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acetone extract of the cortex of Ulmus pumila L.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9 no.2, 2016년, pp.133 - 136  

인만진 (Department of Human Nutrition and Food Science, Chungwoon University) ,  김동청 (Department of Integrated Materials Engineering, Chungwoo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유리라디칼 소거활성($EC_{50}=36.7{\mu}g/mL$)과 환원력($EC_{50}=53.2{\mu}g/mL$)이 증가하였다.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은 정상 세포인 인체 배아 폐상피세포(L132)에는 독성이 낮으면서 농도에 비례하여 인체 폐암세포(A549, $GI_{50}=74.3{\mu}g/mL$)와 대장암세포(SNU-C4, $GI_{50}=92.8{\mu}g/mL$)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cetone extract in the cortex of Ulmus pumila L. was prepared to evaluate its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C_{50}=36.7{\mu}g/mL$) and reducing power ($EC_{50}=53.2{\mu}g/mL$) proportionally increased according to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유근피의 추출 용매는 주로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비교적 극성 용매에 한정되어 있어 비극성 용매에서 추출 및 분획이 이루어지는 지용성 성분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실험을 통해 다른 추출 용매에 비해 비교적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이 동시에 높게 나타난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유리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인체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유근피의 생리활성 소재로서의 활용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근피의 추출 용매의 한계점은? 이렇듯 유근피는 약리효과가 우수한 천연 자원이며 추출 용매와 추출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활용할 수 있다(Kim 등, 2015c). 하지만 유근피의 추출 용매는 주로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비교적 극성 용매에 한정되어 있어 비극성 용매에서 추출 및 분획이 이루어지는 지용성 성분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실험을 통해 다른 추출 용매에 비해 비교적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이 동시에 높게 나타난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유리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인체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유근피의 생리활성 소재로서의 활용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유근피란 무엇인가? 유근피(Ulmus pumila L.)는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의 코르크층을 벗긴 뿌리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예부터 종창, 관절염, 위궤양, 늑막염 등의 염증 치료를 위하여 널리 사용되어 온 생약제이다(Lim 2010; Jeong과 Kim 2012). 유근피에는 β-sitosterl, stigmasterol 등의 식물성 스테롤과 tannin, 다당체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인 (+)-catechin, (+)-catechin-5-O-β-D-apiofuranoside와 진통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인 friedelin, epifriendelalol, taraxerol 등이 알려져 있다(Matsuzaki와 Nara 1985; Son 등, 1989).
각 용매에 추출된 유근피는 약리효과로 어떤것이 있는가? 유근피에는 β-sitosterl, stigmasterol 등의 식물성 스테롤과 tannin, 다당체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인 (+)-catechin, (+)-catechin-5-O-β-D-apiofuranoside와 진통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인 friedelin, epifriendelalol, taraxerol 등이 알려져 있다(Matsuzaki와 Nara 1985; Son 등, 1989). 유근피 메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강력한 유리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가지고 있었고(Jung 등, 2008), 80 % 에탄올 추출물은 뛰어난 항산화, 항고혈압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Lee 등, 2013). 또한 유근피 80 % 메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은 글루탐산에 의한 신경세포 독성으로부터 뇌신경을 보호하였고 그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ulmicin이 알려져 있다(Lee와 Kim 2001). 유근피의 물 추출물에서 분리한 단백다당체는 면역 조절 작용을 통해 항암 효과를 가지고(Lee 등, 2013), 메탄올 추출물은 사람의 위암과 대장암 세포에 대해 약한 수준의 증식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Yang 등, 1996). 또한 유근피의 메탄올 추출물은 선천성 면역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고(Kim 등, 2010), 다양한 용매로 추출한 유근피 추출물은 사람의 유방암 세포주인 MCF-7의 증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Yang 등, 2007). 이렇듯 유근피는 약리효과가 우수한 천연 자원이며 추출 용매와 추출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활용할 수 있다(Kim 등, 2015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min A, Yazdnparast R (2007)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Achillea santolina extracts. Food Chem 104: 21-29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3. Choi KJ, Kim MW, Hong SK, Kim DH (1983) Effect of solvents on the yield, brown color intensity, UV absorbance, reduc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white and red ginseng. J Korean Agric Chem Soc 26: 8-18 

  4.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5. In MJ, Chae HJ, Kim DC (2014)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cancer potential of n-hexane extract from ginseng marc. J Appl Biol Chem 57: 247-250 

  6. Itano N, Atsumi F, Sawai T, Yamada Y, Miyaishi O, Senga T, Hamaguchi M, Kimata K (2002) Abnormal accumulation of hyaluronan matrix diminishes contact inhibition of cell growth and promotes cell migration. Proc Natl Acad Sci USA 99: 3609-3614 

