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이 호흡기 점액의 생성 및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aeumganghwa-tang on Production and Secretion of Respiratory Mucus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0 no.2, 2016년, pp.31 - 46  

천진홍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민상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소아과학교실) ,  김장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Ja-eum-gang-hwa-tang (JGT) on the increase in airway epithelial mucosubstances of rats and ATP- or PMA- or EGF- or TNF-${\alpha}$-induced MUC5AC mucin production and gene expression from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were investigated. Material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滋陰降火湯이 기도 점액의 과다 분비를 억제한다면, 점액의 주된 생화학적 구성요소인 뮤신의 생성 및 그 유전자 발현 등 세포 및 분자 수준에서는 어떠한 작용을 발현하는지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후속 실험을 진행하였다. 인체 기도 뮤신의 거동과 관련된 연구모델로 자주 사용되는 인간 기도 상피세포인 NCI-H292 세포를 이용하여39) 아데노신 삼인산 (ATP), 상피세포 성장인자 (EGF), phorbol ester (PMA), 종양괴 사인자 (TNF)로 각각 기도 뮤신의 생성 (production)을 자극한 상태에서 24시간의 JGT 처리 기간 동안 기도 뮤신인 MUC5AC 뮤신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뮤신 유전자 발현을 자극한 상태에서 24 시간의 JGT 처리 기간 동안 MUC5AC mRNA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 또한, 기도 점액의 과다 분비를 조절하는 효능을 발현하는 JGT가 실험동물에 대한 독성을 유발하지 않아야 하는데, 이는 유효하면서도 안전성이 담보되어야 하는 약물로서의 기본적인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도 점액 과다 분비 흰쥐 모델에서 JGT의 경구 투여에 대한 생체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흰쥐의 체중 증가도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간기능과 신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측정하였다. 체중 증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주간의 JGT 경구투여 기간을 포함한 전체 3주간의 실험기간 동안 각 흰쥐의 체중 변화를 측정하였는데, 대조군은 140 ± 10 g (100 ± 7% control)로, JGT를 투여한 군은 136 ± 4 g (97 ± 3% control)로 측정되어 체중 변화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Fig.
  • 투여된 JGT의 생체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한 하나의 지표로서 JGT 투여기간을 포함하여 전. 실험기간 중 각 흰쥐모델의 체중 증가 정도, 즉 실험 시작 시점의 각 흰쥐 모델의 체중과 실험 종료 시점의 체중의 차이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JGT를 투여한 군 간에 비교함으로써, JGT 투여가 각 흰쥐모델의 영양 및 대사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에 저자는 기도 점액의 과다 분비 및 이와 연관된 기도 뮤신의 생성 및 유전자 발현에 어떠한 작용을 발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도 점액 과다 분비 흰쥐 모델에서 상피 배상 세포 (goblet cell) 내의 점액 함유량에 대한 滋陰降火湯의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세포 수준에서의 滋陰降火湯의 약리작용 및 그 기전을 탐색하기 위하여 인간의 기도 상피 세포인 NCI-H292 세포에서 기도 뮤신인 MUC5AC 뮤신의 생성에 대한 약물의 영향과 기도 뮤신 유전자인 MUC5AC mRNA의 발현을 관찰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저자는, 陰虛火旺으로 인한 여러 咳嗽, 痰盛 등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滋陰降火湯이 기도 점액의 과다 분비 및 그 기저 생리현상으로서의 기도 뮤신 생성 및 유전자 발현에는 어떤 약리작용을 발현하는지 관찰함으로써, 여러 급성·만성 호흡기 염증성 질환에서 관찰되는 기도 점액과다 분비 현상의 조절약물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도 점액이란? 기도 점액은 수분, 지질, 당단백질, 단백질, 염류, 효소, 항효소 물질, 산화성 물질, 항산화성 물질, 외인성 세균, 내인성 항균물질, DNA 등 세포 잔해, 히스타민 등 세포 및 혈장유래 염증매개 물질의 혼합물이다5). 특히, 뮤신 (mucin)은 점액성 당단백질 (mucous glycoprotein)로 전체 점액 중량의 2% 정도만을 차지하는 물질이나 이러한 점액 (mucus)에 물리화학적 성질인 점탄성 (viscoelasticity)을 부여하는 주요한 생화학적 구성요소이다.
양이온성 polypeptide의 단점은? 서양의학에서는 기도 점액 생성 및 유리 자체를 억제하는 약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glucocorticoid나 poly-L-lysine (PLL), poly-L-arginine 등의 양이온성 polypeptide가 호흡기 뮤신 분비를 억제하는 물질로서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은 그 다양한 약리 작용 및 부작용 등으로 인해 호흡기 질환의 임상에서 적절히 응용되기에는 많은 제한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8,20,32).
뮤신이란? 기도 점액은 수분, 지질, 당단백질, 단백질, 염류, 효소, 항효소 물질, 산화성 물질, 항산화성 물질, 외인성 세균, 내인성 항균물질, DNA 등 세포 잔해, 히스타민 등 세포 및 혈장유래 염증매개 물질의 혼합물이다5). 특히, 뮤신 (mucin)은 점액성 당단백질 (mucous glycoprotein)로 전체 점액 중량의 2% 정도만을 차지하는 물질이나 이러한 점액 (mucus)에 물리화학적 성질인 점탄성 (viscoelasticity)을 부여하는 주요한 생화학적 구성요소이다. 정상적인 생리 상태에서 뮤신은 생체 방어적으로 작용하지만, 다양한 만성 기도 질환에서 관찰되는 점성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점액의 과다 생성 혹은 과다 분비 즉, 뮤신의 양과 질의 이상은 병리적 요소로 작용하여 질환의 악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호흡기 질환의 예후를 악화시키는 주된 요인이 된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hn HS. Pediatrics 9th edition. Seoul: Daehangyogwaseo. 2007:585-98, 629-52. 

