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oal-based Scenario를 활용한 간호시뮬레이션 수업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Nursing Simulation using Goal-based Scenario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3 no.2, 2017년, pp.224 - 235  

박수진 (안동과학 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design according to Goal-based Scenario constituent elements such as educational goals, mission, cover story, role, scenario operation, resources, and feedback in simulation training. Methods: The subjects of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결과 GBS수업설계를 통한 시뮬레이션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임상판단, 임상수행능력, 학업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효과적인 교육방법 임을 확인하였다. GBS수업설계는 구조화된 목표를 제시하고 있어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하는 학습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수업진행을 위한 수업설계는 매우 중요하며 학습성과와 연계할 수 있는 수업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BS를 통한 교수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핵심요소인 분석, 설계, 도입, 시나리오 운영, 디브리핑 및 개인 성찰을 통해 학업 성취도 및 교육목표에 따른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력 및 임상추론능력과 임상수행능력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GBS 수업설계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임상판단, 임상수행능력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실습 수업에 GBS 목표 중심 시나리오 수업설계를 적용하여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력, 임상판단, 임상수행능력, 학업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의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다양한 시뮬레이션실습 수업에 대한 수업설계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에 대한 수업설계를 적용하여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수업을 진행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GBS수업설계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결과를 논의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교육에 GBS 수업설계를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력, 임상판단, 임상수행능력, 학업 만족도 및 학업 성취도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수업 주제의 미션을 해결하고자 토의한 내용적 지식 및 시나리오 구동을 통해 느꼈던 것을 시나리오 구동 직후 레포트로 작성하게 하여 학습한 상황에 대하여 인식하고 간호수행에 대해 성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학습자들은 선수학습을 진행하여 질환에 대한 지식함양을 도왔으며, 적용단계별 적절한 전략을 설계하여 명확히 시뮬레이션실습 수업이 나아가는 방향을 유지되도록 하였다. 시나리오 구동 후 디브리핑을 통해 시나리오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하였고 잘한 점과 개선 점을 통해 간호역량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을 제시한 것에 그 의의가 있으며 시뮬레이션실습 교육에 관련된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질환과 시나리오 상황을 인지시키고자 수업에 필요한 PPT를 준비하여 학습을 도왔고, 연구자의 이론 강의 30분으로 학습자의 이해의 폭을 넓혔다. 시나리오 구동(simulation scenario running)에 필요한 기자재 및 소모품, 그리고 의료장비를 구비하고 임상과 비슷한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시뮬레이션 센터를 통해 학습자들이 병원환경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안내를 하였으며 실제 시나리오 구동 시에는 학습자들 스스로가 예비 간호사로서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일 수 있었다.
  • 조별 구동 시간은 조별로 15분으로 제한하여 실시하였으며(Choi, 2016), 시나리오 구동 시에는 디브리핑을 위한 동영상 촬영을 진행하였고, 시나리오 구동이 끝난 후에는 시나리오 구동을 진행한 사항에 대해 구동 레포트를 바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는 수업운영 단계인 피드백 설계에서 설명한 것으로 학습자들이 시뮬레이션 상황을 충분히 기억할 수 있도록 레포트를 작성하게 하였고, 자신이 수행한 것을 분석하고 스스로 잘못을 발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자발적인 토론을 진행할 수 있는 지지적 방식으로 디브리핑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 2차시 수업은 모듈회의를 통해 커버스토리에 맞는 시나리오 대본을 작성해 보고 이에 필요한 간호과정을 통해 간호수행에 필요한 핵심간호술기를 확인하고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토론을 하였다. 이는 시나리오 상황에 대한 충분한 인지와 2차시 수업을 통해 시나리오 구동에 대해 학습자의 상황 판단을 높이고자 하였다.
  •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핵심간호술 20가지의 항목을 시나리오 내용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지 파악하였다. 2학년과 3학년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였고,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4학년 대상으로 이루어 지고 있어 이미 핵심술기를 학습한 상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교수-학습방식이 중요한데, 선행연구에서 문제중심 학습모형(Problem-based Learning [PBL])형태의 수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Lee, Ahn, Cho,& Sohn, 2014). PBL은 교수자가 개발, 제시한 실생활을 기반으로 하는 복잡하고 비구조적인 과제, 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를 소그룹으로 편성하고 그들이 중심이 되어 학습할 내용을 도출하고, 해결 안을 찾아내도록 하는 학습방법이다(Kang & Lee, 2009).
간호교육의 목적은? 간호교육은 간호 지식과 함께 실무 상황에서 임상수행능력과 자율적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관련 지식을 통합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 능력을 갖춘 전문인을 양성하는 것이다(Liaschenko & Peter, 2004). 간호교육은 이론과 실습 교육으로 이루어지며 임상실습교육은 간호의 교과과정 중 간호교육의 중추적이고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분석능력, 정신 · 운동적인 능력, 시간 관리 기술 등을 발전시키며 임상수행능력에서의 자신감을 증가시켜준다(Lofmak & Wikblad, 2001).
PBL의 한계는? PBL은 교수자가 개발, 제시한 실생활을 기반으로 하는 복잡하고 비구조적인 과제, 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를 소그룹으로 편성하고 그들이 중심이 되어 학습할 내용을 도출하고, 해결 안을 찾아내도록 하는 학습방법이다(Kang & Lee, 2009). 그러나 수업설계와 적용을 위한 모형을 정립하지 못하였고, 시뮬레이션 수업에서도 설계 모형의 요인을 폭넓게 포함하지 못하고 모듈이나 패키지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Roh, Cho, & Lee, 2010).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 학습자들이 학습한 기술(skill)을 실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목표 중심 시나리오 모형(Goal-based Scenario[GBS])은 학습자들에게 구조화된 목표를 제시하고 의도한 기능과 지식을 달성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며 모듈이나 수업 모형 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Park & Le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rthur, C., Kable, A., & Levett-Jones, T. (2011). Human patient simulation manikin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use in australian schools of nursing: Across-sectional survey.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7(6), 219-227. 

