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중서부 출토 일부 고대 세라믹 유물의 제작기술 해석: 예비 연구
Interpretation on Making Techniques of Some Ancient Ceramic Artifacts from Midwestern Korean Peninsula: Preliminary Study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2 no.2, 2016년, pp.273 - 291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진홍주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최지수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나건주 ((재)금강문화유산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차령산맥 남북의 7개 유적에서 신석기시대 빗살무늬 토기부터 조선시대 백자까지 시대적으로 일부 시료를 선별하여 물리화학적 및 광물학적 정량분석을 통해 고대 세라믹의 제작기술과 특성을 해석하였다. 연구대상 선사시대 토기는 연질에 테쌓기한 흔적이 나타나며, 삼국시대 토기는 연질과 경질이 공존하나 자비와 저장용기는 모두 테쌓기한 반면 배식기는 물레성형하였다. 태토의 정선도가 높은 삼국시대 이후 토기와 달리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토기는 사질태토에 높은 광물 함량을 보이며, 태토보다 큰 비짐이 다량 확인된다. 청자와 백자 기질에서는 일차광물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나 고온생성 광물의 함량이 높게 동정되었다. 분석시료들은 시기에 관계없이 유적에 따라 주성분 및 미량원소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지구화학적 거동특성도 거의 동일하여 태토의 기본적 성질은 유사한 것을 지시한다. 작열감량은 0.01~12.59wt.% 범위를 보여 편차가 크나, 선사시대에서 삼국시대로 가며 급격히 감소한다. 이들은 소성에 따른 중량감소율과 관련이 있으며, 태토의 소성도와 고온생성 광물의 검출 함량에 따라 5그룹의 추정 소성온도로 분류된다.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토기는 모두 $750{\sim}850^{\circ}C$ 그룹에 속하고, 삼국시대 토기는 $750{\sim}1,100^{\circ}C$의 소성온도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인되며, 청자와 백자는 $1,150{\sim}1,250^{\circ}C$의 고온에서 소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작시기에 따른 태토의 정선도와 소성온도 차이는 제작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원료수급과 소성방식이 변화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도 제작방법에 차이를 보이기도 하여, 단순히 한 방향으로 진화된 발전보다는 사용 목적과 필요에 따라 활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me ceramic artifacts representing time-wise from comb pattern pottery in the Neolithic Age to white porcelain in Joseon Dynasty were selected from 7 sites in the north and south area of Charyeong Mountain Range in order to making techniques interpret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ancient cerami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대 세라믹의 제작기술과 특성을 어떤 분석을 통해 해석하였는가? 차령산맥 남북의 7개 유적에서 신석기시대 빗살무늬 토기부터 조선시대 백자까지 시대적으로 일부 시료를 선별하여 물리화학적 및 광물학적 정량분석을 통해 고대 세라믹의 제작기술과 특성을 해석하였다. 연구대상 선사시대 토기는 연질에 테쌓기한 흔적이 나타나며, 삼국시대 토기는 연질과 경질이 공존하나 자비와 저장용기는 모두 테쌓기한 반면 배식기는 물레성형하였다.
고대 세라믹의 제작기술과 특성을 해석하기 위한 대상은 무엇인가? 차령산맥 남북의 7개 유적에서 신석기시대 빗살무늬 토기부터 조선시대 백자까지 시대적으로 일부 시료를 선별하여 물리화학적 및 광물학적 정량분석을 통해 고대 세라믹의 제작기술과 특성을 해석하였다. 연구대상 선사시대 토기는 연질에 테쌓기한 흔적이 나타나며, 삼국시대 토기는 연질과 경질이 공존하나 자비와 저장용기는 모두 테쌓기한 반면 배식기는 물레성형하였다. 태토의 정선도가 높은 삼국시대 이후 토기와 달리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토기는 사질태토에 높은 광물 함량을 보이며, 태토보다 큰 비짐이 다량 확인된다.
차령산맥을 중심으로 주변의 입지환경은 어떠한가? 한반도 중서부 지역은 차령산맥을 중심으로 북부와 남부로 나뉘며 서해로 흘러드는 크고 작은 하천이 발달하고 작은 분지와 구릉 및 평야가 조화를 이루어 이미 선사시대 부터 살기 좋은 자연지리적 입지환경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시대와 형태의 유적지가 알려져 있으며, 최근 세라믹 유물에 대한 고고과학적 연구를 통해 기존의 외형적인 요소에 의한 형식분류나 편년연구의 정량적인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M.L., 1981, Analyses of patternless coarse pottery from Cholla Province, and the implication for ceramic technology and so-called Yeongsan River valley culture area.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10.11, 261-276. 

