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적 소수자 기록물 기술요소 설계에 관한 연구 - 한국 퀴어 아카이브 '퀴어락(Queerarch)'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of Archival Description Elements for Sexual Minorities Archives: Focus on the Korean Queer Archives "Queerarch"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6 no.2, 2016년, pp.113 - 142  

최민희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박지영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오효정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연구소)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기록으로 남기려는 민간 공동체 아카이브 구축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이에 성적 소수자들의 기록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퀴어 아카이브인 '퀴어락(Queerarch)'을 중심으로 기록물 구축현황을 알아보고 퀴어기록의 특성과 퀴어락 기술요소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퀴어락 기술요소의 문제점으로 제시된 집합적 기술과 다계층 기술의 부재, 퀴어 기록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ISAD(G), MAD, RAD 등의 기술규칙을 참고하여 새로운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increase in private and community archives to record various different shapes and forms of societies, the establishment of archives for social minorities has heightened. In line with these changes,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n queer archives "Queerarch," which focus on records and archiv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적 소수자를 나타내는 용어에는 무엇이 있는가? 여기서 성적 소수자란 “성적 지향이 이성애가 아니라 동성애 혹은 양성애를 지향하는 동성애자, 양성애자와 자신의 성별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뜻하는 성 정체성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일치되지 않아 성전환수술을 한 트랜스젠더 등(홍설아, 2014)”을 말한다. 성적 소수자를 나타내는 용어는 ‘queer’ 또는 레즈비언(Lesbian), 게이(Gay), 양성애자(Bisexual), 트랜스젠더(Transgender)를 의미하는 ‘LGBT’로도 통용된다. 이러한 성적 소수자의 기록을 관리하는 한국 퀴어 아카이브인 ‘퀴어락(Queerarch)’은 “성적 소수자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기록들을 수집, 정리하여 오프라인과 온라인상으로 공유, 검색, 열람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기반으로 역동적인 인적, 지적 교류와 증진을 이루기 위한 목적”(홍설아, 2014)을 가지고 설립되었다.
성적 소수자 단체 및 성적 소수자들의 기록물을 사회의 한 단면으로써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퀴어락에서는 성적 소수자 관련 단체들의 활동과 개인 수집품 등 성적 소수자와 관련된 기록을 다양하게 수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성적 소수자 단체는 성적 소수자들의 인권을 향상시키고, 성적 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여 억압과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인권운동과 더불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축제 및 영화제 등을 통해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성적 소수자 단체 및 성적 소수자들의 기록물은 이 시대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는 한 단면으로써 보존하고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노력이 현재에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성적 소수자는 무엇인가? 민간 공동체 아카이브 중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될 민간기록 대상은 성적 소수자의 삶을 반영하는 성적 소수자의 기록이다. 여기서 성적 소수자란 “성적 지향이 이성애가 아니라 동성애 혹은 양성애를 지향하는 동성애자, 양성애자와 자신의 성별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뜻하는 성 정체성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일치되지 않아 성전환수술을 한 트랜스젠더 등(홍설아, 2014)”을 말한다. 성적 소수자를 나타내는 용어는 ‘queer’ 또는 레즈비언(Lesbian), 게이(Gay), 양성애자(Bisexual), 트랜스젠더(Transgender)를 의미하는 ‘LGBT’로도 통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민지, 김판준 (2014). 대학기록관 박물의 통합검색을 위한 기술 요소의 선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2), 7-30.(Kim, Min Ji & Kim, Pan Jun (2014). A Study to select and apply description elements for the integrated search of archival objects in university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4(2), 7-30.) 

  2. 김진성 (2011). 영화 기록의 기술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0, 89-123.(Kim, Ji Sung (2011). A study on description about archival materials in film archiv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0, 89-123.) 

  3. 남영준, 문정현 (2010). 시청각기록물의 기술요소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67-80.(Nam, Young-Joon & Moon, Jung-Hyun (2010). A study on the extension of the description elements for audio-visual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4), 67-80.) 

