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 경험
Experience of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2, 2019년, pp.593 - 604  

김미영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  변은경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남한사회 적응 경험을 포괄적이고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현상학적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6년 7월부터 2017년 6월까지로 하였고, 북한이탈주민 1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남한사회 삶의 적응 경험을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10명으로 남성 5명, 여성 5명이었고, 나이는 40대가 5명, 50대가 5명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4명, 기혼 6명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로 부터 얻은 원자료에서 남한사회 삶의 적응 경험을 분석한 결과 180개의 본질적인 의미단위를 추출하였고, 본질적인 의미단위에서 19개의 주제와 6개의 주제모음, 4개의 범주로 구조화할 수 있었다. 4개의 범주는 '다른 세상 마주하기', '이방인으로 살기', '적응하기', '자아실현하기'였다. 6개의 주제모음은 '새로운 세상을 만남', '심리적인 고통', '현실의 벽', '남한사회에 표류', '남한 사람이 되어감', '주체적인 삶'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 경험에 대한 반복연구와 남한사회에서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attempted to examine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life in the South Korean society in a comprehensive and in-depth way.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16 to June 2017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10 North Korean defectors about their experience in ...

주제어

표/그림 (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이탈주민은 누구를 말하는가? 폐쇄적이고 전체주의 국가인 북한에서 태어나고 자라나 북한 주민으로써 살다가 북한을 탈출하여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1]은 남한사회에서의 적응과정에서 문화적 이질성으로 인하여 생활환경, 언어생활과 문화생활에서 일차적인 어려움을 겪는다[2]. 특히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사회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부족으로 처음에는 남한에서 풍족하고 자유로운 삶을 누릴 것이라는 잘못된 기대와 이로 인한 좌절감을 경험하게 되고, 문화적 배경의 차이를 인식하면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3].
본 논문에서 어떻게 Colaizzi의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나? 본 연구에서 자료의 분석은 Colaizzi[20]의 현상학적분석절차를 적용하였다. 면담 시 녹음된 원자료는 참여자별로 구분하여 필사하였다. 면담 내용의 필사본을 읽으면서 참여자의 경험의 본질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있는 부분이나 참여자들 간에 반복적으로 진술되는 내용에서참여자의 느낌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참여자가 진술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의미있는 문장과 구절을 추출하고 탐구하였다. 추출된 주요 진술 또는 구절들로부터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 각각의 맥락 속에 숨겨진 의미를 한 단계 더 추상적인 진술로 구성하였다. 구성된 의미는 2명의 연구자가 함께 확인하고 공통된 의미를 중심으로 180개의 의미단위 문장을 형성하여 하위주제로 분류하였고, 그 안에서 의미와 맥락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2명의 연구자가 분류된 의미들을 묶어 주제를 조직하고, 주제를 묶어 주제모음으로, 주제모음을 묶어 범주로 조직하여, 19개의 주제와 6개의 주제모음, 4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북한이탈주민 적응 경험에 대하여 Colaizzi[20]의 현상학적으로 분석하고 6개의 주제모음[15], 4개의 범주로 나타낸 결과를 기초로 포괄적으로 기술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적응을 어려워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폐쇄적이고 전체주의 국가인 북한에서 태어나고 자라나 북한 주민으로써 살다가 북한을 탈출하여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1]은 남한사회에서의 적응과정에서 문화적 이질성으로 인하여 생활환경, 언어생활과 문화생활에서 일차적인 어려움을 겪는다[2]. 특히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사회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부족으로 처음에는 남한에서 풍족하고 자유로운 삶을 누릴 것이라는 잘못된 기대와 이로 인한 좌절감을 경험하게 되고, 문화적 배경의 차이를 인식하면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 E. Yu, K. J. Oh, A. S. Jeong, W. T. Jeon, "A qualitative study on North Korean refugees' attitude shifts-focusing on those in South Korean for three years", 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16, no. 2, pp. 67-120, 2012. 

  2. J. K. Chung, J. A. Cho, "Issues in the integration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 host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vol. 14, no. 1, pp. 487-518, 2008. 

  3. S. K. Min, W. T. Jeon, D. K. Kim, "Quality of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45, no. 3, pp. 269-275, 2006. 

