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한일간 교사양성제도의 비교 및 현황 분석을 통한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

Improving the secondary school informatics teacher education system by comparing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of Korea and Japan

초록

교육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교사의 질은 필요충분조건이다. 정보교육의 경우, 2018년부터 중학교에서 필수로 설치 운영되어야 하므로 질 높은 교사의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의 정보교사양성제도와 비교하여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일본과 교사의 자격제도, 자격 취득 및 승진제도, 교사의 자격기준, 정보교사의 자격 및 자격취득 방법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전문교과의 표시과목을 'Informatics'로 변경해야 한다. 정보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대학원 교육을 강화하고, 부전공 연수를 강화해야 한다. 교사의 전문성 함양에 도움을 주는 자격제도로 변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방안은 중등 정보교원의 질적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quality of teachers i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education to accomplish its goals. As informatics education will be taught as a required subject in middle schools starting in 2018,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secure high-quality teacher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nformatics teacher education system of Korea with that of Japan in terms of qualifications, licensing and promotion, qualification criteria for teachers, qualifications for informatics teachers and licensing method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ree improvements were proposed as follows: The title of the specialized subject must be changed to 'Informatics,' graduate-level education and minor curriculum training courses must be reinforced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he teachers, and the qualification system must be changed in such a way as to promote the expertise of the teachers. The improvement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surely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secondary school informatics teachers.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
교사가 교육성과의 중요한 요인인 이유는 무엇인가?
교사의 전문성과 자기 계발을 위한 노력이 학생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

교육성과는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의미하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구조적 요인들 중에서도, 교사는 다른 어떤 변인보다 중요하다. 교사의 전문성과 자기 계발을 위한 노력이 학생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18].

정보학
정보학은 무엇인가?
컴퓨터과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 및 기술을 중심으로 실생활과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학문 분야

정보학은 컴퓨터과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 및 기술을 중심으로 실생활과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학문 분야이다. 정보학을 모태학문으로 하는 정보교과는 실생활의 문제해결을 위해 능력과 태도를 함양하는 교과이다[1][2].

교육기관의 체제
교사의 전문성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의 체제의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첫째,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대학교 중심의 단일화된 형태의 목적형 양성체제이다. 둘째, 중등교사 양성을 위한 사범대학, 일반대학 교육과 등의 목적형과 일반대학 교직과정이나 교육대학원과 같은 개방형 체제이다

한국에서 교사의 전문성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의 체제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대학교 중심의 단일화된 형태의 목적형 양성체제이다. 둘째, 중등교사 양성을 위한 사범대학, 일반대학 교육과 등의 목적형과 일반대학 교직과정이나 교육대학원과 같은 개방형 체제이다[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61)