  7. Jeong KY, Kim ML (2012) Physiological activities of Ulmus pumila L.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9: 104-109 

  8. Jun HI, Kim YA, Kim YS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and Morus alba L. fruits. Korean Soc Food Sci Nutr 43: 381-388 

  9. Jung MJ, Heo SI, Wang MH (2008) Free radical scavenging and total phenolic contents from methanolic extracts of Ulmus davidiana. Food Chem 108: 482-487 

  10. Kim C, In MJ, Kim DC (2015a)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Boehmeria nivea L. leaves. Food Eng Prog 19: 76-81 

  11. Kim DC, Kim C, In MJ (2015b)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prepared from sweet potatoes with different flesh colors. J Appl Biol Chem 58: 21-24 

  12. Kim HS, Cho JH, Lee JM, Lee CH, Jang JB, Lee KS (2010) Experimental studies on antimetastatic and immunomodulating effects of Ulmus davidiana. J Orient Obstet Gynecol 23: 1-11 

  13. Kim JM, Cho ML, Seo KE, Kim YS, Jung TD, Kim YH, Kim DB, Shin GH, Oh JW, Lee JS, Lee JH, Kim JY, Lee DW, Lee OH (2015c)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root bark extract from Ulmus pumil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172-1179 

  14. Lamoral-Theys D, Pottier L, Dufrasne F, Neve J, Dubois J, Kornienko A, Kiss R, Ingrassia L (2010) Natural polyphenols that display anticancer properties through inhibition of kinase activity. Curr Med Chem 17: 812-825 

  15. Lee EH, Park CW, Jung YJ (2013) Anti-inflammatory and immune-modulating effect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extract on a macrophage cell line and immune cells in the mouse small intestine. J Ethnopharmacol 146: 608-613 

  16. Lee MK, Kim YC (2001) Five novel neuroprotective triterpene ester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J Nat Prod 64: 328-331 

  17. Lee SD, Yoo G, Chae HJ, In MJ, Oh NS, Hwang YK, Hwang WI, Kim DC (2009) Lipid-soluble extracts as the main source of anticancer activity in ginseng and ginseng marc. J Am Oil Chem Soc 86: 1065-1071 

  18. Lee SH, Jin YS, Heo SI, Shim TH, Sa JH, Choi DS, Wang MH (2006)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setidens Nakai.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71-576 

  19.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SD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9-36 

  20. Lee YR, Woo KS, Hwang IG, Kim HY, Lee SH, Lee J, Jung HS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arlic (Allium sativum L.) with different heat and pressure treatm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278-282 

  21. Li M, Jang GY, Lee SH, Woo KS, Sin HM, Kim HS, Lee J, Jeong HS (2012)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ves and stalks from different sweet potato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56-1662 

  22. Lim YS (2010) Antioxidant effects of Ulmus davidiana extracts on various oil. Korean J Food Preserv 17: 107-116 

  23. Matsuzaki T, Nara Y (1985) Antioxidative of tea leaf catechins. Nippon Nogeikaga Kogyo Kaishi 59: 129-134 

  24. Nho JW, Hwang IG, Kim HY, Lee YR, Woo KS, Hwang BY, Chang SJ, Lee J, Jeong HS (2010) Free radical scavenging,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nd in vitro anticancer activities of ramie (Boehmeria nivea) leaves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19: 383-90 

  25. Oyaizu M (1985)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 J Nutr 44: 307-15 

  26. Shoemaker M, Hamilton B, Dairkee SH, Cohen I, Campbell MJ (2005)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f twelve Chinese medicinal herbs. Phytother Res 19: 649-651 

  27. Son BH, Park JH, Zee OP (1989) Catechin glycoside from Ulmus davidiana. Arch Pharm 21: 217-222 

  28. Weng JR, Tsai CH, Kulp SK, Chen CS (2008) Indole-3-carbinol as a chemopreventive and anti-cancer agent. Cancer Lett 262: 153 

  29. Yang SJ, Cho SH, Cho SI, Na WM (2007) Anti-proliferative effect of Ulmi pumilae cortex extracts on MCF-7 cells. J Orient Obstet Gynecol 20: 35-44 

  30. Yang YM, Hyun JW, Lim KH, Sung MS, Kang SS, Paik WH, Bae KW, Cho H, Kim HJ, Woo ER, Park H, Park JG (1996) Antineoplastic effect of extracts from traditional medical plants and various plants (III). Korean J Pharmacogn 27: 105-110 

  31. Yen GC, Chen HY (1995)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tea extracts in relation to their antimutagenicity. J Agric Food Chem 43: 27-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