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슬로시티 지역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지역주민교육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Traits on Local Resident Education in Slow C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5, 2016년, pp.388 - 396  

박희정 (신라대학교 국제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안적 지역발전의 모델로 평가받고 있는 슬로시티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역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슬로시티에 대한 태도 및 지역주민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지역의 관광개발에 있어 지역주민의 교육은 지역주민의 태도형성 및 주민참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며 특히 지역개발에 있어 지역주민들의 긍정적인 태도는 매우 필수적이 됨에 따라 이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슬로시티 지역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이 슬로시티에 대한 태도형성과 지역주민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슬로시티 지역 4곳의 445명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진행한 결과, 슬로시티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에는 지역주민의 소득과 학력수준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슬로시티 지역주민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형성에는 거주기간, 학력수준, 소득수준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슬로시티 지역주민교육 참여횟수가 지역주민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교육의 양적인 부분보다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 등의 질적인 부분에 대해 더욱 집중하여 진행하는 것이 지역주민교육에서는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구체적인 연구결과들은 향후 지속가능한 지역개발을 위한 슬로시티 지역주민 대상 교육의 프로그램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ept of the Slow City originates from the philosophy that seeks nature and a human-centric lifesty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ducation for local residents in the socioeconomic traits of Slow City. For this study, 445 residents were surveyed about the concept of the Slow C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바람직한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을 통해 지역주민들의 긍정적 태도형성과 주민참여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안적 지역발전모델로 평가받고 있는 슬로시티의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역주민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슬로시티에 대한 태도 및 지역주민교육에 대한 태도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슬로시티 지역주민들의 연령대로는 40대이상이 전체 66.
  •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지역주민교육의 보다 체계 적이고 발전적인 방향제시를 위해서 지역주민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지역개발의 대안적 모델이라고 평가받는 슬로시티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주민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이 슬로시티에 대한 태도형성과 지역주민교육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슬로시티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슬로시티에 대한 태도 및 주민교육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속가능한 지역개발을 위한 슬로시티 지역주민 대상 교육 프로그램 수립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교육참여횟수가 지역주민교육에 대한 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교육횟수라는 주민교육의 양적인 부분보다는 교육의 내용이나 방법과 같은 교육의 질적인 부분에 대해 더욱 집중하여 진행하는 것이 지역주민교육에 있어서는 훨씬 효율적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슬로시티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지역주민교육에 대한 태도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구체적인 요인들을 도출하고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슬로시티 인증지역이 11곳인데 반해 4곳만을 연구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결과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지만 조사기간을 비교적 장기간동안 표본들을 대상으로 하려고 노력한 점에서 본 연구의 한계점을 최소화해보고자 하였다.
