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상과 지하역사의 실내공기질 특성과 외기영향 평가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quality in the overground and underground railway station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5, 2016년, pp.17 - 25  

남궁형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환경연구팀) ,  송지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환경연구팀) ,  김수연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환경연구팀) ,  김희만 (한국철도공사 환경경영처) ,  권순박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환경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하역사와 지상역사에서의 실내공기질을 측정하고, 외부 공기에 의한 영향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측정된 물질은 '실내공기질 관리법'상에서 유지기준과 권고기준으로 지정된 항목 중, 농도가 검출되지 않은 석면을 제외한 미세먼지($PM_{10}$), 이산화탄소($CO_2$), 일산화탄소(CO), 이산화질소($NO_2$), 폼알데하이드(HCHO), 오존($O_3$), 총부유세균(TAB),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라돈 등 9종이다. 또한 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오존 등 세 가지 물질은 I/O ratio를 통해 외기에의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공기질 측정결과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에서 미세먼지, 폼알데하이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이산화질소, 라돈 등이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이는 지하역사 내부에 그 오염물질의 발생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오존 농도는 지상역사에서 지하역사보다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특히 외부로 노출되어있는 지상역사 승강장에서 높은 농도를 보임으로써 외기 유입에 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외기에 의한 영향을 받는 오염물질은 역사의 기계환기시 제거 과정을 거쳐 오염물질의 실내유입을 차단하고, 지하역사에서 기인한 미세먼지 등의 물질들은 실내에서 그 발생원에 따른 별도의 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ir quality of underground and overground railway stations was evaluated focusing on the degree of influence of the outside air quality. The measured components were particulate matter ($PM_{10}$), carbon dioxide ($CO_2$), carbon monoxide (CO), nitrogen diox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실내공기질 농도를 측정하고, 외기와의 연관성에 대해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승강장과 대합실이 지하에 위치한 지하역사와 승강장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지상역사에서의 실내공기질을 측정하고, 외부 공기에 의한 영향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측정이 실시된 물질은 ‘실내공기질 관리법’상에서 유지기준과 권고기준으로 지정된 항목 중, 농도가 검출되지 않은 석면을 제외한 미세먼지(PM10), 이산화탄소 (CO2), 일산화탄소(CO), 이산화질소(NO2), 폼알데하이드(HCHO), 오존(O3), 총부유세균(TAB), 총휘발성유기 화합물(TVOC), 라돈 등 9종이다.
  • 실내공기질 분석 항목중 Air Korea에서 확보할 수 있는 PM10, NO2, O3에 대해서 외기가 역사 실내대기질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외기 농도는 도시대기측정망 정보를 활용하여 인접구간의 평균 값을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공기질법에서 지정한 다중이용시설에서 관리가 필요한 오염물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실내공기질법에서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관리가 필요한 오염물질을 미세먼지(PM10), 이산화탄소(CO2), 폼 알데하이드(HCHO), 총부유세균, 일산화탄소(CO), 이산 화질소(NO2), 라돈(Rn),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석면, 오존(O3)으로 지정하였으며, 이는 실내공기질 유지기준항목과 권고기준항목으로 구분된다[3]. 
지하철 미세먼지의 시간대별 농도는 어떤 특성을 갖는가? 국내 선행연구에 따르면, 지하철 미세먼지 오염원은 내부발생원 중 철 관련 오염원과 브레이크 마모관련 오염원이 기여도가 매우 높으며, 미세먼지의 농도는 외부대기 < 승강장 < 객차 순으로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된 바 있다[7-9]. 또한 시간대별 미세먼지의 농도는 지하철 이용객에 의해 오전 출근시간에 그 농도가 증가한 뒤, 점차 낮아지다가 퇴근 시간에 다시 농도가 높아지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7]. 환경부에서 발간된 ‘제2차 지하역사공기질 개선 5개년 대책(2013~2017)’을 통해 지하역사 공기질 오염현황을 살펴보면, 전국 소재 지하역사 미세먼지(PM10) 평균값은 96.
지하철의 실내공기 오염에 대한 우려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전국 도시철도(지하철)는 2014년 기준으로 연간 약 2,527 백만명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이다[1]. 하지만 지하철은 대부분의 역사가 지하공간에 위치 하여 자연환기가 어렵고, 밀폐된 좁은 공간에 다수의 이용객이 밀집되면서 실내공기 오염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1996년 12월 30일 지하생활공간을 대상으로 ‘지하생활공간 공기질관리법’(법률 제5224호) 이 제정 되었고 이는 2003년 5월 29일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약칭: 실내공기질법, 법률 제 6911호)으로 전문 개정되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nual transport performance of urban rail [Internet]. National Index System,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59 (accessed Feb, 25, 2016) 

  2.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The Act of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n Multiplex facility, 2004 (Act No.12216, 2014.1.7. Amendment) 

  3.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Act of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n Multiplex facility, [Attached table 2], [Attached table 3], 2015 (No. 620, 2015.11.18., Amendment) 

  4. Park, J. H., Park, J. C. and Um, S. J., Estimation of diffusion direction and velocity of PM10 in a subway station(for Gaehwasan station of subway line 5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8(5), pp.55-64, 2010. 

