%를 나타내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어린이가 자주 섭취하는 가공식품들은 대개 열량이 높은 편이며 당류와 지방이나 나트륨, 각종 식품첨가물 등 위해 가능 한 성분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Lee YM 등 2011, Yoon TH 등 2011) 당류 함량이 높은 음식은 어린이들의 과체 중이나 비만과도 관련이 있다(Jung JH 2008, Yang YS 등 2013). 그러므로 어린이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하여 기호 식품에 대한 기준 설정과 규격관리의 강화가 필요하다.
어린이 기호 식품 품질인증 제품에 대한 인식 정도에서 학부모의 인지 점수가 높은 문항은 무엇인가? 어린이 기호 식품 품질인증 제품에 대한 인식 정도는 대부분 문항에서 어린이 보육시설 원장들과 학부모의 인식 간에 유의 적인 차이를 보였고 학부모의 인지 점수가 낮은 문항들이 많았다. 학부모의 인지 점수가 높았던 두 문항은 식품 안전 기준과 영양소 강화에 관한 문항이었고(각 p<0.001), 제도와 품질인증 제품의 특성 인식에 대하여는 어린이 보육시설 원장들의 인식이 높았다.
현재 국내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현황은 어떠한가? 2009년부터는 안전하고 영양소 균형을 이룬 기호 식품의 제조 가공 유통 판매를 권장함을 목적으로 어린 이식생활안전관리특별법에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기준을 제정하고 지속적으로 타당성 검토 및 개선 조치를 해오고 있다(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09). 현재 국내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에는 안전, 영양, 식품첨 가물 사용에 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며 품질인증마크를 부착하도록 하고 있으나 아직은 소비자 인식이 부족하고 품질인증마크를 부착한 식품의 종류도 제한적이어서 구매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Kyung SB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i MK, Bae YJ, Kim MH, Lee OS. 2010.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by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parents in the Chungnam area. J Korean Diet Assoc 16(1):39-48. 

  2. Jang HJ, Kim JW. 2009. A study on parents'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n foodservice and nutrition information service in child-care centers. Korea J Child Care Educ 58:1-19. 

  3. Jang JH, Jang MS, Cho KY. 2012. Investigation of safety children's favorite foods in the school zone. Korean J Food Nutr 25(2):398-406. 

  4. Jung HM. 2014. Effects of obesity education program on self-efficacy, stress, appearance satisfaction for primary 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Mokpo University, Mokpo, Korea. pp 32-64. 

  5. Jung JH, Song KH, Yoon JY. 2009. A study on the parents' perceptions of children's favorite foods. Korean J Community Nutr 14(1):67-76. 

  6. Jung JH. 2008.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ir parents for favorite food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Yongin, Korea. pp 4-5, 27-34. 

  7. Kang MJ. 2010. Comparative analysis of child nutrition education needs: Care givers vs. parent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p 65-68. 

  8. Kim HJ, Kim HA. 2012. Percep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among school administrators, parent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at a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18(4):385-399. 

  9. Kim JM, Lee MH, Lee NH. 2014. Perception on nutrition labeling of the processed food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in Daegu area. Korean J Food Nutr 27(6):1107-1118. 

  10. Kim JW, Ha AW, Yoo KS. 2008. Mother's nutrition knowledge and their preschoolers' obesity and dietary habits. Korean J Food Cult 23(5):646-654. 

  11. Kim KN, Lee AR, Lee HY, Kim KR, Hwang JY. 2013. Need-based development of tailored nutritional education materials about food additives in processed foods for elementary-school student. J Nutr Health 46(4):357-368. 

  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2. Food insecurity around school.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SS12SA062R&vw_cdMT_ZTITLE&list_idD21C_2012&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Assessed June 1, 2017. 

  13. Kyung SB. 2014. Consumer perception on children's favorite foods quality certification mark.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pp 73-77. 

  14. Lee EJ, Ryu HK. 2016. A study on food allergy occurrence and parental perceptions of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in school food servic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7(3):521-531. 

  15. Lee HJ. 2015. Study on nutritional and hygiene knowledg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pp 36-47. 

  16. Lee JE, Jung IK. 2005. The perception of parents on the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education of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Home Econ Assoc 43(7):67-77. 

  17. Lee JH, Kang EJ, Kim CI. 2011.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nutritional problems and food intakes,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realities of nutrition education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 teachers. Korean J Community Nutr 16(6):636-646. 

  18. Lee JS, Choi YS, Bae BS. 2011. Association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middle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Korean J Nutr 44(2):140-151. 

  19. Lee YH, Kim NH. 2015.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 maps on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nutrition education. Korean J Childcare Educ 11(4):19-37. 

  20. Lee YM, Na BJ, Lee YS, Kim SC, Lee DH, Seo IW, Choi SH, Kim DH, Ha SD. 2011. Risk assessment of sweetners in children's snack. J Food Hyg Saf 26(4):448-453. 

  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Current food safety issue.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board/boardDetail.do?menu_no2843&bbs_nobbs221&ntctxt_no1062375&menu_grpMENU_NEW05. Assessed May 10, 2017. 

  2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5.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23.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09. Special law of childrens food safety.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C%96%B4%EB%A6%B0%EC%9D%B4%20%EC%8B%9D%EC%83%9D%ED%99%9C%EC%95%88%EC%A0%84%EA%B4%80%EB%A6%AC%20%ED%8A%B9%EB%B2%BC%E3%85%91%E3%84%B9%EB%B2%95#undefined. Assessed June 1, 2017. 

  24. Park OH, Lee KA. 2008. The comparison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food purchasing and consumer competency for a healthier diet by their attitude toward the meal management. Korean J Nutr 41(4):353-364. 

  25. Park SY, Lee YM. 2017. Mother's parenting style at meal time and their preschooler's dietary behavior. Korean J Community Nutr 22(1):13-21. 

  26. Pyun JS, Lee KH. 2010.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etary habits of mothers and their preschoolers and the mother's need for nutritional education for preschoolers. J Korean Diet Assoc 16(1):62-76. 

  27. Yang YS, Seo JM, Mun SJ, Kim TS, Kim BK, Choi SY, Cho BS, Ha DY, Kim ES. 2013. A survey on the calorie and nutrient in children-favored food within green zone in Gwangju. J Food Hyg Saf 28(4):299-305. 

  28. Yoon TH, Lee S, Shin HJ, Lee SY, Hong, No KM, Park KS, Leem D, Lee K, Jeong J. 2011. Study of trans fatty acids and saturated fatty acids in child-favored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1):1562-15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