  2. Kim KB, Kim DG, Kim YH, Kim JH.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eoul: UiSungDang. 2010:37-9, 339-407. 

  3.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Pathology of Korean medicine. Seoul: Iljungsa. 2002:69-81. 

  4. Department of Pulmon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Pulmonology of Korean medicine (東醫肺系內科學). Seoul: Hanmunhwasa. 2002:52-5, 102-14. 

  5. Sim JJ. Signal transduction of MUC5AC expression in airway mucus hypersecretory disease. Tuberc Respir Dis. 2003;55(1):21-30. 

  6. Voynow JA, Rubin BK. Mucins, mucus, and sputum. Chest. 2009;135(2):505-12. 

  7. Culpitt SV, Rogers DF, Traves SL, Barnes PJ, Donnelly LE. Sputum matrix metalloproteases: comparison betwee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asthma. Respir Med. 2005;99(6):703-10. 

  8.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ic & respiratory disease. Pediatric allergic & respiratory disease. Seoul: Gunja publishing co. 2005:350-4. 

  9. Rogers DF. Airway mucus hypersecretion in asthma: an undervalued pathology?. Curr Opin Pharmacol. 2004;4(3):241-50. 

  10. Rogers DF, Barnes PJ. Treatment of airway mucus hypersecretion. Ann Med. 2006;38(2):116-25. 

  11. Rogers DF. Mucociliary dysfunction in COPD: Effect of current pharmacotherapeutic options. Pulm Pharmacol Ther. 2005;18(1):1-8. 

  12. Kong JH. Manbyeonghoichun. Seoul: Haenglimseowon. 1975:204-5. 

  13. Jo GH. East-West medical analysis methodology of Korean medicine prescriptions. Seoul: Korea Medicine. 1999:430. 

  14. Cho YB, Lee HG. A study of effects of Jaumganghwatang on the antipyresis, analgesia, anticonvulsion and $O_3$ poisned lung in rats and mice. Collection of Kyung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s dissertations. 1986;9:475-86. 

  15. Jeong HJ, Oh TH, Jeong SK, Lee HG. A study of effects of Jaeumganghwa-tang and Jaeumganghwa-tang-gamibang on the experimentallung damage and the hemostasis. Collection of Kyung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s dissertations. 1992;15:373-83. 

  16. Kim YK, Kim HJ, Kim WJ. Park HJ, Moon G, Kim DW. Inhibitory effect of Jaeumganghwa-tang on allergic inflammatory reaction. Korean J Orient Int Med. 2004;25(2):174-82. 

  17. Jung DY, Ha HK, Lee HY, Lee JA, Lee JK, Huamg DS. Stimulation of the immune response by Yin-tonifying formula. J Korean Med. 2010;31(5):112-23. 

  18. Hwangdoyeon. Bangyakhappyeon. Seoul: Youngrimsa. 2003:205. 

  19. Pon DJ, Van Staden CJ, Boulet L, Roger IW. Hyperplastic effects of aerosolized sodium metasulfite on rat airway mucus-secretory epithelial cells. Can J Physiol Pharmacol. 1994;72(9):1025-30. 

  20. Lee CJ. Effects of poly-L-arginine on the mucin release from airway goblet cells of hamster and on the mucosubstances of airway goblet cells of rat. J Appl Pharmacol. 2001;9(4):263-9. 

