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태풍 내습 유형별 극한기후현상 강도와 피해 규모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Intensity of Extreme Climate Events and Magnitude of Damages for Different Typhoon Tracks in the Republic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2 no.2, 2016년, pp.450 - 465  

이승욱 (국립기상과학원 연구기획운영과) ,  안숙희 (국립기상과학원 연구기획운영과) ,  임병환 (국립기상과학원 연구기획운영과) ,  최광용 (제주대학교 지리교육전공)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5년(2000~2014) 간 우리나라에 경제적 피해를 야기한 태풍 내습 시 시군 지자체별 극한기후현상의 강도와 재산 피해 규모 간 관련성의 공간적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우리나라 전국 평균적으로 태풍 내 습 시 발생하는 피해 규모는 태풍에 의한 강풍 호우 등 극한기후현상의 강도와 최대 50%의 관련성을 나타내지만, 그 상관정도는 공간적으로 시군 행정구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경계로 남동부지역 대부분의 시군 지자체에서는 호우 강도와 재산 피해 규모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북서부지역 대부분의 시군 지자체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적으로 강풍 강도는 일부 내륙 지역 및 북동부 산간지역을 제외하면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에서 재산 피해액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산출한 우리나라 시군별 재산 피해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극한기후현상 유형분류(호우 우세형, 호우-강풍 복합형, 강풍 우세형) 분포도는 지자체별 태풍 피해 저감 정책 수립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 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nsity of extreme climate events driven by typhoons and the magnitude of economic damages at local municipality scales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recent 15-year period (2000~2014). As res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최근 15년 동안(2000~2014)의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이하 영향태풍) 통계 자료, 한반도 태풍 내습 시 지상 기상 관측 자료, 태풍 내습 시 발생한 피해액 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우선, 기상청에서 발간하는 ‘태풍백서(2011)’와 ‘태풍분석보고서(2012, 2013, 2014)’의 기록을 분석하여 한반도에 피해를 야기한 태풍을 선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15년(2000~2014) 간 우리나라 각 시군구별 태풍 피해액 자료와 약 500여개의 종관기상관측자료 및 자동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태풍 내습 시 시군 지자체 공간 단위의 극한 기후현상과 태풍 피해 규모 간 상호 관련성의 공간분포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각 시군별 태풍 피해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극한기후 현상의 유형에 관한 공간분포도를 제시하여 지자체단위 태풍 피해 저감 정책 수립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15년(2000~2014) 간 우리나라에 피해를 야기한 태풍 내습 시 시군 지자체별 극한기후현상의 강도와 태풍 피해 규모 간 관련성의 공간분포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태풍 내습 기간 평균 호우(1시간최다강수량)와 강풍(10분최대풍속) 등 극한기후현상의 강도와 시군별 1인당 재산 피해 자료 및 태풍 피해 표준화 지수(Standardized Typhoon Damage Index: STDI)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15년(2000~2014) 간 우리나라 각 시군구별 태풍 피해액 자료와 약 500여개의 종관기상관측자료 및 자동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태풍 내습 시 시군 지자체 공간 단위의 극한 기후현상과 태풍 피해 규모 간 상호 관련성의 공간분포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각 시군별 태풍 피해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극한기후 현상의 유형에 관한 공간분포도를 제시하여 지자체단위 태풍 피해 저감 정책 수립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대저기압에 의한 피해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열대저기압에 의한 피해는 열대저기압의 강도 및 상륙지점뿐만 아니라 각 지역별 인구 및 사회경제적 조건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IPCC, 2012; Smith, 2013). 즉, 동일한 강도의 열대저기압이 접근하더라도 각 국가별로 또는 지역별로 태풍 피해 저감을 위한 사전 준비 정도에 따라 그 피해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
우리나라의 태풍에 의한 경제적 피해의 예는? 태풍에 의한 경제적 피해는 장기간 우리나라 자연재해 평균 피해액의 절반 이상을 초래하며, 단일 태풍 내습 시에도 강풍과 호우 현상에 의해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국민안전처, 2014; 안숙희 등, 2015). 1995년 태풍 재니스(JANIS)의 경우 그 피해액이 4,563억 원에 이르러 단일 태풍 내습만으로도 당해 연도 자연재해 총 피해액의 76%를 차지하였다. 21세기에 접어들어 태풍의 예측 기술이 발달하고 태풍 방재시설이 전국적으로 확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태풍 피해 규모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박종길 등, 2006; 김선영 등, 2015). 2002년 태풍 루사(RUSA)와 2003년 매미(MAEMI)로 인한 재산 피해액은 각각 51,479억 원과 42,225억 원으로 1904∼2014년 간 태풍 재산 피해액 규모 중 상위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2012년 태풍 볼라벤(BOLAVEN)과 덴빈(TEMBIN)의 내습은 2012년도 자연재해 총 피해액의 58%(6,365억 원)를 차지하였다(국민안전처, 2012).
열대저기압에 의한 피해 연구는 주로 무엇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가? 즉, 동일한 강도의 열대저기압이 접근하더라도 각 국가별로 또는 지역별로 태풍 피해 저감을 위한 사전 준비 정도에 따라 그 피해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 대부분의 열대저기압(이하 태풍) 관련 피해 연구는 주로 기상학적 또는 기후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사회과학적 요소를 결합하여 취약성 측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한 연구들은 드물다. 기상학적 관점에서는 태풍의 이동 경로 추적(이동규 등, 1992; 최기선 등, 2012; Cho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국민안전처, 2000-2014, 재해연보. 

