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 4·5세 유아가 인식한 노인 이미지 연구
The image of Elderly perceived by age of 4 and 5 yea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2 no.2, 2016년, pp.1 - 8  

남기원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만 4세와 만 5세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떠한지, 또한 이러한 이미지가 조부모와의 동거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K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4세 유아 30명과 만 5세 유아 24명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를 알기 위한 그림그리기 검사와 그림에 대한 면담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가 노인에 대해서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영역은 가족 관계면 이었고,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영역은 노인의 신체적인 면이었다. 둘째,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는 조부모와의 동거 경험 유무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세대 간의 문화 이해와 소통을 위한 연구에 기초자료 제공과 세대프로그램 개발 자료로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4 and 5 years old children on the elderly, and how different the perceptions wer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living with grandpar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4 children, 4 and 5 years old K kindergarten in H city. In the procedur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만 4세와 만 5세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떠한지 유아들의 그림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러한 이미지이 조부모와의 동거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조부모와의 접촉에 따른 유아의 노인 이미지 인식이 선행 연구에서 서로 반대되는 결과가 나왔다는 것에 주목하여 새로운 연구와 비교를 통해 실제 조부모와의 동거 유무에 따른 이미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노인에 대한 올바른 이미지를 위해 활용 가능한 교육적 방안 모색 필요성을 강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만 4,5세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떠하며 이러한 이미지가 조부모와의 동거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 인식하고 있는 노인의 이미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유아가 인식하고 있는 노인에 대한 그림그리기, 유아가 그린 그림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교실을 방문하기 전에 원장, 원감과 담임교사를 통해 연구의 취지와 연구 방법을 이야기하여 연구참여자의 배경 및 연구 현장에 대해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이를 기초로 하여 노인 이미지에 대한 그림 그리기 검사와 그림에 대한 면담 시 사용할 질문을 구성하였다.
  • 또한 조부모와의 접촉에 따른 유아의 노인 이미지 인식이 선행 연구에서 서로 반대되는 결과가 나왔다는 것에 주목하여 새로운 연구와 비교를 통해 실제 조부모와의 동거 유무에 따른 이미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노인에 대한 올바른 이미지를 위해 활용 가능한 교육적 방안 모색 필요성을 강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만 4세와 만 5세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떠한지 유아들의 그림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러한 이미지이 조부모와의 동거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조부모와의 접촉에 따른 유아의 노인 이미지 인식이 선행 연구에서 서로 반대되는 결과가 나왔다는 것에 주목하여 새로운 연구와 비교를 통해 실제 조부모와의 동거 유무에 따른 이미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 수는? 전 세계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다른 연령층 보다 빠른 연간 2%의 증가율로 늘어나고 있다(한현지, 2005). 우리나라 역시 빠른 노인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데 65세 이상 노인은 662만4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 5061만7000명 가운데 13.
전 세계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몇 % 증가율로 늘어나고 있는가? 과학문명의 발달로 생활환경이 개선되고, 의료와 보건 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수명이 길어지는 고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 세계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다른 연령층 보다 빠른 연간 2%의 증가율로 늘어나고 있다(한현지, 2005). 우리나라 역시 빠른 노인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데 65세 이상 노인은 662만400명으로 집계됐다.
성장 시기에 따라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종단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한 근거는? 둘째, 유아를 대상으로 한 노인 이미지의 연구의 경우 긍정적인 결론이 많은 반면, 초등 이상을 대상으로한 경우에는 부정적인 결론을 도출해낸 연구가 많았다. 따라서 성장 시기에 따라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종단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tatistics Korea. (70 years after its liberation, in Statistics) Change of Korean society. 2015 

  2. S. M, Yang. Family related variables for infants' awareness of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yung sung, 2011. 

  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Ministry. Healthy, happy people the Republic of Korea : Policy package of materials, 2, social welfare.Aging Society and measures, 2013. 

  4. S. J, Lee. Age for senior citizens with this step-by-step mann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ans, 1989 

  5. J. Y, Ha. A Qualitative Research of the Role and Image of an Elderly Volunteer in an Child Educare Center.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1, No. 3.pp. 1-25, 2004. 

  6. M. J, Sin. Grandparents, grandchildren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childhood imag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Dong Kuk, 1991. 

  7. M. H, Baek, (The) relationships of the adolescent with parents and grandparents and their effect on ego ident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ans. 1991. 

  8. D. I, Seo. Grandmothers and Grandchildren : Patterns of Contact and Grandmothers' Role Performanc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7, No. 2, pp. 45-60, 1989. 

  9. U. S, Park. Grandparent-Adolescent Relationship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ans. 1990. 

  10. J. S, Im. (A)study of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the ag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yung Hee. 1979. 

  11. M. S, Jung. Children's perception toward the elderly according to variable of child, parents and grandparen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thesis. 1996. 

  12. D. I, Seo. (The) psychological closeness between Grandmothers and Grandchildren: comparative study of the Grandmot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Kyung Hee. 1991 

  13. Y. S, Kim. Parent-grandparent impact on the intimacy of the fact that the elderly and the aging of youth -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Relation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ans. 1993. 

  14. J. H, Lee. and H. J, Kim. (For infants and children) Plastic art activity. Seoul : Paranmum, 2008. 

  15. Y. S, Lee. The Structure of Children's Consciousness About Grandparents. 同大論, Vol.17 No.叢 1, pp. 371-383, 1987. 

  16. M. J, Lee. Awareness of the elderly study of the 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Busan National, 1996. 

  17. J. Y, Hong. Awareness of the elderly study of preschoolers.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master's thesis. 2006. 

  18. Barenboim, C. (1981). The Development of Person Percept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From Behavioral Comparisons to Psychological Constructs to Psychological Comparisons. Child Development, Vol. 52, No. 1 (Mar., 1981), pp. 129-144. 

  19. B. I, Choi. A Study on Educational Meaning of Image Research. 初等敎育學硏究, Vol.16 No.1, pp. 141-157. 2009. 

  20. J. H, Lee. Art Education, Seoul : Kyomoonsa, 1995. 

  21. J. H, Lee. and H. J, Kim. (For infants and children) Plastic art activity. Seoul : Paranmum, 2008. 

  22. M. Y, Byun. The responses on elderly generation integrated access to education, children and those non-participating of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hangwon. 2009. 

  23. J. Y, Ha. A Qualitative Research of the Role and Image of an Elderly Volunteer in an Child Educare Center.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1, No. 3.pp. 1-25, 2004. 

  24. H. Y, Choi. Children aged between five infants' awareness of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ans, 2002. 

  25. U. J, Joe. Understanding the Im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幼兒敎育硏究, Vol.27 No.3, pp. 315-336, 2007. 

  26. S. D, Choi.. 'elementary school' search topic through the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child in elementary school image chang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hung-Ang. 2010. 

  27. H. I, Hwang., M. J, Kim., and J. H, Tark. A study of five-year-old children's happiness as measured by the cognition of being happy and the condition of happiness. Eco Early Childhood Research, Vol. 12, No. 4, pp.93-122, 2013. 

  28. B. A, Yun. Infantile image is parents to underst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hung-Ang, 2015. 

  29. S. Y, Yun. and H. S, Ryu.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Perceived Concept of the Poor and the Rich. 幼兒 敎育學論集, Vol.12, No.6, pp. 31-57, 2008. 

  30. S. Y, Joe. An image seen through the picture of infant childhood education for institutions in play and mea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Womans. 2012. 

  31. J. W, Kim., H. B, Kim., K. Y, R., and J. W, Kim. An understanding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eoul : Parkyoungsa,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