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4년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음악치료 현황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herapy Centered on 54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4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3 no.1, 2016년, pp.19 - 40  

김은정 (고려대학교 구로 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센터) ,  최윤선 (고려대학교 구로 병원 가정의학과) ,  김원철 (고려대학교 구로 병원 의료사회사업팀) ,  김경숙 (한세대학교 대학원 음악치료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부에 의해 지정된 54개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음악치료에 대한 수치 기반의 현황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54개 기관의 코디네이터에게 E-mail로 설문지를 발송하여 총 47개 기관(87%)의 음악치료사와 코디네이터로부터 E-mail과 우편으로 회신을 받았다. 조사기간은 2014년 10월 30일부터 12월 5일까지였으며, 음악치료사 대상 설문지는 근무조건/처우, 음악치료 환경, 진행 및 개인역량 등 총 6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코디네이터 대상 설문지는 각 기관의 음악치료 시행 여부 및 코디네이터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음악치료의 현황과 개인정보 등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47개 기관 중 음악치료 시행 기관은 22개 기관(46.8%)이었으며, 음악치료사 28명 가운데, 음악치료를 전공한 음악치료사는 19명(67.9%)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션 준비, 수행, 평가와 관련해 음악치료를 진행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갖추어져 있는지를 묻는 문항에 대해 음악치료사(M = 3.43, SD = 0.96)와 코디네이터(M = 2.73, SD = 0.77)의 응답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의 음악치료는 현재 시행 기관이 많지 않고 환경이 열악하지만,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결과를 볼 때 향후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에서의 음악치료 현황에 대한 최초의 정량적, 통계적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vides numerical data on the status of music therapy practices in 54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in Korea. Two different questionnaires for music therapists and coordinators were sent to 54 coordinators via email, and 47 (87%) hospitals and centers replied by email or post.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음악치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해 나가기 위해서는 사회제도적 지원, 음악치료사 개개인의 노력, 그리고 호스피스⋅완화의료 관계자들의 다학제간 협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나은 시스템 자립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부에 의해 지정된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 음악치료가 어떠한 조건과 환경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음악치료의 역할과 효과에 대한 인식과 기대는 어느 정도인지를 수치 기반의 정량적 현황 자료로 제공하고, 이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해 향후 호스피스⋅완화의료 세팅에서의 음악치료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중 음악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기관의 수와 음악치료 환경 및 진행 현황, 음악치료사의 근무 여건과 처우 등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분야 음악치료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는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음악치료가 국내에서 어느 수준에서 얼마나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단순히 국내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음악치료와 관련된 데이터를 모으기 위한 것이 아니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음악치료의 현황과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더욱 발전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 고민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하지만 조사대상 기관 수가 54개에 불과하고 음악치료가 전문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기관 수가 적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다.
  • 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는 각 기관의 음악치료 시행 여부를 포함하여 코디네이터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음악치료의 현황(14문항), 인식(10문항)과 개인정보(4문항) 등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음악치료사와 코디네이터 공통 문항과 전공/비전공 음악치료사 공통 문항은 각자의 역할 및 입장에 따른 응답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점차 높아지는 원인은 무엇인가? 9%에 불과했다(Hospice and Palliative Care, 이하 HAPC, 2015; National Hospice and Pallative Care Organization, 이하 NHPCO, 2012). 반면 최근 들어 말기 암환자 수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Kim, 2014) 우리나라에서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1980년 이전까지는 3개에 불과했던 국내의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은 1991년부터 2002년까지 40여 개의 기관이 설립되었고(Yun et al, 2002), 2014년에는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 말기 암환자에 대한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돌봄을 제공하고 있다(HAPC, 2015).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높아짐에 따른 우리나라의 변화는 무엇인가? 반면 최근 들어 말기 암환자 수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Kim, 2014) 우리나라에서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1980년 이전까지는 3개에 불과했던 국내의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은 1991년부터 2002년까지 40여 개의 기관이 설립되었고(Yun et al, 2002), 2014년에는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 말기 암환자에 대한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돌봄을 제공하고 있다(HAPC, 2015).
음악치료의 효과는 무엇인가?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다양한 요법들 중 음악치료는 시각, 촉각, 청각적인 입체적 활동을 통해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Curtis, 1986; Dimaio, 2010; Magill, 2001) 통증완화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utgsell et al., 2013). 또한 음악이라는 매개체가 가지는 장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말기 암환자의 정서적인 안정을 넘어 (Kim & Kim, 2014)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안정을 가져옴과 동시에 추억회상을 통한 가족들 간의 관계 회복에도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Gordon & Clements, 2013; Kim, 2009; O’Callaghan,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2013). AMTA member survey and workforce analysis. Retrieved from http://www.musictherapy.org/assets/1/7/13WorkforceAnalysis.pdf 

