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근피(Ulmus pumila)로부터 분리한 phenol성 물질의 건강기능식품 활성
Healthy Functional Food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Ulmus pumila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6, 2012년, pp.909 - 918  

김경범 (경북대학교 식품과학부) ,  조분성 (경북대학교 식품과학부) ,  박혜진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박기태 (동주대학 호텔조리과) ,  안봉전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안동현 (부경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김명욱 (한국해양바이오연구원) ,  채정우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  조영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근피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은 7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12시간 추출하였을 때 $17.9{\pm}1.0\;mg/g$으로 가장 많이 용출되었다. 유근피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전자공여능$50{\mu}g/mL$ 이상의 phenolic 농도에서 물추출물과 70% 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80%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이 확인되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한 결과 유근피는 물과 70% ethanol 추출물에서 $96.8{\pm}2.9%$의 높은 항산화활성이 측정되었으며,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측정에서는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200{\mu}g/mL$의 phenolic 농도에서 BHA 보다 높은 2.5 PF의 높은 항산화력이 확인되었다. 유근피 추출물의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를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전 농도에서 약 80%의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유근피 추출물의 항고혈압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에서 약 50%, 70% ethanol 추출물에서 58.5%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00{\mu}g/mL$ phenolics의 처리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77.4%, 70% ethanol 추출물에서 90.6%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유근피 추출물의 항관절염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xanthin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에서는 억제 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고, 70% ethanol 추출물에서 3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200{\mu}g/mL$ phenolics의 처리 농도에서 48.1%의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유근피 추출물의 염증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hyaluronidase 저해활성을 확인한 결과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70% 이상의 높은 저해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50{\mu}g/mL$ phenolics의 낮은 농도로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80%의 항염증효과를 나타내었고, 처리한 phenolic compound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억제효과가 높아져 농도 의존적인 양상을 나타내었다.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을 위한 방안으로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한 tablet(정제)를 개발하고, 개발된 제품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색깔의 관능 평점이 8.3으로 평가되었고, 맛과 향은 8.8과 8.6의 높은 관능평가 점수를 획득하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 역시 8.7점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enolic compounds which were extracted with 70% ethanol from Ulmus pumila for 12 hr were the highest as $17.9{\pm}1.0\;mg/g$. DPPH scavenging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s was also the highest as $89.5{\pm}1.9%$ and it was confirmed to be high as 80% over in both of w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phenolic compounds는 식물의 2차 대사산물의 하나로서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지며, phenolic hydroxyl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백질 등의 거대 분자들과 결합하는 성질이 있어 항산화, 항균활성 등과 같은 여러 생리 기능을 가진다고 보고되어 있다(20). 따라서 유근피로부터 phenolic compounds를 추출하기 위하여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phenolic compounds의 용출량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Fig.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약용식물인 유근피로부터 페놀성 물질을 분리하여 생체 내 생리활성 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in vitro에 의한 전자공여능과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등의 항산화 활성과 고혈압 예방 효과, 통풍 억제 효과, 항당뇨효과 및 항염증효과 등의 약리성 식품생리활성을 탐색하였다.
  • 1 mg/g으로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유근피의 경우 메탄올을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나 유근피의 phenolic compounds가 극성용매에서 용해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유기용매에서 phenolic compounds의 추출수율이 높다는 신의 결과(21)와 유사하였으나, 메탄올 추출물은 식품에 적용시킬 수가 없어 비교적 추출수율이 높은 물과 ethanol 추출물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근피 추출물의 추출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10∼100%)의 ethanol을 추출용매로 하여 phenolic compounds의 용출량을 측정한 결과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느릅나무 과실은 어떤 작용이 있는가? 한방에서 유근피는 맛이 달고, 무독하며, 종창, 관절염, 위궤양, 위장병 등에 사용되고, 거담, 항암, 상처치료약 및 염증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8), 우리나라에서도 풍부하게 생산되고 있다. 또한 느릅나무 과실은 구충작용, 항진균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나(9), 유근피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한 시도는 아직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약용식물 중 유근피는 한방에서 무엇에 사용하는가? japonica Nakai)의 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유백피라고도 한다(7). 한방에서 유근피는 맛이 달고, 무독하며, 종창, 관절염, 위궤양, 위장병 등에 사용되고, 거담, 항암, 상처치료약 및 염증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8), 우리나라에서도 풍부하게 생산되고 있다. 또한 느릅나무 과실은 구충작용, 항진균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나(9), 유근피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한 시도는 아직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유근피란? 느릅나무과(Ulmaceae)에 속하는 유근피(楡根皮, Ulmus pumila L.)는 낙엽교목으로 전국 각지에 야생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하는 것으로, 느릅나무(Ulmus davidianavar. japonica Nakai)의 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유백피라고도 한다(7). 한방에서 유근피는 맛이 달고, 무독하며, 종창, 관절염, 위궤양, 위장병 등에 사용되고, 거담, 항암, 상처치료약 및 염증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8), 우리나라에서도 풍부하게 생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JP, Chin IJ, Cho HK, Ham IH, Whang WK (2004) The antioxidant an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biofunctional foods prescriptions. Korean J Pharmacogn, 35, 98-103 