  • 지역주민교육의 운영주체로는 기존의 중앙정부 중심을 지양하고 지역자체의 지역 고유성와 특수성을 반영하는 것을 제안하였으며, 운영에 있어서는 중앙정부 및 지자체간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교육 시너지효과 창출을 강조하고 있다[30][31].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지역주민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들을 조사항목으로 추출하여 슬로시티라는 특수한 지역내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슬로시티에 대한 태도 및 지역주민교육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 지역주민의 역할과 인식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슬로시티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지역주민의 환경인식에 대한 태도, 애착도, 자아일치감과 만족도간 관계 연구, 슬로시티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변화, 지역주민과 관광객간의 인식차이에 관련한 연구들로 한정되었다[26][27][28][29]. 슬로시티 지역주민 교육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역주민교육에 대한 연구나 정량적 실증연구가 아직까지 시도되지 않음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슬로시티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슬로시티 지역주민교육에 대한 태도와 태도형성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에 대하여 검증해 보고자 한다. 지역주민 대상의 지역주민교육에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육내용적 측면에서는 지역내 수익창출과 관련된 실용적인 교육내용이 강조되었고, 교육방법에 관련해서는 지역사회 주민교육 참여대상의 연령층이 고령층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방문을 통한 현장교육 및 시청각교육이 중요함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 본 연구는 슬로시티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지역주민교육에 대한 태도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구체적인 요인들을 도출하고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슬로시티 인증지역이 11곳인데 반해 4곳만을 연구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결과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지만 조사기간을 비교적 장기간동안 표본들을 대상으로 하려고 노력한 점에서 본 연구의 한계점을 최소화해보고자 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변인 및 연구방법의 활용을 통하여 지역주민교육에 대한 실천적인 방안 관련 후속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지역개발의 대안적 모델이라고 평가받는 슬로시티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주민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이 슬로시티에 대한 태도형성과 지역주민교육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슬로시티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슬로시티에 대한 태도 및 주민교육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속가능한 지역개발을 위한 슬로시티 지역주민 대상 교육 프로그램 수립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슬로시티는 전통문화 보존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운동으로 시작한 국제네트워크로, 무분별하게 가속화되는 도시화를 지양하고 지역성·전통성에 기초한 여유로운 생활을 통해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대안적 도시 및 지역발전모델을 의미한다[15]. 지역의 환경과 지역문화 보존 및 복원을 바탕으로 지역 자체를 매력물로 만들기를 추구하는 슬로시티는 무분별한 난개발을 막고 지역의 생산품을 이용하여 지역의 상권을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한 교류 인구의 증대로 지역주민들이 자생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자생력을 가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 슬로시티 네트워크 현황으로는 2015년 12월 기준으로 전 세계 30개국 208개 도시가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의 슬로시티는 2007년 12월 전라남도 4개(완도군 청산도, 신안군 증도, 담양군 창평면, 장흥군 유치·장평) 지역이 아시아 최초 및 한국 최초의 슬로시티로 가입이후 점진적으로 확대되어 2016년 현재 11개 지역(완도, 담양, 신안, 하동, 예산, 남양주, 전주, 상주, 청송, 영월, 제천)의 지자체가 가입되어 있다[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슬로시티 지역주민교육의 내용은 무엇인가? 각 지역에서는 지자체, 한국슬로시티본부, 지역공동체가 주관하는 다양한 슬로시티 지역주민교육을 실시하고 있다[2].교육의 주내용은 슬로시티에 대한 이해, 주민들의 역할, 그리고 다양한 사례들을 통하여 지역주민들의 슬로시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슬로시티는 무엇인가? 슬로시티(Slow City)는 지역의 전통문화 보존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환경보호와 정체성에 기초한 생활을 통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대안적 지역 발전의 모델로 평가받고 있는 국제 네트워크 운동이다[1]. 관광분야에서는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의 한 형태로 설명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슬로시티의 이념을 그 누구보다 해당지역의 지역주민이 인식해야만 슬로시티는 제대로 실천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슬로시티 인증 지역은 어디인가? 지역의 환경과 지역문화 보존 및 복원을 바탕으로 지역 자체를 매력물로 만들기를 추구하는 슬로시티는 무분별한 난개발을 막고 지역의 생산품을 이용하여 지역의 상권을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한 교류 인구의 증대로 지역주민들이 자생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자생력을 가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 슬로시티 네트워크 현황으로는 2015년 12월 기준으로 전 세계 30개국 208개 도시가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의 슬로시티는 2007년 12월 전라남도 4개(완도군 청산도, 신안군 증도, 담양군 창평면, 장흥군 유치·장평) 지역이 아시아 최초 및 한국 최초의 슬로시티로 가입이후 점진적으로 확대되어 2016년 현재 11개 지역(완도, 담양, 신안, 하동, 예산, 남양주, 전주, 상주, 청송, 영월, 제천)의 지자체가 가입되어 있다[16]. 슬로시티 인증 이후 해당지역의 방문객 수 증가 등의 실질적인 효과가 주목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 J. Park, "The Effects Analysis and Structural Factors of Slow city Brand Association as a Tourism Destination", Ph.D Dissertation of Hanyang University, 2010. 