  1. 1. 교육부(2015).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 2. Toru Nishigaki(2003) 基礎情報學. Iwanami-shoten. 
  3. 3. 久野靖 和田勉 中山泰一 辰己丈夫 (2015). わが國の初等中等情報?育: 現狀と??に向けた目標?系の提案, 日本{ソ\フトウェア科學會第32 回大會(2015 年度) 講演論文集 
  4. 4. 中山 泰一, 中野 由章 외(2015), 高等學校情報敎育にあげる ?科??の現況, 情報處理學會硏究報告, 131(11). 1-9. 
  5. 5.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3). 2013 한국의 초.중등학교 교육정보화 수준 측정. 한국교육학술정보원 
  6. 6. 충북일보(2015). 도내 2018년부터 SW 교육적용..., 2015년 8월 17일자. available at 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409456 
  7. 7. 이의재, 유정애(2012). 1정 연수 현장 37일 -초임 체육교사의 성장과정. 한국체육과학회지, 21(4), 801-816. 
  8. 8. 교육과학기술부(2012). 교사 등 연수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교육과학기술부령 제137호, 2012. 2. 9).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9. 9. 박준기(2011). 전문성 발달 단계를 반영한 교사 자격기준 개발 및 타당성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4), 417-437. 
  10. 10. 박영숙, 김갑성, 전세상, 김지희(2007). 국가 수준의 교사 자격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1. 11. 최숙영(2015). 초중고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강화에 따른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3), 93-104. 
  12. 12. 성정숙, 김현철(2015). 국외 컴퓨터 교육과정의 변화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1), 45-54. 
  13. 13. 兼宗 進(2006) : 情報 の?員免許だけではなぜ先生になれない? 2006년 12월 27일자. available at http://pc.nikkeibp.co.jp/article/NPC/20061227/257816/?rtnocnt 
  14. 14. 文部科學性 : 학교교육의 정보화에 관한 간담회 : 교원지원 워킹그룹 검토정리(2011년 2월 4일) 자료집, available at http://web.archive.org/web/20121211011113/jukugi.mext.go.jp/archive/470.pdf 
  15. 15. 衆議院 : 第185回國會 文部科學委員會 第2? (2013년 11월 1일), available at http://www.shugiin.go.jp/internet/itdb_kaigiroku.nsf/html/kaigiroku/009618520131101002.htm 
  16. 16. 정제영, 이희숙(2015). 교사의 전문성 계발 노력 실태 및 영향요인 탐색. 교육행정학 연구, 33(1), 1-23. 
  17. 17. Figlio, D. N., and Ladd, H. F.(2008). School Accountability and Student Achievement. In Handbook of Research in Education Finance and Policy. New York: Routledge. 
  18. 18. 정제영, 김현주, 이유진, (2014).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교육환경 요인 분석. 한국교사교육연구, 31(3), 321-341. 
  19. 19. 정미경. 임현정(2010). 출신 교사양성체제에 따른 교사 효능감, 만족도, 학생 이해정도의 차이 검증. 제4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537-560. 
  20. 20. 박남수. 김혜숙(2011). 중등교사의 교직이수 유형별 전문성 및 만족도 차이. 교육과학연구, 42(1), 1-25. 
  21. 21. Hanushek, E. A. (1996) School Resources and Student Performance. In G. Burtless(Ed.). Does Money Matter?(pp.46-73). Brooking's. 
  22. 22. Hanushek, E. A. (1997). Assessing the Effects of School Resources on Student Performance.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9(2), 141-164. 
  23. 23. 이광현, 이차영(2006). 중등 교사의 양성체제의 차이가 교직 선택 동기와 교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교육행정학연구, 26(3), 119-140. 
  24. 24. OECD(2013). Teachers for the 21st Century : Using Evaluation to Improve Teaching, Paris: OECD Publishing. 
  25. 25. 국제신문(2015). 가르칠 교사도 없이 SW 교육 의무화...... 2015년 8월 12일자. available at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50813.22001195417 
  26. 26. OECD(2010). Education at a glance, Education Indicators. Paris : OECD Publishing. 
  27. 27. 미래창조과학부(2015). SW 중심사회. 미래창조과학부. available at http://www.software.kr/um/main.do 
  28. 28. Darling-Hammond, L., & Bransford, J.(2005).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CA : Jossey-Bass. 
  29. 29. 明治大學(2016). 교육과정. available at http://www.meiji.ac.jp/nippon/korean/qa.html 
  30. 30. 조석훈(2010). 교원자격의 구조 분석과 관계법의 재구조화 방안. 대한교육법학회, 교육법학연구, 22(1), 117-144. 