  4. 박진희, 이두영 (2005). 특수형태 기록물 관리를 위한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241-263.(Park, Jin-Hee & Lee, Too-Young (2005). A study on the description elements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format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1), 241-263.) 

  5. 설문원 (2004). 행정기관의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요소 분석: ISO 15489를 기준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1), 217-242.(Seol, Moon-Won (2004). An analysis of the record keeping metadata elements based on ISO 15489 requiremen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5(1), 217-242.) 

  6.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Youn, Eun-ha (2012). Communities and community archiv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3, 3-37.) 

  7. 윤은하, 배삼열, 심갑용, 김용 (2014). 축제기록물의 통합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1), 25-51.(Youn, Eun Ha, Bae, Sam Yeol, Shim, Gab Yong, & Kim, Yong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adata schema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estival archives and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4(1), 25-51.) 

  8. 이경남 (2006). 전자기록의 장기적 보존을 위한 보존메타데이터 요소 분석. 기록학연구, 14, 191-240.(Lee, Kyung Nam (2006). A study on preservation metadata for long 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4, 191-240.) 

  9. 이해영 (2013). 기록조직론. 서울: 한국국가기록연구원.(Lee, Hae Young (2013). Organizing for Archives and Records. Seoul: Seonin Publish Co.) 

  10. 임진희 (2013). 전자기록관리론. 서울: 선인.(Lim, Jin Hui (2013). The management of Electronic Archives. Seoul: suninbooks.) 

  11. 정옥경, 양재한, 이노국, 김태문 (2009). 목록조직의 이해. 대구: 태일사.(Jeong, Ok Kyeong, Yang, Jae Ha, Lee, No Goog, & Kim, Tae Moon (2009). The Understanding of Cataloging Organization. Daegu: Taeil Publish Co.) 

  12.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 서울: 역사비평사.(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2008). The Glossary of Archival Studies. Seoul: Yeoksabipyeong Publish Co.) 

  13.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2011). 퀴어의 기억이 기록이 되다: 퀴어락 구축 스토리. 서울: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Korean Sexual-Minority Culture and Rights Center (2011). Memories of queer be the Archives - the story of queerarch construction. Seoul: Korean Sexual-Minority Culture and Rights Center.) 

  14. 현문수 (2013). 민간.공동체 아카이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술정보 공유 방향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127-150.(Hyun, Moon Soo (2013). A study on sharing descriptive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private and community archive netwo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3), 127-150.) 

  15. 홍설아 (2014). 성적 소수자 아카이브 구축 모형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Hong, Seol Ah (2014).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odel of sexual minority archiv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16. Canadian Committee on Archival Description (2008). 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 (Revised ed.). Ottawa: Bureau of Canadian Archivists. 

  17.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2000). ISAD(G): 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2nd ed.). Ottawa: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Committed on Descriptive Standards. 

  18. Millar, L. A. (2015). 아카이브 원리와 실제. (김용, 김수정, 장준갑 역). 전주: 가람. (원전 발행년 2010).(Millar, L. A. (2015). Archives: Principles and Practice. (translator Kim, Yong, Kim, Su Jeong & Jang, Jun Gab). Jeonju: Garam.) 

  19. Procter, Margaret & Cook, Michael (2000). Manual of archival description (3th ed.). USA: Gower. 

  20. 퀴어락 (2009). 소장자료. 검색일자: 2015. 10. 11. http://www.queerarchive.org/(Queerarch (2009). collection. Retrieved October 11, 2015, from http://www.queerarchive.org/) 

  21.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2002-2008). LGBT, Queer. 성적소수자사전. 검색일자: 2015. 10. 20. http://kscrc.org/bbs/zboard.php?idpress_dictionary(LGBT, Queer (n.d.). Glossary of Sexual-Minority online. Retrieved October 20, 2015, from http://kscrc.org/bbs/zboard.php?idpress_dictionary) 

  22. USC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NE Archives at the USC Libraries. Retrieved November 15, 2015, from http://www.clga.ca/ 

  23. Ontario Trillium Foundation. Canadian Lesbian and Gay Archives (CLGA). Retrieved November 15, 2015, from http://www.clga.c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