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여기구와 참여수준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유형과 시사점
Participatory Budgeting's Types and Policy Implications by Participatory Institutions and Participatory Level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6, 2016년, pp.40 - 53  

윤성일 (연세대학교 공공문제연구소) ,  임동완 (단국대학교 공공관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2011년에 개정된 "지방재정법"에 의해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시행하고 있는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참여기구와 참여수준을 중심으로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243개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참여예산제도 운영조례"와 운영계획 및 운영체계를 분석하여 주민참여예산제도를 다섯 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의견제시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참여기구 없이 운영되는 형태로 100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원회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주민참여예산위원회만 운영하는 형태로 85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회의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주민참여예산위원회와 지역회의를 운영하고 있거나 지역위원회만을 운영하고 있는 형태로 21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민관협의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민관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는 형태로 30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권한위임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사업박람회 또는 모바일 참여를 운영하거나 양자를 모두 운영하고 있는 형태로 7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의견제시형과 위원회형이 전체의 76.5%를 차지하고 있어서 제도화 수준이 높지 않은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발전을 위하여 더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참여기구로서 민관협의회, 사업박람회 및 모바일 참여 등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rticipatory budgeting has been introduced and proliferated with differentiated types by Local Finance Act which had been revised in 2011.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types of Participatory Budgeting by participatory institutions and participatory levels and suggest the implications. We hav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가 각자 자신의 실정에 맞게 주민참여예산제도를 고안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유형을 제도를 구성하는 참여기구와 주민의 참여수준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유형분류가 제시하는 학문적 및 실무적으로 주는 함의를 살펴보고 참여기구를 활성화시키고 참여수준을 높일 수 있는 관점에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가 각자 자신의 실정에 맞게 주민참여예산제도를 고안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유형을 제도를 구성하는 참여기구와 주민의 참여수준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유형분류가 제시하는 학문적 및 실무적으로 주는 함의를 살펴보고 참여기구를 활성화시키고 참여수준을 높일 수 있는 관점에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모든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유형을 구분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참여예산위원회, 지역회의, 민관협의회, 주민투표 등의 참여기구가 구성되어 있는지와 Arnstein(1969)의 유형에 따른 참여수준에 따라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유형화를 실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참여기구와 참여수준에 따라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의견제시형, 위원회형, 지역회의형, 민관협의형, 권한위임형으로 유형화하고 이를 우리나라 전체 243개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참여예산제도 운영조례」와 운영계획 및 운영체계를 분석하여 각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고 있는 주민참여예산제도를 분류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모든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유형을 구분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참여예산위원회, 지역회의, 민관협의회, 주민투표 등의 참여기구가 구성되어 있는지와 Arnstein(1969)의 유형에 따른 참여수준에 따라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유형화를 실시하고자 한다. 참여기구와 참여수준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유형화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민참여예산제도란?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 사후에 실시되는 예산감시가 아니라 예산편성 과정에서부터 주민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해 주민이 원하는 지역사회의 사업을 제안하여 민주성을 증대하고, 그 집행과정의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이다. 실무에서는 예산편성에 초점을 맞추어 지방자치단체의 집행부가 독점적으로 행사해왔던 예산편성권을 권한이양, 분권화 및 공유화를 통해 주민참여를 보장하는 예산제도로 이해되고 있다[1-4].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참여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참여기구는 주민들이 지방공공재(local public goods)의 배분에 대하여 논의하고 심의를 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의 실정에 맞게 제도적으로 고안한(institutional design) 요소로서 지역회의, 주민참여예산위원회, 민관협의회, 주민투표(모바일투표) 및 사업박람회 등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2][15][42].
8단계의 주민참여의 사다리를 통한 참여 유형 중 조작은 어떤 단계인가? 첫째, 비참여(nonparticipation)가 일어나는 조작(manipulation)과 치료(therapy) 단계이다. 조작은 행정부 공무원과 주민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공무원이 주민을 일방적으로 교육시키거나(educate), 설득시키고(cure) 주민은 단순히 참석만 하는 단계이다. 치료는 주민의 불만사항을 어떠한 사업에 분출시켜서 치료하는 단계로서 행정의 일방적인 지도에 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곽채기,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기본모형과 운영시스템 설계 방안," 한국지방재정논집, 제10권, 제1호, pp.247-276, 2005a. 

  2. 곽채기,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모형설계와 성공적인 운영 전략," 지방재정, 제133권, pp.37-58, 2005b. 

  3. 임성일,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발전방향," 지방재정과 지방세, 제40권, pp.68-95, 2011a. 

  4. 임성일,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의의와 성공적 실시방안," 지방재정과 지방세, 제44권, pp.3-42, 2011b. 

  5. 고재정, "포르투알레그리의 참여예산제도," 강릉경실련 정기포럼 자료집, 2005. 

  6. 김웅, "참여예산제와 예산참여운동: 브라질노동자당의 참여예산제를 중심으로," 시민과 세계, 제1권, pp.305-314, 2002. 

  7. 나중식, "브라질 알레그레시의 주민참여예산제도:성공요인과 한계," 한국행정논집, 제16권, 제3호, pp.457-482, 2004. 

  8. 안성민, "주민참여 예산제도: 포르투 알레그레시의 사례," 지방재정, 제3호, pp.139-148, 2005. 

  9. 진경아, 주민참여예산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북구 주민참여예산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0. A. Fung, "Varieties of Participation in Complex Governan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66, No.s1, pp.66-75, 2006. 