  21. Harkema JR, Hotchkiss JA. In vivo effect of endotoxin on intraepithelial mucosubstances in rat pulmonary airways: quantitative histochemistry. Am J Pathol. 1992;141:307-31. 

  22. George JA, Cranz DL, Zicker S, Etchison JR, Dungworth DL and Plopper. An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Rhesus monkey respiratoty secretions using monoclonal antibodies. Am Rev Resp Dis. 1986;132:556-63. 

  23. Shao MXG, Ueki IF, Nadel JA. Tumor necrosis factor alpha-converting enzyme mediates MUC5AC mucin expression in cultured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Proc Natl Acad Sci USA. 2003;100:11618-23. 

  24. Song KS, Lee WJ, Chung KC, Koo JS, Yang EJ, Choi JY, Yoon JH. Interleukin- $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duce MUC5AC overexpression through a mechanism involving ERK/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MSK1-CREB activation i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J Biol Chem. 2003;278:23243-50. 

  25. Karlinsey J, Stamatoyannopoulos G, Enver T. Simultaneous purification of DNA and RNA from small numbers of eukaryotic cells. Anal Biochem. 1989;180(2):303-6. 

  26. Oh KT. Wenbingtiaobian (溫病條辨).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co. 1994:190-1. 

  27. Kang MS, Jang GT, Kim JH. A study on chronic or recurrent respiratory symptoms. J Pediatr Korean Med. 2002;16(2):83-99. 

  28. Choi MH, Kim DK, Lee JY. A study of the chief complaint of pediatric outpatients in the Kyung hee oriental medicine hospital (2009 3월-2010년 2월). J Pediatr Korean Med. 2010;24(3):121-37. 

  29. Lee CJ, Ko KH. Pathophysiologic characteristic of airway mucus-hypersecretory disease and experimental models. J Appl Pharmacol. 1998;6(1):1-8. 

  30. Jeong CH, Han JK, Kim YH. Effects of Bojung-ikgitang-gamibang and Seonbang-paedoktang on secretion of airway mucus and expression of mucin gene. J Pediatr Korean Med. 2007;21(3):33-55. 

  31. Rubin BK. Physiology of airway mucus clearance. Respir Care. 2002;47(7):761-82. 

  32. Lee CJ. Specificity in the inhibition of mucin release from airway goblet cells by polycationic peptides. Appl Pharmacol. 2001;9(3):218-23. 

  33. Shanghai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Chinese internal medicine. Hong Kong: Commercial Press. 1982:24-5. 

  34.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Pulmonology. Seoul: Gunja publishing co. 2004;77-9. 

  35. Huh J. Donguibogam. Kyungnam: Donguibogam publishing co. 2005:198-225, 615-38. 

  36. Kim WH. Principles of Korean medicine. Seoul: Seongbosa. 2003:352-8. 

  37. Department of herb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Herbology. Seoul: Younglimsa. 2005:203-5, 233, 392-4, 581-3, 586-8, 632-8, 647-8. 

  38. Sin JY. Commentary of Bangyakhappeon (方藥合編). Seoul: Seongbosa. 1991:127-8. 

  39. Kai H, Yoshitake K, Hisatsune A, Kido T, Isohama Y, Takahama K, Miyata T. Dexamethasone suppresses mucus production and MUC2 and MUC5AC gene expression by NCI-H292 cells. Am J Physiol. 1996;271(3):L484-8. 

  40. Schmidt R, Hecker E. Autoxidation of phorbol esters under normal storage conditions. Cancer Res. 1975;35:1375-7. 

  41. Saitoh T, Dobkins KR. Protein kinase C in human brain and its inhibition by calmodulin. Brain Res. 1986;379:196-9. 

  42. Yuan-Chen WD, Wu R, Reddy SP, Lee YC, Chang MM. Distinctiv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extracellular regulated kinase-independent and -dependent signaling pathways in the induction of airway mucin 5B and mucin 5AC expression by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Am J Pathol. 2007;170(1):20-32. 

  43. Li D, Gallup M, Fan N, Szymkowski DE, Basbaum CB. Cloning of the amino-terminal and 5'-flanking region of the human MUC5AC mucin gene and transcriptional up-regulation by bacterial exoproducts. J Biol Chem. 1998;273:6812-20. 

  44. Kim SJ, Kang CM, You MB, Yoon HK, Kim YK, Kim KH, Moon HS, Park SH, Song JS. IP-10 decreases TNF- ${\alpha}$ induced MUC5AC expression i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a possible relation with little sputum production in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Tuberc Repir Dis. 2008;64:347-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