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과일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ZnO 나노분말 합성
Enviroment-Friendly Synthesis of Nanocrystalline Zinc Oxide Particles Using Fruit Peel Extract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6 no.6, 2016년, pp.311 - 319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송재숙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신평우 (창원대학교 금속신소재공학과) ,  홍순익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 environment-friendly synthetic strategy to process zinc oxide nanocrystals is reported. The biosynthe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simple and cost-effective, with reduced solvent waste via the use of fruit peel extract as a natural ligation agent. The formation of ZnO nanocry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생체적합성이 좋은 나노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과일 껍질이 두껍고 껍질에 털모양의 융기된 조직이 발달하여, 내부 과육 대비 폐과일껍질 비율이 높은 람부탄 과일의 껍질 추출물을 사용하여 산화아연 나노입자를 최초로 합성하여 분말의 구조 및 특성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과일껍질을 이용하는 나노입자 합성방법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이유는? 천연재료를 이용하는 합성법은 기존의 물리 화학적 방법에 비하여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새로운 친환경적인 방법1-3) 으로 효소,4) 미생물,5) 식물 추출물 또는 식물부산물6-8)과의 반응으로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친환경 green process에 대한 연구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폐과일껍질을 이용하는 나노입자 합성방법은 독성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폐농산물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화학폐기물과 폐농산물을 동시에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방법이다.
Rambutan 폐과일껍질 추출물에서 산화아연 나노분말을 얻는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4) 폐과일껍질인 람부탄껍질 추출물과 질산아연을 혼합하면 혼합물에서 수산기가 Zn-ellagate complex의 아연과 반응하여 폴리페놀의 페놀수산기와 산소 에스테르와 p-track 결합을 하며, 이 결합을 통하여 수산기가 결합된 수산화 아연 복합체가 형성된다. 수산화 아연 복합체를 450˚C에서 하소한 후 분쇄하여 산화아연 나노 결정을 얻는다.
람부탄을 나노분말 제조용 과일로 선택한 이유는? 폐부산물이 많이 발생하는 과일로는 과육이 크지 않고 껍질이 많이 발생하는 과일을 선정하여야 하므로 국내 생산 과일보다는 국내에 수입되는 과일 중에 과육이 크지 않으나 껍질이 발달하고 표면에 털 모양의 조직이 발단된 람부탄을 소재로 선정하였다. 람부탄 천연과일 껍질을 작은 조각으로 만들어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세척한 후 전기 오븐을 이용하여 50˚C에서 완전히 건조시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 Iravani, Green Chem., 13, 2638 (2011). 

  2. J. M. Patete, X. Peng, C. Koenigsmann, Y. Xu, B. Karnb and S. S. Wong, Green Chem., 13, 482 (2011). 

  3. S. Wenda, S. Illner, A. Mell and U. Kragl, Green Chem., 13, 3007 (2011). 

  4. Y. Konishi, K. Ohno, N. Saitoh, T. Nomura, S. Nagamine, H. Hishida, Y. Takahashi and T. Uruga, J. Biotechnol., 128, 648 (2007). 

