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표기반시나리오를 활용한 환경교육 교수·학습모듈의 개발과 적용
Developing and Applying Environmental Education Learning Modules Using Goal-Based Scenario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2 no.2, 2016년, pp.466 - 482  

김민성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교육학부 지리교육전공) ,  유수진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목표기반시나리오를 이용한 환경교육 학습모듈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교육의 구성요소인 지식, 기능, 태도, 행동 요소를 발달시키기 위해 환경에 대한, 환경 안에서의, 그리고 환경을 위한 교육 영역과 관련된 학습모듈을 개발하였다. 특히 학생들의 일상생 활을 활동의 기반으로 이용하는 시도를 통해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학습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듈은 크게 '지구온난화 원인에 대한 지식 습득', '자신의 삶을 통한 환경 지식의 실천 및 내면화', '환경 지식과 인식을 다른 사람에게 확장 및 전파'라는 세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모듈 적용 결과, 학생들은 동료와의 토론을 통해 지구온난화 유발 요인들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자신의 삶 속에서 환경보존을 위한 행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모습을 보였다. 나아가 자신들의 지식과 의지를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행동을 촉구하는 UCC(User Created Content) 제작 활동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arning modul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goal-based scenarios and to examine their pedagogical benefits at the elementary educational level. To enhance environmental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behavior, this research developed learning modul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습모듈은 환경교육의 세 하위영역이 생산적으로 상호작용하지만 기본적으로는 환경에 대한 교육에서 환경 안에서의 교육, 그리고 환경을 위한 교육으로 점차 심화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모듈이 어떠한 맥락에 적용되었으며 그 결과는 어떠했는지 살펴본다. 이 연구는 환경교육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일상생활지리를 적용하여 학교 현장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환경교육 학습모듈을 개발하고 적용한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모듈이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생들의 일상생활환경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황세영 외(2012)에 따르면, 우리나라 환경교육 연구에서 수업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것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환경과 관련된 지식, 기능, 태도, 행동 요소를 발달시키기 위해 환경에 대한, 환경 안에서의, 그리고 환경을 위한 교육 영역과 관련된 학습모듈을 목표기반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특히 학생들의 일상생활을 환경교육의 장면으로 이용하려는 시도를 통해 좀 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학습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첫째,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학습모듈을 통한 지식이나 태도의 변화가 어떠했는지를 좀 더 엄격하게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교육의 하위영역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학습모듈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추후 실험 환경을 통해 학습모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통제집단과의 비교를 포함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환경교육 학습모듈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특히 환경교육의 하위영역을 ‘환경에 대한 교육’, ‘환경 안에서의 교육’, ‘환경을 위한 교육’으로 설정하고 이와 관련된 활동을 목표기반시나리오(goal-based scenario)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 환경 안에서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환경 정보를 이용하는 기능을 함양하고 친환경적 태도를 확립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셋째, 환경을 위한 교육은 환경에 대한 가치와 긍정적인 태도를 확립하고 환경을 위해 실제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환경교육 세 하위영역을 바탕으로 한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지식, 탐구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능, 환경을 중시하는 태도를 함양하고 궁극적으로는 환경을 위해 행동할 수 있게 된다(그림 1).
  • 따라서 모든 요소에 고르게 관심을 가지고 교육 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커지는 것이다. 요컨대, 본 논문에서는 환경교육의 세 하위영역, 그리고 이와 관련된 지식, 기능, 태도, 행동 등의 상관관계 방향성에 주목하기보다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통합적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개발된 모듈이 어떠한 맥락에 적용되었으며 그 결과는 어떠했는지 살펴본다. 이 연구는 환경교육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일상생활지리를 적용하여 학교 현장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환경교육 학습모듈을 개발하고 적용한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학생들의 일상생활을 구체적인교육의 소재로 이용하는 전략을 도입하고 그것을 실제 적용하여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신들의 일상생활에서 탄소 배출과 관련된 행동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매일 먹는 밥상이 탄소 배출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탐구하였다. 북극곰을 위해 선풍기를 끄고, 감자를 깎고, 샤워물을 아끼는 등의 구체적인 실천을 해 보기도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학생들의 일상생활을 구체적인교육의 소재로 이용하는 전략을 도입하고 그것을 실제 적용하여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신들의 일상생활에서 탄소 배출과 관련된 행동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매일 먹는 밥상이 탄소 배출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탐구하였다.
  • Palmer(1998)는 환경교육의 세 하위영역을 다음과 같이 개념화하였다. 첫째, 환경에 대한 교육은 환경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 함양, 그리고 다양한 요소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둘째, 환경 안에서의 교육은 환경을 탐구와 조사, 학생들의 직접 경험을 위한 자원으로 이용하려는 시도이다.
  • 본 연구에서는 환경과 관련된 지식, 기능, 태도, 행동 요소를 발달시키기 위해 환경에 대한, 환경 안에서의, 그리고 환경을 위한 교육 영역과 관련된 학습모듈을 목표기반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특히 학생들의 일상생활을 환경교육의 장면으로 이용하려는 시도를 통해 좀 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학습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듈은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단계 학습모듈에서 학생들은 환경에 대한지식 습득을 위해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탄소배출과 관련하여 어떤 행동이 친환경적인 것인지를 논의하고 학습하였다.

