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협 추출물이 HaCaT cells의 항염증과 SEB-1 cells의 피지분비 억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Anti-inflammatory Action in HaCaT Cells and Inhibiting Sebum Secretion in SEB-1 Cells by Gleditsiae Fructus Extract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0 no.2, 2016년, pp.96 - 106  

구은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한재경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윤희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leditsiae Fructus 70% EtOH extract (JS_E) on anti-inflammatory action in HaCaT cells (A spontaneously immortalized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and inhibiting triglyceride genesis in SEB-1 cells (Immortalized human sebocyte).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NF-α와 IFN-γ를 처리한 HaCaT cells에서 발현되는 RANTES, IP-10, MDC 등의 케모카인은 Th 1,2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발되어 수지상세포와 림프구 등 초기 면역반응 세포의 감염 부위로의 이동 및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염증세포의 조직 침윤을 유도하고 선천면역과 함께 획득면역 발달에 관여하는 단백 효소이다43). 본 실험에서는 염증이 유발된 HaCaT cells에서 IP-10, RANTES, MDC 단백질을 증가시킨 후 JS_E가 이들 유전자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ELISA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JS_E는 대조군에 비해 200 ㎍/㎖의 농도에서 IP-10의 발현을 유의성 있게 (p<0.
  • acnes 증식을 억제하는 결과를 가져온다49).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지의 가장 많은 구성 성분으로서 P. acnes과 모공 각질세포의 손상에 의한 염증 유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trygliceride의 생성량을 지표로 조협 추출물이 SEB-1 cells의 lipid pattern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G-S 키트를 이용해 SEB-1 cells의 triglyceride의 양을 분석한 결과, 정상 대조군에 비해 JS_E를 처리한 군에서는 SEB-1의 증식이 억제되는 100, 200, 400 ㎍/㎖의 농도에서 모두 triglyceride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
  • 이에 저자는 TNF-α와 IFN-γ recombinant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HaCaT cells와 SEB-1 cells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조협 추출물의 항염증 및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관찰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저자는 TNF-α와 IFN-γ recombinant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인간각질형성세포 (HaCaT cells)에 조협 추출물을 처리하여 ELISA를 통해 IP-10, RANTES, MDC 단백질 생성량을 측정하고, 조협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피지선세포 (SEB-1 cells)에서 생성되는 triglyceride의 양을 측정한 결과 조협의 항염증 및 피지 분비억제 효과를 관찰하여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조협 추출물이 HaCat cells에서 IP-10, RANTES, MDC 발현에 미치는 효과와 SEB-1 cells에서 triglycer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방에서 여드름 치료에 어떤 것들을 이용하는가? acne) 균의 증식, 피지선 주위의 염증이 주 발생 원인이 되며 이러한 여러 인자의 상호 작용과 함께 모낭 내 물질이 진피로 유출되어 발생한다2-3). 양방에서는 여드름 치료에 국소 도포제 및 경구 약물로 benzoyl peroxide, retinoid, azelaic acid, tetracycline, erythromycin, isotretinoin 등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들 약물은 자극성 피부염, 색소 침착, 홍반, 항생제 내성 등의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고 일부는 12세 이하의 소아에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2).
한의학에서 보는 여드름의 원인은 무엇인가? 한의학에서는 여드름이 粉刺, 面皰, 面瘡, 肺風粉刺, 粉花瘡 등4)에 해당한다. 발생 원인으로는 風, 濕, 熱의 外因과 脾胃濕熱, 肺熱, 血熱, 痰飮, 陰虛, 衝任不調 등의 內因이 있으며 병리학적으로는 脾氣不建, 運化失調하여 水濕이 內停하고 이것이 오래되어 成痰, 化熱하여 피부에 凝聚되면 낭종, 결절을 형성하게 되는데, 치료는 환자의 개인별, 체질별 증상에 맞추어 淸泄肺胃, 凉血淸肺, 活血散結, 健脾化痰, 利濕淸熱, 疏肝解鬱 등의 치법에 따라 체침, 안면침, 미세다륜침 등의 침치료와 탕약치료 및 散劑, 膏劑, 汁 등을 이용한 洗滌, 塗敷, 濕敷 등의 외치법이 이용되고 있다4-6). 더불어 여드름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한약재의 효능을 밝히기 위한 다양한 약리학적 연구7-11)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외 국내 여드름 치료 약물 연구에는 凉膈散火湯12), 顚倒散13), 淸上防風湯加味14), 玉容散15), 加減枇杷淸肺飮16), 連翹敗毒散加味方17), 如意金黃散18) 등의 처방을 이용한 실험적 연구와 이 등19)의 六味地黃湯加味方 복용 및 면포 압출 치료, 김 등20)의 淸上防風湯 복용에 관한 임상 연구가 있었고 외용제 연구로는 김 등21)의 국내 여드름 외용약 치료에 대한 고찰 연구, 홍22)의 顚倒散을 이용한 임상 연구가 있었다.
여드름은 무엇인가? 여드름은 사춘기에 호발하는 모피지선 단위(pilosebaceous unit)의 자기국한성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우리나라의 약 80∼95%의 성인이 과거에 여드름을 경험했거나 현재 앓고 있다1). 여드름은 모낭 각질형성 세포의 과증식, 피지의 과다 분비, propionibacterium acne (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Jung JY. ACNE. Seoul: MDworld Co. 2007:15-35. 