  31. 31. 교육부(2016). 초.중등 교육법, [법률 제13943호, 2016.2.3., 일부개정], 제 21조 . 
  32. 32. 유아교육법(2015). 유아교육법, [법률 제13226호, 2015.3.27., 일부개정], 제 22조 
  33. 33. 교육부(2016). 초.중등 교육법 제21조 별표2 초등학교 정교사(2급) 자격기준 제3호 
  34. 34. 文部科學性(2016) : ?育職員免許法附則 第6項 
  35. 35. ?育職員免許法第4?, 第5? available at http://www.tochigi09.com/hou/kyo5.html 
  36. 36. 文部科學性(2014) ?員免許制度の?要, 平成26年2月19日現在, available at http://www.mext.go.jp/a_menu/shotou/kyoin/__icsFiles/afieldfile/2014/02/20/1339300_1.pdf ?育職員免許法 第10?, 第11?. 
  37. 37. 文部科學性(2016). ?員免許更新制. available at http://www.mext.go.jp/a_menu/shotou/koushin/index.htm 
  38. 38. 교육과학기술부(2012). 교원 등의 연수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교육과학기술부령 제137호, 2012.2.9).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39. 39. 文部科學性(2016) ?育職員免許法及び?育職員免許法施行規則 (?員免許課程認定關係?文??), available at http://www.mext.go.jp/a_menu/koutou/kyoin/1268593.htm 
  40. 40. 兼宗 進 외(2008). 情報專門學科 カリキュラム 標準 : Computing Curriculum Standard J07. 情報處理, 49(7), 719-774. 
  41. 41. 河村正彦(2004). 日本における 敎員養成.採用.硏修システムの 基本的構造. 近畿大學九州工學部硏究報告, 32?. 
  42. 42. 中央敎育審議會(2005). 今後の敎員養成. 免許制度の在り方について(中間報告), 2005.12.8. 
  43. 43. 교원자격검정력 시행규칙(2015). 교육부령 제 82호, 2015.12.9. 일부개정. 
  44. 44. 황규호, 박소영, 윤건영, 이성균, 최의창 (2014). 교원양성 교육과정 및 무시험검정 기준 개정 연구. 교육부.인천광역시 교육청. 
  45. 45. 文部科學性(2016), ?育職員免許法, ?育職員免許法第2?, 第3?,16? 5항 available at http://www.houko.com/00/01/S24/147.HTM #s3 
  46. 46. 교육과학기술부(2008). 표시과목의 대학의 관련학부(전공.학과) 및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제2008-117호, 교육과학기술부, 2008.08.01.], 교원자격검정령 시행규칙 [시행 2016.04.20] [교육부령 제96호, 2016.04.20, 타법개정] 
  47. 47. 文部科學性(2016), 高等學校?員(情報) の免許資格を取得することのできる大學 available at http://www.mext.go.jp/a_menu/shotou/kyoin/daigaku/detail/1287078.htm 
  48. 48. 兼宗 進(2007a) 進學校出身者の現狀は? --- 情報 未履修問題を考える (3), 2007 년 1월 10일자, available at http://pc.nikkeibp.co.jp/article/NPC/20070110/258299/ 
  49. 49. 兼宗 進(2007b), ??する機會を?えることが重要-- 情報 未履修問題を考える (最終回) =一橋大學助?授, 2007년 1월 16일자, available at http://pc.nikkeibp.co.jp/ article/NPC/20070116/258819/ 
  50. 50. 문부과학성 初等中等?育局?職員課 現職?育係(2014) 교사 면허 제도의 개요, 교육직원자격법 제9조 제3항. available at http://www.mext.go.jp/a_menu/shotou/kyoin/__icsFiles/afieldfile/2014/02/20/1339300_1.pdf 
  51. 51. 문부과학성(2014). 初等中等?育局?職員課, 特別免許狀の授?に係る?育職員?定等に關する指針 (?要). available at http://www.mext.go.jp/component/a_menu/education/detail/__icsFiles/afieldfile/2014/06/23/1348574_2.pdf 
  52. 52. 中野 由章, 中山 泰一 : 고등학교 정보교과교원현황-그 문제점과 우리가 할 수 있는것-, 정보처리, Vol.55, No.8, pp.872-875 (2014). 
  53. 53. 中山 泰一, 中山 代志子(2010) 公文書 公開手?の 情報敎育への 活用, 人文.自然硏究, No.4, pp.222-242 
  54. 54. 每日新聞(2015). 情報敎員 3割 專門 外, 2015년 10월 29일자 
  55. 55. Hagiya (2015). 정보학을 정의한다. 정보학의 참조기준. 일본정보처리학회, 55(7), 734-743. 
  56. 56. 정남용(2016). 초등교사 교육기관에서의 실과 농업생명과학 영역에 대한 교육의 현황 및 시사점. 실과교육연구, 22(1), 37-53. 
  57. 57. Cochran-Smith, M(2008). The new teac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 directions forward. Teacher and Teaching. 
  58. 58. Furlong, J., Mcnamara, O., Campbell, A., Howson, J., & Lewis, S.(2008). Partnership, policy and polictics : initial teacher education in England under New labour.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4, 307-318. 
  59. 59. 정일화(2015). 헌법재판소의 수석교사제 결정례의 평석을 통한 수석교사제 규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교육법학연구, 27(3), 271-294. 
  60. 60. 법률, 대통령령 제 24423호, 2013. 3. 23 
  61. 61. 나종민, 김천기, 권미경, 박은숙(2015). 학교폭력 승진가산점 제도의 교직사회에서의 의미. 교육사회학 연구, 25(3), 31-60.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KCI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