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9 no.2, 2016년, pp.133 - 136
인만진 (Department of Human Nutrition and Food Science, Chungwoon University) , 김동청 (Department of Integrated Materials Engineering, Chungwoon University)
An acetone extract in the cortex of Ulmus pumila L. was prepared to evaluate its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유근피의 추출 용매의 한계점은? | 이렇듯 유근피는 약리효과가 우수한 천연 자원이며 추출 용매와 추출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활용할 수 있다(Kim 등, 2015c). 하지만 유근피의 추출 용매는 주로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비교적 극성 용매에 한정되어 있어 비극성 용매에서 추출 및 분획이 이루어지는 지용성 성분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실험을 통해 다른 추출 용매에 비해 비교적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이 동시에 높게 나타난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유리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인체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유근피의 생리활성 소재로서의 활용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
유근피란 무엇인가? | 유근피(Ulmus pumila L.)는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의 코르크층을 벗긴 뿌리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예부터 종창, 관절염, 위궤양, 늑막염 등의 염증 치료를 위하여 널리 사용되어 온 생약제이다(Lim 2010; Jeong과 Kim 2012). 유근피에는 β-sitosterl, stigmasterol 등의 식물성 스테롤과 tannin, 다당체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인 (+)-catechin, (+)-catechin-5-O-β-D-apiofuranoside와 진통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인 friedelin, epifriendelalol, taraxerol 등이 알려져 있다(Matsuzaki와 Nara 1985; Son 등, 1989). | |
각 용매에 추출된 유근피는 약리효과로 어떤것이 있는가? | 유근피에는 β-sitosterl, stigmasterol 등의 식물성 스테롤과 tannin, 다당체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인 (+)-catechin, (+)-catechin-5-O-β-D-apiofuranoside와 진통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인 friedelin, epifriendelalol, taraxerol 등이 알려져 있다(Matsuzaki와 Nara 1985; Son 등, 1989). 유근피 메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강력한 유리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가지고 있었고(Jung 등, 2008), 80 % 에탄올 추출물은 뛰어난 항산화, 항고혈압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Lee 등, 2013). 또한 유근피 80 % 메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은 글루탐산에 의한 신경세포 독성으로부터 뇌신경을 보호하였고 그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ulmicin이 알려져 있다(Lee와 Kim 2001). 유근피의 물 추출물에서 분리한 단백다당체는 면역 조절 작용을 통해 항암 효과를 가지고(Lee 등, 2013), 메탄올 추출물은 사람의 위암과 대장암 세포에 대해 약한 수준의 증식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Yang 등, 1996). 또한 유근피의 메탄올 추출물은 선천성 면역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고(Kim 등, 2010), 다양한 용매로 추출한 유근피 추출물은 사람의 유방암 세포주인 MCF-7의 증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Yang 등, 2007). 이렇듯 유근피는 약리효과가 우수한 천연 자원이며 추출 용매와 추출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활용할 수 있다(Kim 등, 2015c). |
Amin A, Yazdnparast R (2007)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Achillea santolina extracts. Food Chem 104: 21-2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Choi KJ, Kim MW, Hong SK, Kim DH (1983) Effect of solvents on the yield, brown color intensity, UV absorbance, reduc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white and red ginseng. J Korean Agric Chem Soc 26: 8-18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Itano N, Atsumi F, Sawai T, Yamada Y, Miyaishi O, Senga T, Hamaguchi M, Kimata K (2002) Abnormal accumulation of hyaluronan matrix diminishes contact inhibition of cell growth and promotes cell migration. Proc Natl Acad Sci USA 99: 3609-3614
Jung MJ, Heo SI, Wang MH (2008) Free radical scavenging and total phenolic contents from methanolic extracts of Ulmus davidiana. Food Chem 108: 482-487
Kim C, In MJ, Kim DC (2015a)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Boehmeria nivea L. leaves. Food Eng Prog 19: 76-81
Kim HS, Cho JH, Lee JM, Lee CH, Jang JB, Lee KS (2010) Experimental studies on antimetastatic and immunomodulating effects of Ulmus davidiana. J Orient Obstet Gynecol 23: 1-11
Lamoral-Theys D, Pottier L, Dufrasne F, Neve J, Dubois J, Kornienko A, Kiss R, Ingrassia L (2010) Natural polyphenols that display anticancer properties through inhibition of kinase activity. Curr Med Chem 17: 812-825
Lee EH, Park CW, Jung YJ (2013) Anti-inflammatory and immune-modulating effect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extract on a macrophage cell line and immune cells in the mouse small intestine. J Ethnopharmacol 146: 608-613
Lee MK, Kim YC (2001) Five novel neuroprotective triterpene ester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J Nat Prod 64: 328-331
Lee SD, Yoo G, Chae HJ, In MJ, Oh NS, Hwang YK, Hwang WI, Kim DC (2009) Lipid-soluble extracts as the main source of anticancer activity in ginseng and ginseng marc. J Am Oil Chem Soc 86: 1065-1071
Lee SH, Jin YS, Heo SI, Shim TH, Sa JH, Choi DS, Wang MH (2006)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setidens Nakai.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71-576
Lim YS (2010) Antioxidant effects of Ulmus davidiana extracts on various oil. Korean J Food Preserv 17: 107-116
Matsuzaki T, Nara Y (1985) Antioxidative of tea leaf catechins. Nippon Nogeikaga Kogyo Kaishi 59: 129-134
Oyaizu M (1985)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 J Nutr 44: 307-15
Shoemaker M, Hamilton B, Dairkee SH, Cohen I, Campbell MJ (2005)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f twelve Chinese medicinal herbs. Phytother Res 19: 649-651
Son BH, Park JH, Zee OP (1989) Catechin glycoside from Ulmus davidiana. Arch Pharm 21: 217-222
Weng JR, Tsai CH, Kulp SK, Chen CS (2008) Indole-3-carbinol as a chemopreventive and anti-cancer agent. Cancer Lett 262: 153
Yang SJ, Cho SH, Cho SI, Na WM (2007) Anti-proliferative effect of Ulmi pumilae cortex extracts on MCF-7 cells. J Orient Obstet Gynecol 20: 35-44
Yang YM, Hyun JW, Lim KH, Sung MS, Kang SS, Paik WH, Bae KW, Cho H, Kim HJ, Woo ER, Park H, Park JG (1996) Antineoplastic effect of extracts from traditional medical plants and various plants (III). Korean J Pharmacogn 27: 105-110
Yen GC, Chen HY (1995)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tea extracts in relation to their antimutagenicity. J Agric Food Chem 43: 27-3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