  2. Hwang KY. ABC of dermatology. Seoul: Medbook Co. 2001:91-9. 

  3. Yu M. Review of the kind, pathogenesis, treatment and management of acne. Grad School Konkuk Univ. 2003. 

  4.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Sung HK, Yu SA, Lee SY, Lee JY, Chang GT, Jung MJ, Chai JW, Chun JH, Han YJ, Han JK. Pediatr Korean Medicine. Seoul: EuiSeongDang Publishing Co. 2015:398-401. 

  5. Roh SS. Wonsaek Dermatology. Seoul: Ibicykihuik Co. 2006:737-41. 

  6.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Hanbangyeosunguihak. Seoul: EuiSeongDang Publishing Co. 2012:866-75. 

  7. Kim KL. Antimicrobial activity and acne improvement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Grad School Wonkwang Univ. 2009. 

  8. Lee SY. The effects of Sulfur extract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 Grad School Sangji Univ. 2007. 

  9. Yoon JY. Effect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on P. acnes and sebocytes. Grad School Konkuk Univ. 2011. 

  10. Jeon OD. The effects of Houttuyniae herba extract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Grad School Sangji Univ. 2007. 

  11. Kim NK, Kim MH, Yoon CS, Choi SW.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aulownia Coreana Uyeki leaf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 2006;32(4):241-7. 

  12. Tak MJ. The inhibitory effects of Yang Geouk San Hwa Tang on LPS-stimulated inflammation in RAW264.7 macrophage cells. Grad School Dongeui Univ. 2010. 

  13. Choi KH. The effects of Jeondo-San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Grad School Sangji Univ. 2007. 

  14. Hong SH, Roh SS. The study on the effect of Chungsang BangpungTang and Lonicerae flos, Coicis semen (CBTLC) on acnes. J Korean Orient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2;15(1):315-35. 

  15. Hyung YK. The study on the effect of Okyongsan in acnes. Grad School Woosuk Univ. 1998. 

  16. Yim HS. The experimental study of Gagambipachungpe-eum on acne. Grad School Kyunghee Univ. 2000. 

  17. Kim SB. Effect of the addition temperament drugs of Yeongyopaedock-san on acne in the state of inflammation. Grad School Gachon Univ. 2002. 

  18. Yoo JG. The effects of Yeouigeumhwang-san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Grad School Sangji Univ. 2007. 

  19. Lee YS, Yoon JY, Han JK, Kim YH. A case study about the effect of Yukmijihwangtang Gamibang and comedon extraction on male acne. Collection of dissertations.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Med, Daejeon Univ. 2011;20(1):119-25. 

  20. Kim JH, Yoo DY. A case report of acne vulgaris patient treated with Cheongsangbangpung-tang. Collection of dissertations,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Med, Daejeon Univ. 2013;22(1):185-91. 

  21. Kim MA, Kim MB, Shin SH, Byun SM, Ko WS, Lee HS, Park SK, Yoon HJ. The study on external treatment of oriental medical care on acne. J Korean Orient Med Opht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8;21(2):102-11. 

  22. Hong SH. The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Jeondo-san (Diandao-san) on acnes. J Korean Med. 2005;26(3):74-9. 