  2. 기상청, 2011, 태풍백서. 

  3. 기상청, 2012-2014, 태풍분석 보고서. 

  4. 김선영.조창현.이승호, 2015, 한반도에서 태풍에 의한 피해액과 피해지역의 변화, 기후연구, 10(2), 121-135. 

  5. 김주홍.허창회.백종진, 2002, 1951-2001 동안 한반도 주변을 통과하는 태풍에 대한 연구, 대기, 12(3), 436-439. 

  6. 김철희.남기표.이종재, 2015,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기상의 취약성 지수 정량화 연구-태풍을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24(2), 190-203. 

  7. 박두선.허창회.황종국, 2008, 경상북도에서 태풍에 의한 영향과 유형별 진로 특성 분석, 대기, 18(4), 525-532. 

  8. 박종길.김병수.정우식.김은별.이대근, 2006,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태풍의 통계적 특성 변화, 대기, 16(1), 1-17. 

  9. 안숙희.김백조.이성로.김호경, 2008, 한반도 영향 태풍의 이동경로에 따른 재해 특성, 한국방재학회논문집, 8(3), 29-36. 

  10. 안숙희.박기준.김정윤.김백조, 2015, 한반도 기상재해의 원인별 발생 및 피해 특성,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5(2), 133-144. 

  11. 윤용훈.김충기, 1999, 태풍의 이동경로에 따른 해일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35(3), 344-353. 

  12. 이동규.장동언.위태권, 1992, 한반도에 접근하는 태풍, 1960-1989, 한국기상학회지, 28(2), 149-163. 

  13. 이승욱.최광용, 2013, 태풍 내습 시 남한의 극한 강수현상의 시.공간적 패턴,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3), 384-400. 

  14. 이은걸.이현영, 1998, 한국의 태풍재해의 공간분포와 발생요인, 대한지리학회지, 33(2), 179-190. 

  15. 장기호.정진임.차영민.양하영.최영진.권원태, 2011, 최근 강수 추세 및 가뭄년도의 특성,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1(1), 54-64. 

  16. 차은정.고성원.양경조.원성희.임명순, 2009, 태풍 진로 유형과 한반도 강수량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9(3), 64-67. 

  17. 최기선.차유미.김태룡, 2012, 한반도에 상륙한 태풍 빈도수의 십년간 변동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33(1), 49-58. 

  18. Blake, E. S., Kimberlain, T. B., Berg, R. J., Cangialosi, J. P., and Beven II, J. L., 2013, Tropical cyclone report: Hurricane Sandy, National Hurricane Center. 

  19. Chang, H.J., Franczyk, J., and Kim, C.H., 2009, What is responsible for increasing flood risks? The case of Gangwon Province, Korea, Natural Hazards, 48(3), 339-354. 

  20. Choi, K.S., Cha, Y.M., and Kim, T.R., 2012, Cluster analysis of tropical cyclone tracks around Korea and its climatological properties, Natural hazards, 64(1), 1-18. 

  21. Climate and Development Knowledge Network (CDKN), 2012, Managing climate extremes and disasters in Asia: Lessons from the IPCC SREX report, Climate and Development Knowledge Network. 

  22. Fritz, H.M., Blount, C.D., Thwin, S., Thu, M.K., and Chan, N, 2009, Cyclone Nargis storm surge in Myanmar, Nature Geoscience, 2(7), 448-449. 

  23. Guha-Sapir, D., Below, R., and Hoyois, P., 2015, EM-DAT: The CRED/OFDA international disaster database, www.emdat.be, Universite Catholique de Louvain, Brussels, Belgium. 

  24. IPCC, 2012, Field, C.B., Barros, V., Stocker, T.F., Qin, D., Dokken, D.J., Ebi, K.L., Mastrandrea, M.D., Mach, K.J., Plattner, G.-K., Allen, S.K., Tignor, M., and Midgley, P.M., 2012, Managing the risks of extreme events and disasters to advance climate change adaptation: special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Moon, I.J., Oh, I.S., Murty, T., and Youn, Y.H., 2003, Causes of the unusual coastal flooding generated by Typhoon Winnie on the west coast of Korea, Natural Hazards, 29(3), 485-500. 

  26. Park, D.S.R., Ho, C.H., Nam, C.C., and Kim, H.S, 2015, Evidence of reduced vulnerability to tropical cyclones in the Republic of Korea,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10(5), 054003. 

  27. Peduzzi, P., Chatenoux, B., Dao, H., De Bono, A., Herold, C., Kossin, J., Mouton, F., and Nordbeck, O., 2012, Global trends in tropical cyclone risk, Nature Climate Change, 2(4), 289-294. 

  28. Smith, K., 2013, Environmental hazards: assessing risk and reducing disaster, Routledge. 

  29. Swiss RE, 2014, Sigma: Natural catastrophes and man-made disasters in 2013, Swiss Reinsurance Company, 2014(1). 

  30. Wilks, D.S., 2006, Statistical Methods in the Atmospheric Sciences (2nd ed.), Academic Press. 

  31. 통계청 / 행정구역별 인구수 자료, http://kostat.go.kr 

  32. 한국은행 / 생산자물가지수, http://www.bok.or.kr 

  33. RSMC Tokyo-Typhoon Center / Best Track Data, http://www.jma.go.j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