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부 동시수축 형태에 따른 하지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Lower-Limbs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Abdominal Co-contractive Activation 원문보기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10 no.1, 2016년, pp.81 - 86  

이현주 (건양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남기 (우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태기식 (건양대학교 의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복부 동시수축 형태에 따라 하지의 근활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허리와 하지에 통증이 없고, 근골격계에 이상이 없는 건강한 2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복부 이완(Rest), 복부 당기기 기법(ADIM), 복부 브레이싱 기법(ABM)을 유지하는 각 자세에서 무릎의 굽힘없이 발을 능동적으로 바닥으로부터 20cm 올린 상태(ASLR)로 약 10초간 유지하도록 하여 하지의 5개 근육(중간볼기근, 엉덩긴모음근,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Rest에서 ASLR을 유지하였을 때보다 ADIM 수축형태로 ASLR 유지할 때 하지의 모든 근육에서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Rest에서 ASLR을 유지하였을 때보다 ABM 수축형태로 ASLR을 유지하였을 때 중간볼기근을 제외한 나머지 근육에서 모두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ADIM과 ABM을 비교한 결과 중간볼기근과 앞정강근은 ADIM 수축형태에서, 엉덩긴모음근,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은 ABM 수축형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근활성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체간중심 안정화 운동이 필요한 요통 환자의 선제적 복부 수축형태로서 뿐만 아니라 하지의 선택적 근력강화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개별화된 방법으로써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muscle activity difference of lower extremity by abdominal co-contractive activation. 30 healthy women without pain in the low back and lower extremity were conducted. Muscle activities of lower extremity were measured with the active straight leg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복부 동시수축 형태에 따라 하지 근육들 즉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엉덩긴모음근, 중간볼기근, 앞정강근의 활성도에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부 중심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은 무엇이 있는가? 복부 근력강화 운동 중에는 스위스 볼을 이용한 등척성 운동, 교각 운동, 복부 당기기 기법(Abdominal Drawing-In Maneuver, 이하 ADIM), 복부 브레이싱 기법 (Abdominal bracing maneuver: 이하 ABM) 등이 있다. 스위스 볼을 이용한 등척성 운동은 뭇갈래근, 배바깥빗근, 배가로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키며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가장 적절한 치료적 효과를 준다.
복부 중심근육의 특징은 무엇인가? 복부 중심근육(Core muscle)은 인체의 모든 힘과 운동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사지를 움직일 때마다 중심을 잡아주고 근 골격구조를 적절히 유지시켜 준다[1]. 복부 중심근육의 불안정성은 척추만곡을 변형시켜, 거북이목(turtle neck) 굽은등(swayback), 척추의 과도한 앞굽음증(lordosis) 또는 매우 심한 척추 뒤굽음증 (kyphosis)을 유발한다.
복부 중심근육 불안정성은 어떤 증상을 야기하는가? 복부 중심근육(Core muscle)은 인체의 모든 힘과 운동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사지를 움직일 때마다 중심을 잡아주고 근 골격구조를 적절히 유지시켜 준다[1]. 복부 중심근육의 불안정성은 척추만곡을 변형시켜, 거북이목(turtle neck) 굽은등(swayback), 척추의 과도한 앞굽음증(lordosis) 또는 매우 심한 척추 뒤굽음증 (kyphosis)을 유발한다. 어깨 형태의 변형으로 인한 안정성 저하로 효과적인 호흡운동의 감소, 허리뼈에 대한 과도한 부하의 증가, 하지의 정렬 이상, 골반의 변형 등의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 Kisner, and L.A. Colby,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 and techniques, F.A. Davis Company, Second Edition, 1996. 

  2. F.P. Kendall,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Academic Internet Publishers, Fourth Edition, 2009. 

  3. D.A. Neumann,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Mosby, 2010. 

  4. S.Y. Lee, "The Correlation of Hip Abductor, Adductor and Abdominis, Low Limb Muscle Activation During Bridging Exercise with Hip Abductor and Adductor Contraction," J.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ol. 7, no. 2, pp. 199-203, 2012. 

  5. R. Mew, "Comparison of changes in abdominal muscle thickness between standing and crook lying during active abdominal hollowing using ultrasound imaging," Manual Therapy, vol. 14, no. 6, pp. 690-695, 2009. 