  2. Barrett, C., & Myrick, F. (1998).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2), 364-371. 

  3. Benner, P. E., Tanner, C. A., & Chesla, C. A. (2009). Expertise in nursing practice: Caring, clinical judgment, and ethic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4. Blum, C. A., Borglund, S., & Parcells, D. (2010). High-fidelity nursing simulation: Impact on student self-confidence and clinical c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7(1), 1-14. 

  5. Choi, E. J. (2016).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ebriefing experience in Simulation as Problem-Based Learning (S-PBL).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 459-469. 

  6. Choi, M. S. (2005). A study on teaching efficienc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7. Chae, M. J., & Choi, S. H. (2016). Effectiveness of student learning with a simulation program focusing on cardiac arrest in knowledge, self-confidence,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4), 447-458. 

  8. Chung, S. K., Kim, K. A., & Jeong, E. Y. (2016).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um using a standardized patient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clinical competency. Journal Korean Academy Society Home Care Nurse, 23(2), 186-194. 

  9. Eun, Y., & Bang, S. Y. (2016). Effects of the lasater's clinical rubric of debriefing in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train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4), 516-527. 

  10. Ha, E. H., & Song, H. S. (2015). The effects of structured self-debriefing using on the clin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after simul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4), 444-453. 

  11. Hur, H. K., & Song, H. Y. (2015). Effects of simulation-based clinical reasoning education and evaluation of perceived education practices and simulation design characteristics by students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3), 206-218. 

  12. Joo, G. E., Sohng, K. Y., & Kim, H. J. (2015). Effects of a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on nursing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for blood transfus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2(1), 49-58. 

  13. Kang, I. A., & Lee. M. S. (2009). A comparison study of environment literacy between PBL & GBS in environment educat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2(3), 15-30. 

  14. Kim, D. H., Lee, Y. j., Hwang, M. S., Park, J. H., Kim, H. S., & Cha, H. G. (2012).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 (SICPP)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in a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499-509. 

  15. Kim, M. S., Park, J., Kim, K. S., Jung, Y. S., & Sung, H. J. (2001). Development of thinking skill test (1) -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 test.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6. Kim, J. S., & Kim, Y. H. (2016).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2), 203-212. 

  17. Lasater, K. (2007). High-fidelity sim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judgment: Students' experienc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6(6), 269-276. 

  18. Lee, M. J., Ahn, Y. M., Cho, I. S., & Sohn, M. (2014). Effectiveness of 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 on clinical competency and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2), 123-131. 

  19. Lee, M. S. (2007). Ecology & environment learning case by GBS (Goal-Based Scenari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0(3), 31-44. 

  20. Lee, Y. H., Kim, J. J., Yoo, J. S., Heo, H. K., Kim, K. S., & Lim, S. M. (199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linical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for nursing students. Yonsei University Journal of Nursing, 13, 17-29. 

  21. Lee, W. S., & Kim, M. O. (2011). Effects and adequacy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obstetrical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4), 433-443. 

  22. Liaschenko, J., & Peter, E. (2004). Nursing ethics and conceptualizations of nursing: Profession, practice and 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6(5), 488-495. 

  23. Lofmark, A., & Wikblad, K. (2001). Facilitating and obstruction factors for development of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A student perspectiv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0(1), 43-46. 

  24. Park, C., & Seo, I. S. (2006). The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e-learning in company education. Korea Business Review, 10(1), 145-169 

  25. Park, S. H., & Lee, S. B. (2009). A study on Goal-Based Scenario (GBS) learning process for enhancing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s: in social study.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lementary Education, 22(4), 379-403. 

  26. Park, S. I. (1992). Exploring class methods. Seoul: Kyoyookbook. 

  27. Roh, Y. S., Cho, E. S., & Lee, W. S. (2010). Analysis of main instructional design factors for simulation integrated pbl nursing cours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6(1), 125-143. 

  28. Schank, R. C., & Cleary, C. (1995). Engines for education.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9. Sim, K. K. (201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asater clinical judgement rubric in korea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Kyunghee University of Korea, Seoul. 

  30. Song, C. B., & Sohn, K. O. (2007). The effects of Goal-Based Scenario model to promote use of self-regulated skills: Focusing on meta-cognitive skill improvement. The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3(2), 73-87. 

  31. Sung, B. S. (2005). Developmental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procedural learning tasks based on Goal-Based Scenario.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2. Yoon, J. (200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Seoul. 

  33. Yoo, M. S. (2001).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s of naursing co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Yonsei University, Seoul. 

  34. Woo, O. H. (2000).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process of student by their lev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