  2.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2015a). Scope of music therapy practice 2015. Retrieved from http://www.musictherapy.org/about/scope_of_music_therapy_practice/ 

  3.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2015b). Therapeutic music services at-a-glance. Retrieved from http://www.musictherapy.org/assets/1/7/TxMusicServicesAtAGlance_Glance_15.pdf 

  4. Bercovitz, A., Sengupta, M., Jones, A., & Harris-Koje, L. D. (2010).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in hospice: The national home and hospice care survey: United States, 2007(No. 33). Hyattsville, MD: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5. Certification Board for Music Therapists (2015). The certification board for music therapists. Retrieved from http://www.cbmt.org/about-certification/ 

  6. Curtis, S. L. (1986). The effect of music on pain relief and relaxation of the terminally ill. Journal of Music Therapy, 23(1), 10-24. 

  7. Demmer, C. (2004). A survey of complementary therapy services provided by hospice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7(4), 510-516. 

  8. Dimaio, L. (2010). Music therapy entrainment: A humanistic music therapist’s perspective of using music therapy entrainment with hospice clients experiencing pain. Music Therapy Perspectives, 28(2), 106-115. 

  9. Gordon, M., & Clements, C. A. (2013). Music at the end of life. Bringing comfort and saying goodbye through song and story. Annals of Long-Term Care: Clinical Care and Aging, 21(11), 24-29. 

  10. Gutgsell, K. J., Schluchter, M., Margevicius, S., DeGolia, P. A., McLaughlin, B., Harris, M., ... & Wiencek, C. (2013). Music therapy reduces pain in palliative car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45(5), 822-831. 

  11. Hilliard, R. E. (2005).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usic therapy: A guide to program development and clinical care. National Hospice &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12.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5). Utilization rat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 Retrieved from http://hospice.cancer.go.kr/home/contentsInfo.do?menu_no443&brd_mgrno 

  13. Kang, J. A., Shin, D. W., Hwang, E. J., Kim, H. Y., Ahn, S. H., & Yoo, Y. S. (2009). Hospice education among hospice professionals and its regional variations in Korea: Outcomes from a 2008 hospice palliative care institutions support project.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2(3), 132-138. 

  14. Kim, E. J., & Kim, K. S. (2014). Research on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mood state of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16(2), 1-20. 

  15. Kim, M. Y. (2014). Recognition of terminal status of cancer patients in hospice palliative units and their family'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6. Kim, Y. L. (2009). A case study of song psychotherapy for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life review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7. Kubler, R. (1974). Questions and answers on death and dying: A companion volume to on death and dying.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8. Kyung, M. H., Jang, Y. M., Han, K. H., & Yun, Y. H. (2010).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plan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Korea-based on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survey.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3(3), 143-152. 

  19. Lee, K. S., Joo, J. S., Kim, J. H., & Kim, K. Y. (2008). Current status and challenge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1(4), 196-205. 

  20. Magill, L. (2001). The use of music therapy to address the suffering in advanced cancer pain. Journal of Palliative Care, 17(3), 167-172. 

  21. Minnesota House of Representatives. (2014). Minnesota statutes 2006(214.002). Retrieved from http://www.house.leg.state.mn.us/comm/docs/MusicTherapistQuestionnaireResponse.pdf 

  22. National Hospice and Pallative Care Organization. (2012). NHPCO facts and figures: Hospice care in America. Retrieved from http://www.nhpco.org/sites/defult/files/public/Statistics_Research/2012_Facts_Figures.pdf 

  23. National Hospice and Pallative Care Organization. (2015). Hospice: A historical perspective. Retrieved from http://www.nhpco.org/history-hospice-care 

  24. O’Callaghan, C. (2001). Bringing music to life: A study of music therapy and palliative care experiences in a cancer hospital. Journal of Palliative Care, 17(3), 155-160. 

  25. Shin, H. H. (2006). A study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criminal law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6. Yoon, M. Y. (2014).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qualification procedures of music therapist in Korea and the comparison with qualification procedures in other count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7. Yun, Y. H., Choi, E. S., Lee, I. J., Rhee, Y. S., Lee, J. S., You, C. H., ... & Paek, Y. J. (2002). Survey on the quality of hospice.palliative care program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5(1), 3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