  6. G.L. Rankin, M. Stokes, and D.J. Newham, "Abdominal muscle size and symmetry in normal subjects," MUSCLE & NERVE, vol. 34, no. 3, pp. 320-326, 2006. 

  7. J. Hides, S. Wilson, W. Stanton, S. McMahon, H. Keto, K. McMahon, M. Bryant, and C. Richardson, "An MRI investigation into the function of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during "Drawing-In" of the abdominal wall," SPINE, vol. 31, no. 6, pp. E175-178, 2005. 

  8. C.L. Drysdale, J.E. Earl, and J. Hertel, "Surfac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abdominal muscles during pelvic-tilt and abdominal-hollowing exercises,"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vol. 39, no. 1, pp. 32-36, 2004. 

  9. D.M. Urquhart, P.W. Hodges, T.J. Allen, and I.H. Story, "Abdominal muscle recruitment during a range of voluntary exercises," Manual Therapy, vol. 10, no. 2, pp. 144-153, 2005. 

  10. D.C. Malik Slosberg, "Core stabilization strategies: Abodminal Hollowing VS. Bracing," Dynamic Chiropractic, vol. 27, no. 21 2009. 

  11. C. Liebenson, A.M. Karpowicz, S.H.M. Brown, and S.J. Howarth, "The 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 and lumbar spine stability," The American Academy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1, pp. 530-535, 2009. 

  12. S.C. Chon, K.Y. Chang, and J.S.H. You, "Effects of abdominal draw-in Maneuver in combination with ankle dorsiflexion in strengthening the transverse abdominal muscle in healthy young adults and patients with low back pain," Physiotherapy, vol. 96, no. 2, pp. 130-136, 2010. 

  13. J.M Mens, A. Vleeming, C.J. Snijders, H.J. Stam, and A.Z. Ginai, "The active straight leg raising test and mobility of the pelvic joints," European Spine Journal, vol. 8, no. 6, pp. 468-474, 1999. 

  14. C.G. Omer, G.S. Dedrick, R. James, J.M. Brismee, T.L. Hooper, M.K. McGalliard, P. S. Sizer, "Co-contractive activation of the superficial multiidus during volitional preemptive abdominal contraction," PM&R, vol. 6, Iss. 1, pp. 13-21, 2014. 

  15. R.F. Escamilla, M.S. McTaggart, and E.J. Fricklas, "An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commercial and common abdominal exercises: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J Orthop Sports Phys Ther., vol. 36, no. 2, pp. 45-57, 2006. 

  16. J.S. Oh, H.S. Cynn, and J.H. Won, O.Y. Kwon, C.H. Yi, "Effects of performing an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during prone hip extension exercises on hip and back extensor muscle activity and amount of anterior pelvic-tilt," J Orthop Sports Phys Ther., vol. 37, no. 6, pp. 320-324, 2007. 

  17. E.O. Kim, T.H. Kim, J.S. Roh, H.S. Cyun, H.S. Choi, and D.S. Oh, "The Influence of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on Lumbar Lordosis and Trunk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Bridging Exercise," Physical Therapy Korea", vol. 16, pp. 34-39, 2009. 

  18. P. Konard, K. Schmitz, and A. Danner, " Neuromuscular evaluation of trunk training exercise," J Athletic Training, vol. 36, no. 2, pp. 109-118, 2001. 

  19. B.J. Hwang, and J.W. Kim,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Lumbar and Lower Extremity Strength of the Elderly women," J.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ol. 6, pp. 267-275, 2011. 

  20. M.K. Lee, J.M. Kim, H.K. Kim, and W.H. Kim,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Leg Patterns on the Muscle Activation of Neck Flexors," Physical Therapy Korea, vol. 15, pp. 46-53, 2008. 

  21. H.O. Lee, B.O. Gu, "Recruitment Patterns of Lumbar Extensor and Hip Extensors in Trunk Flexion and Extension," J. of Korean Society of Phys Ther., vol. 21, no. 1, 2009. 

  22. C. Richardson, P. Hodges, and J. Hides, Therapeutic exercise for lumbopelvic stabilization, churchill-living stone, Churchill Livingstone, Second Edition,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