  2. Aruoma OI (1998) Free radical,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J Am Oil Chem Soc, 75, 199-212 

  3.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4.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283-288 

  5. Azuma K, Nakayama M, Koshika M, Ippoushi K, Yamaguchi Y, Kohata K, Yamauchi Y, Ito H, Higashio H (1999)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 3963-3966 

  6. Kim SR, Park KM (2003)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hellinus riis extrac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90-695 

  7. Chi HJ, Lee SI (1988) Korea pharmacopoeia Herb medicine standard (Herb medicine). Korea medi indekseuse, p 295 

  8. Duke, J. A. 1985. Handbook of medicinal herbs, CRC press, Boca Raton, p.495 

  9. Kim CM, Shin MG, Ann DK, Lee KS (1997) The encyclopedia of oriental herbal medicine. Publication Jungdam, p 3348-3350 

  10. Folin O, Denis W(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2. Pellegrin N, Roberta R, Min Y, Catherine RE (1998) Screening of diat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in Enzymology, 299, 379-389 

  13. Andarwulan N, Shetty K (1999)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ansformed and Ahrobacterium-transformed roots of anise (Pimpinella anisum L). J Agric Food Chem, 47, 1776-1780 

  14.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 in enzymol, 105, 302-310 

  15.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16. Stirpe F, Corte ED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61 

  17. Gavidson PH, Parish ME (1989)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J Food Technol, 43, 148-154 

  18. Stevenson TH, Lucia LM, Acuff GR (2000) Development of selective medium for isolation of Helicobacter pylori from cattle and beef samples. Appl Environ Micobiol, 66, 723-727 

  19. Choi SI, Lee YM, Heo TR (2003) Screening of hyaluronidase inhibitor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extracts. Korean J Biotech Bioeng, 18, 282-288 

  20. Choi HS, Kim MG, Shin JJ, Pack JM, Lee JS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21. Shin HL (2003) Biological acivity of phenol compound from muberry fruits. Sangju National University, Food Engineering, MS Thesis 

  22. Aoshima H, Tsumoue H, Koda H, Kiso Y (2004) Aging of whiskey increases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52, 5240-5244 

  23. Miyoshi D, Richard LS (1975) Pulmonary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J Biol Chem, 250, 6762-6768 

  24. Funayama S, Hikono H (1979) Hypotensive principles of Diospyors kaki Leaves. Chem Pharm Bull, 27, 2865-2871 

  25. Stewart JM, Ferreira SH, Greene LJ (1971) Bradykinin poeniating peptide Pca-Lys-Trp-Ala-Pro. An inhibitors of the pulmonary in activation of bradykinin and convertion of angiotensin I to II. Biochem Pharmacol, 20, 157-161 

  26. Noro T, Fukushima S (1988) Inhibitors of xanthine oxidase from the flowers and buds of Daphne genkwa, Chem Pharm Bull, 31, 3984-3988 

  27. Goodwin CS, Armstrong JA, Chilvers T, Peters M, Collins MD, Sly L, MacConnell W, Harper WES (1989) Transfer of Campylobacter pylori and Campylobacter mustelae to Helicobacter gen. nov. as Helicobacter pylori comb. nov. and Helicobacter mustelue comb. nov. respectively. Int J Syst Bacteriol, 39, 397-402 

  28. Konturek SJ, Konturek PC, Pieniazek P, Bielanski W (1999) Rol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extragastroduodenal disorders: introductions remarks. J Physiol Pharmacol, 50, 94-683 

  29. Ghosh P (1994) The role of hyaluronic acid (hyaluronan) in health and disease : interactions with cells, cartilage and components of synovial fluid. Clin Exp Rheumatol, 12, 75-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