  23. Hanuigwadaehak Bonchohak Pyeonchanwiwonhoe. Bonchohak. Seoul: Yeongrimsa Publishing Co. 2008:490-1. 

  24. Shin KG. Shincibonchohak. Seoul: Sumunsa Publishing Co. 1973:404-7. 

  25. Jang KA. Hankulkyoungakjeonsu (2). Seoul: Hanmiuihak Publishing Co. 2011:58. 

  26. Lee SJ. Bonchogangmok. Seoul: Komunsa Publishing Co. 1993:1153-7. 

  27. Heo J. Shindaeyukdonguibokam. Seoul: Bubinmunhwasa Publishing Co. 2009:597-9. 

  28. Lee EO, Yu CS. Prosapogenin in pods of Gleditschia officinalis. J Korean Pharmacog. 1978;9(2):93-7. 

  29. Seo BI. A philological study on poisoning of Glenditsiae fructus. J East West Med. 2008;33(1):15-28. 

  30. Kim YJ, Kim J, Park HJ, Lee CM. Inhibition effect of Gleditsia sinensis lam on T tyrosinase activit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elated to Melanin biosynthes. J Korean Biotechnol Bioengineering. 2005;15:541-3. 

  31. Park DY.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Gleditsiae fructus. Grad School Chungang Univ. 2012. 

  32. Berridge MV, Tan AS. Characterisation of the cellular reduction of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 ltetrazolium bromide (MTT): Subcellular localization, substrate dependence, and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electron transport in MTT reduction. Archives Biochem Biophys. 1993;303:474-82. 

  33. Park HJ, Kim MM, Lee DH. Effect of saponin with antioxidant activity on matrix Metalloproteinase in human dermal fibroblasts. Kor J Life Sci. 2011;21(9):1266-73. 

  34. Joh EH.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ponin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Grad School KyungHee Univ. 2015. 

  35. Geum JH. Compounds from the spina of Gleditsia japonica and their anti-inflammatory. Grad School Catholic Univ of Daegu. 2015. 

  36. Seo CS, Lim HS, Ha H, Jin SE, Shin HK. Quantitative analysi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leditsia sinensis thorns in RAW 264.7 macrophages and HaCaT keratinocytes. Mol Med Rep. 2015;12(3):4773-81. 

  37. Park EH, Shin MJ. Anti-inflammator activity of aqueous extrat from Gleditsiae spina. J Korean Pharm Soci. 1993;37(2):124-8 

  38. You JY.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f Gleditsia japonica Miquel var. Koraiensis Nakai in raw 264.7 cells. Grad school Chung-ang Univ. 2009. 

  39. Park NH.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ST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on mouse macrophage cells and the CIA mouse model. Grad School Korea Univ. 2015. 

  40. Han YS, Choi TB, Lee YH, Kim CJ, Kim JY, Jang MH. Dermatology (3rd edition). Seoul: Jungdammedia. 2011:18-22, 75-80. 

  41. Lee KE, Nam JJ, Kim SM, Kim HK, Moon SJ, Youm JK.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mixture of Sorbus commixta, Urtica dioica, Phyllostachys nigra, and Rhus semialata Gall extracts on LPS-induced inflammation in HaCaT cells. J Soc Cosmet Sci Korea. 2014;40(1):45-54 

  42. Kim HJ, Kim WS, Park HJ, Moon G, Kim DW, Won JH, Kim YK. Inhibitory effect of Jaeumganghwa-tang on allergic inflammatory reaction. Korean J Orient Int Med. 2004;25(2):174-82. 

  43. Andrew D Luster. The role of chemokines in linking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Curr Opin Immunol. 2002;14(1):129-35. 

  44. Park SJ, Kim YM, Lim KS, Woo WH, Mun YJ. Inhibitory effect of extract of Ficis folium on the Sebum synthesis in human sebocyte cell line (SZ95). J Korean Orient Physiol Pathol. 2006;20(4):919-23. 

  45. Monica O, Emanuela C, Mauro P. Lipid mediators in Acne. J Mediat Inflamm. 2010:Article ID 858176. 

  46. Park SM. Studies on the effects of sucrose disinapate isolated from Raphanus sativus for the production of sebum in sebocytes. Grad School Hanbat Univ. 2014. 

  47. Yoon JY. Effect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on P.acnes and sebocytes. Grad School Konkuk Univ. 2011. 

  48. Park JS. Evaluation of the sebosuppressive activity of topical Glycyrrhizinitic acid. Grad School Korea Univ. 2004. 

  49. Higaki. Lip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acne. J Mol Catal B Enzym. 2003;22(5/6):377-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