  4. H. S. Yoo, "A study on a strategy of empowerment for overcoming the North Korean refugees' feeling of powerlessness", Trends and Prospects, vol. 77, pp. 352-388, 2009. 

  5. M. K. Lee, "Prospects for North Korean Women's status after the economic difficulties by interviewing female defectors", Family and Culture, vol. 18, no. 1, pp. 33-55, 2006. 

  6. Y. S. Ha, "A study on the support policy and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Kore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 17, no. 1, pp. 125-141, 2009. 

  7. Y. H. Kim, W. T. Jeon, Y. A. Cho,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recent migrant North Korean: a focus on 2007 entrants", Unification Policy Studies, vol. 19, no. 2, pp. 141-174, 2010. 

  8. J. M. Chae, J. N. Kim, "Relative depriv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e influence of individual identity and social identity",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18, no. 1, pp. 41-63, 2004. 

  9. Y. K. Chung, H. J. Kim, J. H. Choi,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and social adaptat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s: mediating effects of self-support efficacy",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vol. 31, no. 2, pp. 157-182, 2015. 

  10. H. K. Kim, "A qualitative study on contact experience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vol. 28, no. 2, pp. 529-562, 2016. 

  11. K. M. Kim, M. Y. Kim, "Adaptation experiences in South Korea of men defecting from North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3, no. 3, pp. 431-441, 2013. DOI: https://doi.org/10.4040/jkan.2013.43.3.431 

  12. E. K. Kim, S. J. Hur, "Toward reciprocity of acculturation: socio-psychological adjustment of North Korean refugee in South Korean", Minjok Yeonku. vol.40, pp. 97-120, 2010. 

  13. J. A. Maxell, "Qualitative research design-an interactive approach, London: SAGA Publications, 1996. 

  14. M. Y. Lee, H. K. Kim, "Lived experience of overcoming migratory loss among North Korean refugee women who got married to South Korean ma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35, no. 7, pp. 525-554, 2007. 

  15. G. C. Kim, "A study on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s to local community-focusing on North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vol. 9, no. 1, pp. 201-225, 2015. 

  16. H. C. Yeo, "A study on the adaptation to South Korea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focus in depth interview on North Korean defectors in age 4os", Jou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vol. 18, no. 3, pp. 325-359, 2015. 

  17. J. N. Kim, "A qualitative study on community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ju Women's University, Kwangju, 2013. 

  18. T. W. Eom, "A qualitative study on North Korean defectors as immigrant: beyond the boundary between survival and daily life",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vol. 18, no. 1, 165-198, 2009. 

  19. S. K. Pyun, "A study on the social adap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to South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Christian University, Seoul, 2009. 

  20.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s views i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R. S. Valle, M. King, Editor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21. E. G. Guba, Y. S. Lincoln,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1989. 

  22. J. S. Han, "A study on accultu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11, pp. 5027-5033, 2011. DOI: https://doi.org/10.5762/KAIS.2011.12.11.5027 

  23. L. G. Calhoun, R. G. Tedeschi, "The foundation of posttraumatic growth: an expanded framework", N. J.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6. (L. G. Calhoun, R. G. Tedeschi, editors.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24. W. T. Jeon, D. R. Yoon, J. S. Eom, "Survey results of adaptation and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7, no. 1, pp. 155-208, 2003. 

  25. Y. A. Kim, M. Y. Kim,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5, pp. 332-338,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5.332 

  26. C. E. Agaibi, J. P. Wilson, "Trauma, PTSD, and resili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Trauma Violence & Abuse, vol. 6. no. 3, pp. 195-216, 2005. 

  27. M. N. Shin, "The study on the general awareness between South Korean and the displaced people from the North Korea", North Korean Studies, vol. 5, no. 2, pp. 119-143, 2009. 

  28. D. P. Schneller, "The immigrants' challenge: mourning the loss of homeland and adapting to the new world", Smith College Studies in Social Work, vol. 51, no. 2, pp.95-125, 1981. 

  29. O. Marlin, "Feeling toward the new and yearning for the old Crambury", NJ: Associated University Press; 1997. (P. H. Elovits, C. Kahn, editors. Immigrant experiences personal narrative and psychological analysi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