가설 설정

  • 그러나 각 단계가 추구하는 목표가 서로 배타적인 것은 아니며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며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도록 하였다. 첫째, 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환경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며 이를 통해 환경을 보호하겠다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태도는 환경을 위해 행동하는 기초가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제 환경보전의 중요성은 누구나 공감하는 이슈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홍콩, 일본, 태국, 싱가포르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들 국가 대부분의 학생들이 환경보전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Yencken, 2000). 교사들 역시 환경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함양하는 것이 지리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라고 인식하고 있다(Catling,2004; Alkis, 2009).
환경파괴로 인한 각종 부작용의 예는 무엇이 있는가? 전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다. 환경파괴로 인한 각종 부작용, 예를 들어,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북극곰이 삶의 터전을 잃어버렸다거나 남태평양의 섬 투발루가 사라져간다는 것과 같은 내용은 이제 너무나도 널리 알려진 사례가 되었다. 이제 환경보전의 중요성은 누구나 공감하는 이슈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환경교육 내용 설계의 하위 내용에는 무엇이 있는가? 환경교육 내용 설계에서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하위영역은 ‘환경에 대한 교육(education about environment)’, ‘환경 안에서의 교육(education in environment)’, 그리고 ‘환경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environment)’2)이다. Palmer(1998)는 환경교육의 세 하위영역을 다음과 같이 개념화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인애.이명순, 2009, 환경교육에서 PBL과 GBS간의 환경 소양 비교 연구, 환경교육, 22(3), 15-30. 

  2. 권난주.안재홍.정철, 2012, 국내 초등환경교육 연구 동향 분석, 환경교육, 25(1), 1-14. 

  3. 곽영순.김찬종.이양락.정득실, 2006,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60-268. 

  4. 김민성, 2013, 비판적 세계시민성을 통한 지리 교과서 재구성 전략: 르완다를 사례로, 사회과교육, 52(2), 59-72. 

  5. 김민성.유수진, 2014, 지리공간기술을 이용하는 목표기반시나리오 학습모듈 개발, 사회과교육, 53(1), 79-93. 

  6. 김병연, 2011, 생태 시민성 논의의 지리과 환경 교육적 함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2), 221-234. 

  7. 김보람, 2010, 반성적 사고 전략을 활용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학습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석영.이보영, 2010, 푸드마일을 활용한 세계화.지역화 수업 구성 및 적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2), 135-153. 

  9. 김신배.남영숙, 2009, 초등학생의 환경 UCC 제작 참여가 환경 소양에 미치는 영향, 환경교육, 22(2), 107-117. 

  10. 김학희, 2005, 지리교육 소재로서 음식의 확장성에 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3), 375-391. 

  11. 남상준, 1995, 환경 교육론, 대학사. 

  12. 류재명, 2002, 한국 지리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0(1), 27-40. 

  13. 박수홍.이상범, 2009,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goal-based scenario(CBS) 학습프로세스 탐색: 초등 사회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2(4), 379-403. 

  14. 서우석, 1999, 초등학교 실과 교과를 통한 환경교육의 방안, 실과교육연구, 5(1), 73-90. 

  15. 서태열, 2003, 지구촌 시대의 '환경을 위한 교육'의 개념적 모형의 재정립,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1), 1-12. 

  16. 소경희.이상은.이정희.허효인, 2010,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비교교육연구, 20(2), 27-50. 

  17. 신동희.이지희, 2009, 국내외 환경교육 논문 분석을 통한 연구 경향 비교, 환경교육, 22(4), 111-133. 

  18. 신명주.김종우.이상원, 2012,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창의적 체험활동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6(4), 909-939. 

  19. 심왕근.문병찬, 2009,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자연 환경 보존에 대한 인식, 환경교육, 22(1), 83-96. 

