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퍼지 외란 관측기법을 이용한 아크로봇의 적응형 강인 스윙업 및 밸런싱제어
Adaptive Robust Swing-up and Balancing Control of Acrobot using a Fuzzy Disturbance Observer 원문보기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22 no.5, 2016년, pp.346 - 352  

정성찬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  이상협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  홍영대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  좌동경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an adaptive robust control method for an acrobot system in the presence of input disturbance. The acrobot system is a typical example of the underactuated system with complex nonlinearity and strong dynamic coupling. Also, disturbance can cause limit cycle phenomenon which app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12, 13]에서 설계된 퍼지 외란 관측기는 1차 관측 오차 동 역학식을 사용하여 시불변 외란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외란까지 관측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외란 관측기를 이용한 아크로봇의 적응형 강인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강한 제약조건을 가지는 기존의 방법 [8, 9]들의 문제를 극복하고 자 본 논문에서 는 퍼지 외란 관측기를 도입하여 사인파형 외란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외란을 관측하고, 관측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외란에 강인한 스윙 업 제어 알고리즘과 밸런싱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본 논문에서는 외란을 고려한 아크로봇 시스템(2)의 불안정한 평형점(equilibrium point) 0 = [0.5刀 + 2”刀 2”汗『 에 대한 조정제어기법(regulation control)를 제안한다.이 때 ” 은 임의의 정수이다.
  • 입력 외란이 존재하는 아크로봇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퍼지 외란관측기를 이용한 적응형 강인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외란관측기를 설계하여 각 관절에 가해지는 외란들을 관측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입력 외란 보상 알고리즘과 불안정 평형점을 목표로 하는 조정제어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가설 설정

  • 가정 1: (3)과 같은 형태를 지닌 퍼지기 저함수의 입력 벡터 g 가 꽉찬집합(compact set) M( 에 속해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퍼지관측기의 최적 출력 벡터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가정 2: 외란이 고려된 아크로봇 시스템(2)에 스윙 업 제어기법(14)을 적용하면 시스템 상태 변수 0, 0 는 목표 평형점 근처에 도달한다.
  • 여기서 최적 출력 벡터 는 볼록한 영역(convex region) Mv := 泌 I |M| < mv} 에 놓여 있다고 가정한다.
  • 정리1: 외란을 포함한 아크로봇 시스템(2)에 대해 다음과 같은 비선형 운동방정식을 가정하자.
  • 정리2: 외란을 지닌 아크로봇⑵에 대해 외란 관측오차 Q 가 유한할 경우(14)의 제어법칙에 따라 각도 오차 e, 은 궁극적 유계성을 지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R. Ortega, M. W. Spong, F. Gomez-Estern, and G. Blankenstein, "Stabilization of a class of underactuated mechanical systems via interconnection and damping assignment,"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c Control, vol. 47, no. 8, pp. 12181233, Aug. 2002. 

  2. D. Chwa, "Global tracking control of underactuated ships with input and velocity constraints using dynamic surface control method," IEEE Transactions on Control Systems Technology, vol. 19, no. 6, pp. 1357-1370, Nov. 2011. 

  3. D. Chwa, "Fuzzy adaptive output feedback tracking control of VTOL aircraft with uncertain input coupling and statedependent disturbances," IEEE Transactions on Fuzzy Systems, vol. 23, no. 5, pp. 1505-1518, Oct. 2015. 

  4. S. Jeong, M. Eom, and D. Chwa, "Disturbance-estimation-based hierarchical sliding mode control of hovercraft with wind disturbanc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pp. 532-537, Oct. 2015. 

  5. M. W. Spong, "Swing up control problem for the acrobot," IEEE Control Systems, vol. 15, no. 1, pp. 49-55, Feb. 1995. 

  6. X. Xin and M. Kaneda, "The swing up control for the acrobot based on energy control approach," IEEE Conference on Decision and Control, pp. 3261-3266, Dec. 2002. 

  7. A. Goswami, B. Espiau, and A. Keramance, "Limit cycles and their stability in a passive bipedal gait,"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246-251, Apr. 1996. 

  8. X. Xin and M. Kaneda, "A robust control approach to the swing up control problem for the Acrobot,"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pp. 1650-1655, Oct. 2001. 

  9. S. Lee, M. Eom, and D. Chwa, "Robust swing up and balancing control of the acrobot based on a disturbance observe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pp. 48-53, Oct. 2015. 

  10. Z. Ding, "Asymptotic rejection of unmatched general periodic disturbances with nonlinear Lipschitz internal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vol. 86, no. 2, pp. 210-221, Feb. 2013. 

  11. W. Kim, D. Shin, D. Won, and C. C. Chung, "Disturbanceobserver-based position tracking controller in the presence of biased sinusoidal disturbance for electrohydraulic actuators," IEEE Transactions on Control Systems Technology, vol. 21, no. 6, pp. 2290-2298, Nov. 2013. 

  12. E. Kim, "A fuzzy disturbance observer and its application to control," IEEE Transactions on Fuzzy Systems, vol. 10, no. 1, pp. 77-84, Feb. 2002. 

  13. M.-S. Park, D. Chwa, and S.-K. Hong, "Antisway tracking control of overhead cranes with system uncertainty and actuator nonlinearity using an adaptive fuzzy sliding-mode control,"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55, no. 11, pp. 3972-3984, Nov. 2008. 

  14. L. Wang and J. M. Mendel, "Fuzzy basis function, universal approximation, and orthogonal least-squares learning," IEEE Transactions on Neural Networks, vol. 3, no. 5, pp. 807-814, Sep. 1992. 

  15. W. Kim, D. Shin, and C. C. Chung, "Microstepping using a disturbance observer and a variable structure controller for permanent-magnet stepper motor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0, no. 7, pp. 2689-2699, Jul. 2013. 

  16. M. Eom and D. Chwa, "Robust swing-up and balancing control using a nonlinear disturbance observer for the pendubot system with dynamic friction," IEEE Transactions on Robotics, vol. 31, no. 2, pp. 331-343, Apr. 2015. 

  17. C. T. Chen, Linear System Theory and Design, 3rd ed. New York: Oxford Univ. Press, 1999. 

  18. H. Khalil, Nonlinear Systems,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2002. 

  19. M. G. Kim, C. J. Woo1, and J. Lee, "Attitude control of a twowheeled mobile manipulator by using the loca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sliding mode controller,"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in Korean), vol. 21, no. 8, pp. 758-765, 2015. 

  20. M. Lee, K. Jung, and K. Kong, "Design of unknown disturbance and current observer for electric motor systems,"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in Korean), vol. 21, no. 7, pp. 615-620,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