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학문인 정보학을 모태학문으로 하는 교과 '정보'
Subject 'Informatics' that Originated from Informatics in a Metascience as Academic base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19 no.3, 2016년, pp.1 - 10  

안영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컴퓨터학과)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이원규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초록

21세기에 들어서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은 정보교육에 대한 많은 변화를 시도하였다. 각국의 상황을 고려하여 정보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실천적 행동으로 옮기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명칭으로 논의되고 있는 정보교육의 모태학문인 정보학에 대해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모태학문에 대한 고찰은 용어에 집중하여 학술논문과 고등교육기관의 학과명, 학술지에서 정보관련 용어의 출현빈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토대로 교과 '정보'는 사회적 변화에 기여하는 정보학을 모태학문으로 하고, 통합된 정보학은 모든 학문의 메타학문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적인 측면 뿐 아니라 사회적 필요 측면에서 정보교육를 규명하고, 메타학문을 모태학문으로 하는 정보교육은 초중등 학교에서 필수로 가르쳐야 할 교과임을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21^{st}$ centur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attempted many changes in informatics education. Considering its own situation, each country ha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formatics education and is taking actions. This research aims to study informatics which i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회적, 기술적 변화에 근거하여 시작된 교과 ‘정보’에 대한 모태학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교과 ‘정보’의 모태학문이 메타학문으로서 기능하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보교과의 명칭과 관련하여 학문적 기저를 살펴보고, 해당 학문의 범위를 분석함으로써 정보교과의 모태학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정보’ 그리고 ‘정보학’에 대한 개념 정의를 비롯하여 다양한 학문적 관점을 논의한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1960년을 시작점으로 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정보’라는 용어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 정보’에 대한 용어의 학문적 기저를 탐색하기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을 고려하여 해당 용어가 사용된 시점을 충분히 검토하였다.
  • 첫째, 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이다. 일반적으로 이론이나 지식을 대상으로 하는 이론 혹은 이론에 관한 이론을 메타학문이라 한다[34].
  • 학문적인 측면 뿐 아니라 사회적인 요구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교과 ‘정보’의 필요성에 대한 규명은 물론, 사회적 변화를 고려하여 메타학문인 정보학을 모태 학문으로 하는 정보교과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 따르면, 학문적 지식기반은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가 가능한데, 이 관점은 무엇인가? 첫째는 ‘대외적’인 측면으로 ‘하나의 분과학문(discipline)이나 연구 분야(field of study)를 인접학문과 구분해 주는 것으로 해당 학문 고유의 통합된 지식체계’이며, 둘째, ‘대내적’ 측면은 해당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핵심적 지식체계이다.
학문에 있어서 지식기반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학문에 있어서 지식기반(Knowledge base)은 ‘어떤 분과 학문을 구성하는 데 핵심이 되는 지식’의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지식기반과 지식구조가 크게 다르지 않아 비슷한 개념으로 봐야 할 것’이라는 논거에 근거하여 두 용어를 유사하게 사용한다[23].
정보는 의미와 사용에 따라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정보는 의미와 사용에 따라 생명정보, 사회정보, 기계정보로 구분된다. 첫째, 모든 정보는 기본적으로 생명체에 의한 인지나 관찰과 연결된 생명정보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김정효 (2012). 지식기반사회에서 융합교육을 위한 간 학문적 통합교육의 가능성 탐색. 문화예술교육연구, 7(1), 175-200. 

  2. Rousseau, Jean-Jacques(2010). Emile or On Education (Includes Emile and Sophie, or The Solitaries). Vol. 13 of the Collected Writings of Rousseau. Translated and edited by Christopher Kelly and Allan Bloom. Hanover, NH: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3. Peters, M. & Araya, D.(2010). The creative economy : Origins, categories, and concepts. In D. Araya & M. A. Peters(Eds.). Economy in the creative economy. New York : Peter Lang Publishing, Inc. 

  4. 김자미, 이원규 (2014).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교육과정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6), 59-69. 

  5. 김자미, 이원규(2014). 영국의 교육과정 개정으로 본 정보교과의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대한 쟁점.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3), 54-64. 

  6. 김자미, 이원규 (2014). 통합에서 독립으로, 이스라엘 컴퓨터과학 교과의 진화.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4), 33-44. 

  7. 김자미(2014). 일본의 교육과정 변화 현황. 홋가이도 대학 연구자료. 

  8. 문부과학성평생학습국(2015). 고등학교의 교육개혁과 정보과교육. 제8회 전국고등학교 정보교육연구회 미야자키 대회. 

  9. 마이니치 신문. 2015년8월6일 도쿄조간. 

  10. 초중중앙교육심의회-기획특별부회(2015). 차기 학습지도 요령 "정보과" 내용의 검토. 중앙 교육 심의회. 