  20. 이선경.김상윤.윤여창, 1998, 자기환경화를 가능하게 하는 자연교육 프로그램: 미국의 미시건 4-H 어린이 정원, 바인터 파크 동물원 및 국립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환경교육, 11(2), 102-117. 

  21. 최돈형.손연아.이미옥.이성희, 2007, 환경교육 교수.학습론, 교육과학사. 

  22. 최석진.최경희.김용근.김이성, 2014, 환경교육론, 교육과학사. 

  23. 황세영.서은정.이리나.홍인영, 2012, 학술지 "환경교육" 논문 분석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연구 동향 고찰, 환경교육, 25(2), 224-241. 

  24. Al-Balushi, S. M. and Al-Aamri, S. S., 2014, The effect of environmental science projects on students' environmental knowledge and science attitudes,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3(3), 213-227. 

  25. Alkis, S., 2009, Turkish geography trainee teachers' perceptions of geography,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8(2), 120-133. 

  26. Barnett, M., Vaughn, M. H., Strauss, E., and Cotter, L., 2011, Urban environmental education: Leveraging technology and ecology to engage students in studying the environment,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0(3), 199-214. 

  27. Bradley, J. C., Waliczek, T. M., and Zajicek, J. M., 1999,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knowledge and environmental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0(3), 17-21. 

  28. Bryant, C. K. and Hungerford, H. R., 1977, An analysis of strategies for teaching environmental concepts and values clarification in kindergarte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9(1), 44-49. 

  29. Cantrill, J. G., 1992, Understanding environmental advocacy: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the role of cogni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4(1), 35-42. 

  30. Catling, S., 2004, An understanding of geography: The perspectives of English primary trainee teachers, GeoJournal, 60(2), 149-158. 

  31. Chawla, L. and Cushing, D. F., 2007, Education for strategic 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3(4), 437-452. 

  32. Daniel, B., Stanisstreet, M., and Boyes, E., 2004, How can we best reduce global warming? School students' ideas and misconcep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61(2), 211-222. 

  33. Esa, N., 2010,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of student teachers,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9(1), 39-50. 

  34. Genc, M., 2015, The project-based learning approach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4(2), 105-117. 

  35. Harness, H. and Drossman, H., 2011,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filmmaking project,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7(6), 829-849. 

  36. Hart, P. and Nolan, K., 1999, A critical analysis of research in environmental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4(1), 1-69. 

  37. Hungerford, H. R. and Volk, T. L., 1990, Changing learner behavior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1(3), 8-21. 

  38. Ibrahim, T., 2005,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ainstreaming the curriculum?,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35(2), 177-194. 

  39. Leeming, F. C., Bracken, B. A., and Dwyer, W. O., 1995, Children's environmental attitude and knowledge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6(3), 22-33. 

  40. Kals, E., Schumacher, D., and Montada, L., 1999, Emotional affinity toward nature as a motivational basis to protect nature, Environment and Behaviour, 31(2), 178-202. 

  41. Kollmuss, A. and Agyeman, J., 2002, Mind the gap: Why do people act environmentally and what are the barriers to pro-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3), 239-260. 

  42. Kuhlemeier, H., van den Beergh, H., and Lagerweij, N., 1999,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ur in Dutch secondary educ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0(2), 4-14. 

  43. Monroe, M. C., 2003, Two avenues for encouraging conservation behaviors, Human Ecology Review, 10(2), 113-125. 

  44. Palmer, J. A., 1998,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ory, Practice, Progress and Promise, Routledge, New York. 

  45. Pepper, D. M., 1987, The Roots of Modern Environmentalism, Routledge, London. 

  46. Rickinson, M., 2001, Learners and learn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A critical review of evidence,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7(3), 207-320. 

  47. Robottom, I. and Hart, P., 1993, Research in Environmental Education: Engaging the Debate, Deakin University Press, Geelong, Victoria. 

  48. Schank, R. C., Fano, A., Bell, B., and Jona, M.. 1993/1994, The design of goal-based scenario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3(4), 305-345. 

  49. Stevenson, R. B., 2007, Schooling and environmental education: Contradictions in purpose and practice,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3(2), 139-153. 

  50. Yencken, D., 2000, Young people and the environment: The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ism, in Yencken, D., Fien, J., and Sykes, H.(eds.), Environment, Education and Society in the Asia-Pacific: Local Tradition and Global Discourses, Routledge, New York, 221-250. 

  51. Zecha, S., 2010,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s and actions of Bavarian (southern Germany) and Austrian (northern Spain) adolescents,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9(3), 227-24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