  11. 박희용,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대덕구 주민참여예산제도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2. 방성애,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3. 안완기, 전라북도 주민참여예산제 효율적 운영 방안: 전북도민 여론조사를 중심으로, 전북발전연구원, 2007. 

  14. 하승우, "브라질 포르투 알레그레의 참여예산제 현황과 한국에 던지는 시사점," 풀뿌리정책포럼발제문, 풀뿌리자치연구소 이음.한양대 제3섹터연구소, 2007 

  15. 곽채기, "광주광역시 북구의 주민참여예산 제도화 과정과 운영성과," 한국지방재정논집, 제12권, 제3호, pp.175-211, 2007. 

  16. 김겸훈, 이은구, "주민참여예산제도에 관한 인식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289-300, 2009. 

  17. 안성민, 최윤주,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경험과 성과: 5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21권, 제4호, pp.1369-1397, 2009. 

  18. 이순향, 김상헌, "주민참여예산제도 도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지출규모와 구성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23권, 제1호, pp.319-341, 2011. 

  19. 임승후, 김병섭, "주민참여통로의 효과성 연구:광주광역시 북구청의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4권, 제3호, pp.61-86, 2010. 

  20. G. Baiocchi, "Participation, Activism, and Politics: The Porto Alegre Experiment and Deliverative Democratic Theory," Politics & Society, Vol.29, No.1, pp.43-72, 2001. 

  21. K. Koonings, "Strengthening Citizenship in Brazil's Democracy: Local Participatory Governance in Porto Alegre," Bulletin of Latin American Research, Vol.23, No.1, pp.79-99, 2004. 

  22. A. Novy and B. Leuboult, "Participatory Budgeting in Porto Alegre: Social Innovation and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of State and Civil Society," Urban Studies, Vol.42, No.11, pp.2023-2036, 2005. 

  23. 정우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평가와 과제,"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6권, 제2호, pp.241-257, 2014. 

  24. 이광원, "주민참여예산제도 실패 요인과 향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국정연구, 제32권, 제2호 pp.37-53, 2014. 

  25. 이정만, "주민참여예산제의 운영 실태와 정책 과제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6권, 제2호, pp.317-342, 2014. 

  26. 전상환, "제도 정합성 관점에서의 주민참여예산 제도 평가: 도시, 농촌, 도?농복합 기초지자체 적용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9권, 제1호, pp.229-255, 2015. 

  27. 소순창, 이광원, "중소도시형 주민참여예산 제도화 과정에서의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논산시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제27권, 제2호, pp.293-318, 2015. 

  28. 윤성일, 성시경, 임동완,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분화: 제도화 과정의 분석과 시사점,"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3호, pp.385-410, 2014. 

  29. H. Park, Policy Entrepreneurship, or Administrative Force Majeure?: Diffusion of Participatory Budget in Korea,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0. 이정철, 권혁준, "정책확산모형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사례를 중심으로," 정부회계연구, 제13권, 제1호, pp.87-111, 2015. 

  31. 정상호, "참여민주주의의 관점에서 본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 연구," 시민사회와 NGO, 제12권, 제1호, pp.3-34, 2014. 

  32. 김영수, "지방자치의 발달과 참여민주주의에서 본 주민참여예산제도," 공공사회연구, 제5권, 제2호, pp.22-56, 2015. 

  33. 김영재, "서울시 주민참여예산 거버넌스에 관한 논의," 정책과학연구, 제23집, 제2호, pp.36-62, 2014. 

  34. 신상준, 이숙종, C. Hampden-Turner, "협력적 거버넌스의 성공요인 및 과정: 인천광역시 주민참여예산제도 조례 개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7권, 제2호, pp.79-111, 2015. 

  35. 나중식,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모형에 관한 비교연구: 브라질.미국.한국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9권, 제2호, pp.133-158, 2005. 

  36. 박광우,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모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7. 박민정, 최성락,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절차적 합리성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3권, 제1호, pp.123-143, 2009. 

  38. 송재석, "지방자치단체 주민참여예산제의 모형분석과 성공적 도입.운영 방안: 제천시 중심," 정책개발연구, 제8권, 제2호, pp.81-99, 2008. 

  39. Y. Sintomer, C. Herzberg, and A. Rocke, "Participatory Budgeting in Europe: Potentials and Challe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Vol.32, No.1, pp.164-178, 2008. 

  40. A. Polko, "Models of participatory budgeting-the case study of Polish city," Journal of Economics & Management, Vol.19, pp.34-44, 2015. 

  41. 곽채기, "기초자치단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성공 사례와 발전 방안," 지방재정과 지방세, 제44권, pp.43-92, 2011. 

  42. 서울특별시청, 서울시 참여예산 배우기, 서울특별시, 2014. 

  43. S. Arnstein,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Vol.35, No.4, pp.216-224, 1969. 

  44. J. Creighton, The Public Participation Handbook: Making Better Decisions Through Citizen Involvement, John Wiley & Sons, 2005. 

  45. G. Baiocchi, "Participation, Activism and Politics: The Porto Alegre Experiment," In A. Fung & E. Wright(ed.), Deepening Democracy: Institutional Innovations in Empowered Participatory Governance, pp.45-76, London, UK: Verso, 2003. 

  46. 엄태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평가: 규범적 접근과 지방재정운영원리를 중심으로," 조임곤 외, 지방재정환경 변화에 따른 지방재정제도 개선방안, 한국조세연구원, pp.125-17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