  2. Choi, M.L., 1983, The analyses of plain and red-painted polished Korean pottery sherds excavated at Yangpyongni Chewon-gun County, Chungchong Pukto Province, Korea. DongA Culture, 21, 155-173. 

  3. Ina, B., 2008, Looking through pots : Recent advances in ceramics X-radiography. Journal of Achaeological Science, 35, 1177-1188. 

  4. Jang, S. and Lee, C.H., 2013, Production and supply of bricks from the Songsanri tomb complex. Korea.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Hanguk Sanggosa Hakbo, 82, 27-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ang, S. and Lee, C.H., 2014, Mineralogical study on interpretation of firing temperature of ancient bricks: Focused on the bricks from the Songsanri tomb complex,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0(4), 395-4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Jang, S., Lee, C.H. and Park, D.S., 2008, Archaeometric characteristics of roof tiles in Baekje Kingdom from the Danjiri site of Kongju,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2, 15-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J., Lee, C.H., Cho, S., Kim, R.H. and Lee, H.H., 2009,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making techniques of the Goryeo roof tiles from Oegol site of Tangjeong area in Asa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3), 299-3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R.H., Cho, M.S., Yeon, U., Seo, J.S. and Lee, C.H., 2010, Interpretation of material homogenity and making techniques of the jar coffins from the Oryangdong kiln site and the Ungokdong tomb site in Naju,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6(3), 229-2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R.H., Jung, J. and Lee, C.H., 2013, Clay source interpretation and making characteristics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potteries from Cheonan and Asan in Korea : Focusing on the Bakjimeure sit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9(2), 171-1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R.H. and Lee, C.H., 2012, Interpretation of remaking environments for pottery and material characteristic changes depending on firing experiments for ancient clay : Yongam site in Ssangyongdong of Cheona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8(3), 193-2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R.H. and Lee, C.H., 2015a, Application of the fabrication techniques and provenances of Bronze age potteries from Seosan Sinsongri site in Mid-wester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Tomography and Simulation, 28(2), 85-93. 

  12. Kim, R.H., Lee, C.H. and Yun, J.H., 2012,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clay source interpretation of Joseon (the 15th to 17th century) potteries from Ssangyongdong Yongam site in Cheona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8(1), 7-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S.K. and Lee, C.H., 2015b, Archaeological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patternless pottery with talc temper : Baekseokdong Gojaemigol site in Cheona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1(2), 159-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C.H., Cho, S.Y., Eo, E.I. and Kim, R.H., 2015,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archaeological scientific implication of the Bronze Age potteries from the Cheonan-Asan area,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1(1), 47-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C.H., Choi, S.W., Lee, H.M. and Lee, M.S., 2006, Archaeogeological implication of lithic artifacts from the Unjeonri Bronze Age site, Cheonan,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3, 335-348. 

  16. Lee, C.H., Kim, R.H. and Eo, E.I., 2014, Interdisciplinary study of Bronze Age artifacts in midwestern Korea :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presumption for stone artifacts of the Sinsongri site in Seosan.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0(2), 205-2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Nockolds, S.R., 1954,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65, 1007-1032. 

  18. Pearce, J.A., 1983,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 active continental margines. In Hawkesworth, C.J. and Norry, M.J.,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 Shiva, 230-349. 

  19. Taylor, S.R. and M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Oxford, 312. 

  20. Wolf-Achim, K. and Britta, R., 2012, Non-destructive fabric analysis of Prehistoric pottery using high-resolution X-ray microtomography : A pilot study on the late Mesolithic to Neolithic site Hamburg-Boberg.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9, 2206-22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