  5. S. K. Das, C. Dickinson, F. Lafir, D. F. Brougham and E. Marsili, Green Chem., 14, 1322 (2012). 

  6. S. P. Chandran, M. Chaudhary, R. Pasricha, A. Ahmad and M. Sastry, Biotechnol. Prog., 22, 577 (2006). 

  7. D. Philip, Phys. E, 42, 1417 (2010). 

  8. S. Y. Chu, T. M. Yan and S. L. Chen, J. Mater. Sci. Lett., 19, 349 (2000). 

  9. M. S. Tokumoto, V. Briois and C. V. Santilli, J. Sol-Gel Sci. Technol., 26, 547 (2003). 

  10. J. H. Kim, W. C. Choi, H. Y. Kim, Y. Kang and Y.-K. Park, Powder Technol., 153, 166 (2005). 

  11. L. C. Damonte, L. A. Mendoza Zelis, B. Mari Soucase and M. A. Hernandez Fenollosa, Powder Technol., 148, 15 (2004). 

  12. M. L. Kahn and M. Monge, Adv. Funct. Mater., 3, 458 (2005). 

  13. S. Kamarnen, M. Bruno and E. Mariani, Mater. Res. Bull., 35, 1843 (2000). 

  14. X. Zhao, B. Zheng, C. Li and H. Gu, Powder Technol., 100, 20 (1998). 

  15. T. Tani, L. Madler and S. E. Pratsinis, J. Nanoparticle Res., 4, 337 (2002). 

  16. Z. R. Dai, Z.W. Pan and Z L. Wang, Adv. Funct. Mater., 13, 9 (2003). 

  17. W. Q. Ao, J. Q. Li, H. M. Yang, X. R. Zeng and X. C. Ma, Powder Technol., 168, 148 (2006). 

  18. D. Yu, R. Cai and Z. Liu, Spectrochim. Acta A, 60, 1617 (2004). 

  19. M. L. Curri, R. Comparelli, P. D. Cozzli, G. Mascolo and A. Agostiano, Mater. Sci. Eng. C, 23, 285 (2003). 

  20. V. P. Kamat, R. Huehn and R. Nicolaescu, J. Phys. Chem. B, 106, 788 (2002). 

  21. H. M. Lin, S. J. Tzeng, P. J. Hsiau and W. L. Tsai, Nanostruct. Mater., 10, 465 (1998). 

  22. J. Xu, Q. Y. Pan, Y. A. Shun and Z. Z. Tian, Sens. Actuators B Chem., 66, 277 (2000). 

  23. Z. Hu, G. Oskam and P. C. Searson, J. Colloid Interface Sci., 263, 454 (2003). 

  24. S. J. Chen and L. H. Lia, J. Cryst. Growth, 252, 184 (2003). 

  25. A. K. Li and W. T. Wu, Key Eng. Mater., 247, 405 (2003). 

  26. J. Y. Song and B. S. Kim, Bioprocess Biosyst. Eng., 32, 79 (2009). 

  27. S. Gorinstein, M. Zemser, R. Haruenkit, R. Chuthakorn, F. Grauer, O. Martin Belloso and S. Trakhtenberg, J. Nutr. Biochem., 10, 367 (1999). 

  28. L. P. Leong and G. Shui, Food Chem., 76, 69 (2002). 

  29. U. Palanisamy, H. M. Cheng, T. Masilamani, T. Subramaniam, L. T. Ling and A. K. Radhakrishnan, Food Chem., 109, 54 (2008). 

  30. N. Thitilertdecha, A. Teerawutgulrag and N. Rakariyatham, LWT - Food Sci. Technol., 41, 2029 (2008). 

  31. T. C. Daman and S. P. S., Proto, B. Tell, Phys. Rev., 142, 570 (1966). 

  32. R. Y. Hong, J. H. Li, L. L. Chen, D. Q. Liu, H. Z. Li, Y. Zheng and J. Ding, Powder Technol., 189, 426 (2009). 

  33. X. B. Wang, K. F. Huo, F. Zhang, Z. Hu, P. K. Chu, H. S. Tao, Q. Wu, Y. M. Hu and J. M. Zhu, J. Phys. Chem. C, 113, 170 (2009). 

  34. C. Jayaseelan, A. Abdul Rahuman, A. Vishnu Kirthi, S. Marimuthu, T. Santhoshkumar, A. Bagavan, K. Gaurav, L. Karthik and K.V. Bhaskara Rao, Spectrochim. Acta A, 90, 78 (2012). 

  35. S. N. Barnaby, S. M. Yu, K. R. Fath, A. Tsiola, O. Khalpari and I. A. Banerjee, Nanotechnology, 22, 225605 (2011). 

  36. E. Koren, R. Kohen and I. A. Ginsburg, J. Agric. Food Chem., 57, 7644 (2009). 

  37. J. A. Jacob, H. S. Mahal, N. Biswas, T. Mukherjee and S. Kapoor, Langmuir. 24, 528 (2008). 

  38. M. McDonald, I. Mila and A. Scalbert, J. Agric. Food Chem., 44, 599 (1996). 

  39. S. K. Sivaraman, I. Elango, S. Kumar and V. Santhanam, Curr. Sci., 97, 1055 (2009). 

  40. O. Yamamoto, J. Sawai and T. Sasamoto, Int. J. Inorg. Mater. 2, 451 (2000). 

  41. S. R. Przewloka and B. J. Shearer, Holzforschuang 56, 13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