  5. Son, Y. S., Salama, A., Jeong, H. S., Kim, S., Jeong, J. H., Lee, J., Sunwoo, Y. and Kim, J. C., The effect of platform screen doors on PM10 levels in a subway station and a trial to reduce PM10 in tunnels,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7(1), pp.38-47, 2013. DOI: http://dx.doi.org/10.5572/ajae.2013.7.1.038 

  6. Martins, V., Moreno,T., Minguillon, M. C., van Drooge, B. L., Reche, C., Amato, F., de Miguel, E., Capdevila, M., Centelles, S. and Querol, X., Origin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nents of PM2.5 in subway station of Barcelona, Spain. Environmental Pollution, 208, pp.125-136, 2016. DOI: http://dx.doi.org/10.1016/j.envpol.2015.07.004 

  7. Park, D. U., Yun, K. S., Park, S. T. and Ha, K. C., Characterization of PM10 and PM2.5 levels inside tratin and in platform of subway, Kor. J. Env. Hlth., 31(1), pp.39-46, 2005. 

  8. Park, S. B. S. N., Lee, T. J., Ko, H. K., Bae, S. J., Kim, S. D., Park, D. S., Sohn, J. R. and Kim, D. S., Identification of PM10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ources and estimation of their contributions in a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9(1), pp.74-85, 2013. DOI: http://dx.doi.org/10.5572/KOSAE.2013.29.1.74 

  9. Won, S. R., Lim, J. Y., Shim, I. K., Kim, E. J., Choi, A. R., Han, J. S. and Lee, W. S., Characterization of PM2.5 and PM10 concentration distribution at public facilit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9(3), pp.229-238, 2012. 

  10.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second measures to improve air quality in underground station during 5 years(2013-2017), 2013. 

  11. Cheng, Y. H., Lin, Y. L. and Liu, C. C., Levels of PM10 and PM2.5 in Taipei rapid transit system. Atmospheric Environment, 42, pp.7242-4249, 2008. DOI: http://dx.doi.org/10.1016/j.atmosenv.2008.07.011 

  12. Kam, W., Cheung, K., Daher, N. and Sioutas, C., Particulate mateer (PM) concentrations in underground and ground-level rail systems of the Los Angeles Metro, Atmospheric Environment, 45, pp.1506-1516, 2011. DOI: http://dx.doi.org/10.1016/j.atmosenv.2010.12.049 

  13. Lee, J. Y., Jang, K. J. and Han, H., Study of pollution concentration source and its change pattern in underground station. Conferenc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pp.547-550, 2012. 

  14. Son, B. S., Jang, B. K., Park, J. A. and Kim, Y. S., Indoor and outdoor NO2 concentrations at subway station and personal NO2 exposure of subway station workers. Korean J. Sanitation, 15(4), pp.134-141, 2000. 

  15. Moreno, T. Perez, N., Reche, C., Martins, V., de Miguel, E., Capdevila, M., Centelles, S., Minguillon, M. C., Amato, F., Alastuey, A., Querol, X. and Gibbons, W., Subway platform air quality: Assessing the influences of tunnel ventilation, train piston effect and station design, Atmospheric Environment, 92, pp.461-468, 2014. DOI: http://dx.doi.org/10.1016/j.atmosenv.2014.04.043 

  16. The public homepage of real-time air pollution, AirKorea, [Internet], Seoul (Ko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vailable From: http://www.airkorea.or.kr, (accessed Mar, 14, 2016) 

  17. Kim, T. W., Kim, H. T., Seo, S. M. and Hong, W. H., A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indoor air quality in crowd facilitie. Conference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1), pp.471-574, 2005. 

  18. Hwang, S. H., Ahn, J. K. and Park, J. B., Concentration of airborne fungi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subway station in Seoul Korea. J. Environ. Health. Sci., 40(2), pp.81-87, 2014. 

  19. Cho, J. H. and Paik, N. W., Assessment of airborne fungi concentrations in subway stations in Seoul, Korea. J. Env. Hlth., 35(6), pp.478-485, 2009. DOI: http://dx.doi.org/10.5668/jehs.2009.35.6.478 

  20. Choi, W. G., Bae, S. H., Park, D. S., Jeong, W. S. and Kim, T. O., Evaluation of VOCs in subway.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572-576, 2002. 

  21. Lee, C. M., Kim, Y. S., Kim, J. C. and Jeon, H. J., Distribution of radon concentration at subway station in Seoul. J. Env. Hlth., 30(5), pp.469-480, 2004. 

  22. Jeon, J. S., Yoon, J. C., Lee, H. C., Eom, S. W. and Chae, Y. Z., A noticeable change in indoor radon levels after platform screen doors installation in Seoul subway s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8(1), pp.59-67, 2012. DOI: http://dx.doi.org/10.5572/KOSAE.2012.28.1.0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