  2. D. H. Sohn and H. J. Jang, "Cittaslow with a Happy Snail", Chosun Magazine, 2012. 

  3. K. R. Doh and S. K. Kang, "Change in residents' attitude responding to Slow city and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6(5), pp.219-238, 2011. 

  4. Joppe, M., "Sustainable Community Tourism Development Revisited", Tourism Management, 17(7), pp.475-479, 1996. DOI: http://dx.doi.org/10.1016/S0261-5177(96)00065-9 

  5. S.K. Kang and K. R. Do, "The Comparison of Cognitive Differences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ourist towards Slow city Tourism Development-A case of Slow City Jeungdo-", Journal of Korean island, 23(4), pp.21-38, 2011. 

  6. J. S. Ka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community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2), pp.875-882,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2.875 

  7. D. S. Park,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ttlement environments considering survey of residents in Seosan, Chungna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0), pp.4869-4876,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0.4869 

  8. M. R. Baek, "Research on Learner's Education in according with Lifelong Education Program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ervice Center", master at graduate of Daegu University, 2011. 

  9. Ap, J., "Residents' perceptions research on the social impacts of tourism", Ann ls of Tourism Research, 17(4), pp.610-616, 1990. DOI: http://dx.doi.org/10.1016/0160-7383(90)90032-M 

  10. Ap, J. and Crompton, J. L., "Developing and testing a Tourism impact Scale", Journal of Travel Research, 37, pp.120-130, 1988. DOI: http://dx.doi.org/10.1177/004728759803700203 

  11. Long. P., Perdue, R. and Allen, L., "Rural resident tourism perceptions and attitudes by community level of tourism", Journal of Travel Research, 28(3), pp.3-9, 1990. DOI: http://dx.doi.org/10.1177/004728759002800301 

  12. Perdue, R., Long, T. and Y. S. Kang, "Resident support for gambling as a tourism development strategy", Journal of Travel Research, 34(2), pp.3-11, 1995. DOI: http://dx.doi.org/10.1177/004728759503400203 

  13. M. K. Kang and Y. K. Lee, "Related Factors to Attitude and Conception of Community toward the Mental Illn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 pp.291-298,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291 

  14. H. J. Park, H. J. Jang and D. H. Sohn, "A study on Participants' Satisfaction for Slow Tourism-The case of Slow City Jeungdo Travellers", The Journal of Tourism Studies, 20(2), pp.43-64, 2008. 

  15. H. J. Park and D. H. Sohn, "The Effect of Slow City Brand Association Characteristic on Brand Attitude and Visit intention",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4(8), pp.11-31, 2010. 

  16. The National Cittaslow Corea Network internal data, 2016. 

  17. O. K. Kim, "The value of Cittaslow as an Approach to Urban Regeneration for sustainable Communities: A perspective of Tourism on Gamcheon Village, Busan", Ph.D Dissertation of Hanyang University, 2014. 

  18. S. T. Kim, "A study on Education of Regional Residents for Revitalization of Rural Tourism", Journal of Tourism Studies, 18, pp.43-57, 2006. 

  19. Smith. D. H. and Offerman M. J., "The management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Handbook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San Francisco : Jossey-Bass Publishers. 

  20. D. Y. Choi,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kill education for women's in rural regions", master at graduate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03. 

  21. B. C. Yang, "Creating the Education community through the Cooperation of Schools and Communities in the Rural Area-Focusing the "Pull-mu" school community in Chungnam Hong-dong Area-",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4(3), pp.129-151, 2008. 

  22. Mayer, H. P., "Slow Cities : Sustainable Places in a fast world", Journal of Urban Affairs, 28(4), pp.321-334,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467-9906.2006.00298.x 

  23. Heike Mayer, Paul L. Knox, "Slow Cities: Sustainable place in a fast world", Journal of urban affairs, 28(4), pp.321-334,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467-9906.2006.00298.x 

  24. Knox. P., "Creating ordinary places : Slow cities in a fast world", Journal of Urban Design, 10(1), pp.1-11, 2005. DOI: http://dx.doi.org/10.1080/13574800500062221 

  25. D. J. Baek, "A Study on the Model of Alternative Regional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Slow City in Jangheung county",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0(4), pp.111-139, 2008. 

  26. S. H. Cho, "A comparative study on the level of stress Between slow city Residents and Metro City Residents : Comparison of Daeheungmyeon, Yesan-gun, Chungcheongnam-do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38, pp.129-143, 2010. 

  27. S. K. Ye, "A Study on the effects of attachment and sense of community on residents' attitude in the Slow City", master at graduate of Silla University, 2011. 

  28. E. J. Noh, "A study on the effects of brand personality's perception and self-congruity on residents' attitude toward local community", master at graduate of Silla University, 2013. 

  29. H. S. Shin, "The effects of residents' environmental recognition on their psychological attitude toward a slowcity : based on Wando and Hadong", master at graduate of Hanyang University, 2010. 

  30. S. S. Kim and Y. M. Kim, "A Study of the Knowledge based partnership and social networking formed among public officials responsible for managing and developing Slow Cities",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6(3), pp.67-88, 2011. 

  31. M. T. You and T. W. Park, "Selection of planning Indicators for Realization of Urban Slow City-Focused on case study and Delphi Method of related experts", Journal of urban policies, 6(1), pp.17-32,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