  11. 교육과학기술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각론. 교육과학기술부. 

  12. 변기용(2009). 고등교육의 학문적 성격과 지식기반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문제연구, 33, 147-175. 

  13. 정보. https://ko.wikipedia.org/wiki 

  14. N. Wiener. Cybernetics. 

  15. Nishigaki, T.(2004). 기초정보학. NTT. 

  16. 니시카기 토호루(1991). 디지털 나르시스. 이와 나미 서점. 

  17. Toru Nishigaki(2004). Kiso Joho-gaku: Seimei kara Shakai e(Fundamental Informatics: From Life to Society). NTT Publishing, Tokyo. 

  18. Taylor, R.S. (1968). Question-negotiation and information seeking in librarie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29(3), 178-194. 

  19. Taylor, R.S.(1983). Value-added processes in the information life cycle. Final report -National Science Foundation Grant No. IST-81-06080. Syracuse, NY: Syracuse University School of Information Studies. 

  20. Borko, H.(1968). 'Information science: what is it?' American Documentation, 19(1), 3-5. 

  21. Hagiya(2015) 萩谷昌己 : 정보학을 정의한다. 정보학의 참조기준. 일본정보처리학회, 55(7), 734-743. 

  22. Nishigaki, T.(2003): For the Establishment of Fundamental Informatics on the Basic of Autopoiesis: http://digital-narcis.org/nishigaki_pdf 

  23. 주삼환(2006). 교육행정학의 지식구조와 범위. 한국교육행정학회 제 34차 연차대회 및 제 142차 학술대회(지식기반사회에서 한국교육행정학의 지식구조와 범위). 

  24. 박선형(2006). 선진국의 교육행정 지식기반 : 논의 동향과 시사점 탐색. 교육행정학 연구, 24(2), 1-29. 

  25. 윤정일(2006). 교육재정학의 지식구조와 범위에 대한 토론. 한국교육행정학회 제 34차 연차대회 및 제 142차 학술대회(지식기반사회에서 한국교육행정학의 지식구조와 범위). 

  26. 김광웅(2011). 융합학문, 어디로 가고있나?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7. 천정환(2008). 대중지성의 시대 : 새로운 지식문화사를 위하여. 서울 : 푸른역사. 

  28. 이어령(2006). 디지로그. 서울 : 생각의 나무. 

  29. Horx, M.(2008). Technolution : Wie unsere zukunft sich enwickelt. Frankfurt, Germany : Campus Verlag GmbH. 배명자(옮김)(2009). 테크놀로지의 종말 : 인간은 똑똑한 기계를 원하지 않는다. 서울 : 21세기북스. 

  30. 홍성욱(2012). 융합의 현재에서 미래를 진단한다. 융합이란 무엇인가. 서울 : 사이언스북스. 

  31. Schwab, J. J.(1964). problems, topics, and issues. In 5th Annual phi Delta Kappa Symposium on Educational Research, Education 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 Chicago. IL : Rand McNally & Company, 4-43. 

  32. 이인식(2014). 통섭과 지적 사기 : 통섭은 과학과 인문학을 어떻게 배신했는가?. 서울 : 인물과 사상사. 

  33. 김상환, 박영선(2014). 분류와 합류. 서울 : 이학사. 

  34. Kurki, M., & Colin Wight.(2013). International Relations and Social Science,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 Discipline and Diversity, edited by Tim Dunne, Milja Kurki, and Steve Smith, 1-25.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35. 은용수(2015). 왜 메타학문인가? : IR에서 메타학문적 논쟁과 이해의 유용성. 한국정치학회보, 49(4), 127-156. 

  36. Yamazaki(2014), K. 메타 학문으로서의 정보학과 초등중등교육 교원양성. 제2회 정보학교육추진 컨퍼런스, 11-14. 

  37. 류명걸(1998). 서양철학일반. 형설출판사. 

  38. 서울대교육연구소(1995). 교육학용어사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39. 김국현 외(2010). 교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과지식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40. McKernan. J.(2008). Curriculum and imagination, London and New York : Routledge. 

  41. Pring, R.(1978). curriculum content : Principles of selection. In D. Lawton et al, Theory and Practice of curriculum studies, London : Routledge. 

  42. Deng, Z.(2007). Knowing the subject matter of secondary school science subject.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9(5). 505-535. 

  43. Hameyer, U.(2007). Transforming domain knowledge : A systematic view at the school curriculum. The Curriculum Journal, 18(4), 411-427. 

  44. 김자미, 이원규(2010). 교과교육의 측면에서 본 정보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한국정보교육학회, 14(2), 219-227. 

  45. Jackson, P.(2011). The conduct of Inquiry in international relations : philosophy of science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world politics. London : Routledge. & Kegan Pa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