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용품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연상이 브랜드신뢰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porate Association of Sports Equipment Companies on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6, 2016년, pp.94 - 102  

허진 (단국대학교 체육학과) ,  유명원 (단국대학교 체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용품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연상이 브랜드신뢰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스포츠용품 기업인 나이키의 제품 이용자 대학생 400명이다. 총 385부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어졌고 SPSS 22.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기업연상의 하위요인인 기업능력연상과 기업사회적책임연상은 브랜드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브랜드신뢰는 태도적충성도와 행동적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rporate association of sports equipment companies on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The subjects were college student and 400 data were collected and 385 of them were chosen as for final data analysis.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기업 연상과 관련한 연구를 살펴보면 일반 기업에 집중되어 있지만 스포츠용품기업의 기업연상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문한 실정이기 때문이다[5][6].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스포츠용품 기업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브랜드의 전략적 관리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국내 스포츠용품 기업이 발달함으로써 국내 브랜드가 세계시장에서 성장하고 우리나라 스포츠 용품의 산업의 발전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용품 소비자의 기업연상, 브랜드신뢰 그리고 브랜드충성도의 인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서 특징적인 사실을 알 수 있었고 그 사실을 통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용품 소비자의 기업연상, 브랜드신뢰 그리고 브랜드충성도의 인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서 특징적인 사실을 알 수 있었고 그 사실을 통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집중타당성이 확인된 요인들에 대해 각 요인들 간의 판별타당성의 충족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Fornell과 Larcker(1981)가 지적하고 있는 AVE값과 상관계수를 통해서 판별타당성을 검증하였다[41].

가설 설정

  • 가설 1: 기업능력연상은 브랜드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기업사회적책임연상은 브랜드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브랜드신뢰는 태도적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브랜드신뢰는 행동적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은 ‘기업능력연상은 브랜드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는 ‘기업사회적책임연상은 브랜드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은 ‘브랜드신뢰는 태도적충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4는 ‘브랜드신뢰는 행동적충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의 브랜드신뢰가 브랜드충성도로 이어지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브랜드신뢰는 거래 당사자 간의 매우 가치 있는 교환 관계를 생성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브랜드신뢰는 브랜드충성도로 이어지게 된다[22]. 소비자가 구매과정에서 특정 대상에 대하여 신뢰를 형성하게 되면, 이러한 신뢰는 해당 대상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행동으로 직접 전이될 수 있을 것이다[25][26].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 발표한 스포츠용품 브랜드파워 부문의 경우에 1,2,3위를 차지한 브랜드는 무엇인가? 2%로 해외 스포츠용품 기업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69.9%에 이르고 있으며[3],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 발표한 스포츠용품(의류/신발) 브랜드파워(K-BPI)부문의 경우에도 해외 스포츠용품 기업인 나이키가 16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디다스와 뉴발란스가 각각 2, 3위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4].
기업연상과 브랜드신뢰 그리고 브랜드충성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스포츠용품 시장의 지속적인 시장 팽창속도에 비추어 볼 때 스포츠용품산업은 스포츠산업 성장과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 예상되며 여가활동 문화의 확대와 더불어 더 많은 소비지출과 부가가치 창출이 이루어 질 것이다. 따라서 이런 시점에 기업연상과 브랜드신뢰 그리고 브랜드충성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은 학문연구의 진전뿐만 아니라 실무적으로도 추가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측면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문화체육관광부, 2013 체육백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국, 2014. 

  2. 특허청, 스포츠용품산업 분야 IP 경쟁력 제고방안, 특허심사1국, 2014. 

  3. http://www.samsungdesign.net./ 

  4. 한국능률협회컨설팅, 2014년도 제 23차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KCSI) 조사결과 발표, 한국능률협회컨설팅, 2014. 

  5. 박승배, 허종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제품 및 서비스 품질 평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395-402, 2011. 

  6. 조경희, 유양호, "호텔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호텔이미지, 고객충성도 간의 영향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459-467, 2012. 

  7. 김동태, 김재일, "기업연상과 브랜드 애호도간 이중 경로관계 모형," 마케팅연구, 제23권, 제3호, pp.141-162, 2008. 

  8. 이미영, "기업연상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 제7권, 제2호, pp.246-284, 2003. 

  9. 황병일, "상표태도와 고객의 관계유지 의도에서 기업연상의 역할," 광고학연구, 제15권, 제4호, pp.277-322, 2004. 

  10. G. Berens, C. B. M. van Riel, and G. H. van Bruggen, "Corporate associations and consumer product responses: The moderating role of corporate brand dominance," Journal of Marketing, Vol.69, No.3, pp.35-48, 2005. 

  11. T. J. Brown and P. A. Dacin, "The company and the product: Corporate associations and consumer product responses," Journal of Marketing, Vol.61, No.1, pp.68-84, 1997. 

  12. R. Madrigal, "The role of corporate associations in new product evaluat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27, pp.80-86, 2000. 

  13. K. L. Keller, "Build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Marketing Management, Vol.10, No.2, pp.14-19, 2001. 

  14. S. K. Balasubramanian, "Beyond advertising and publicity: Hybrid messages and public policy issues," Journal of Advertising, Vol.23, No.4, pp.29-46, 1994. 

  15. T. J. Brown and P. A. Dacin, "The company and the product: Corporate associations and consumer product responses," Journal of Marketing, Vol.61, No.1, pp.68-84, 1997. 

  16. 이한준, 박종철,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제품 및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제24권, 제1호, pp.231-250, 2009. 

  17. S. Pivato, N. Misani, and A. Tencati,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nsumer trust: The case of organic food," Business Ethics: A European Review, Vol.17, No.1, pp.3-12, 2008. 

  18. 박종철, 류강석, "기업 능력 및 사회적 책임 연상이 고객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용 및 호의성 신뢰의 매개역할," 마케팅연구, 제27권, 제1호, pp.1-25, 2012. 

  19. 류은아, "기업의 사회책임활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춘계학술대회, pp.3-37, 2003. 

  20. P. Rauyruen and K. E. Miller, "Relation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B2B customer loyal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0, pp.105-113, 2007. 

  21. P. M. Doney and J. P. Cannon, "An examination of the nature of trust in buyer-sell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Vol.61, No.2, pp.35-52, 1997. 

  22. R. M. Morgan and S. D. Hunt,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Vol.58, No.3, pp.20-38, 1994. 

  23. 김재휘, 한미영, 김현주, "인터넷 서점 이용자의 웹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브랜드 신뢰 및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13권, 제1호, pp.33-51, 2002. 

  24. A. Chaudhuri and M. B. Holbrook,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Vol.5, No.2, pp.81-93, 2001. 

  25. R. M. Kramer, "Trust and distrust in organizations: Emerging perspectives, enduring question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0, pp.569-598, 1999. 

  26. 박지혜, 오창환, "감정의 전이: 관계 감정이 장소와 브랜드점포 가정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 제25권, 제4호, pp.1-23, 2010. 

  27. 김기범, 차영란, 허성호, "브랜드 신뢰 경험의 구성 요소와 브랜드 신뢰, 브랜드 태도의 관계 분석," 광고학연구, 제17권, 제3호, pp.107-124, 2006. 

  28. 서구원, 이철영, 백지희,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유형과 소비자의 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8권, 제5호, pp.91-104, 2007. 

  29. 유재구, 운동건, 이창민, "브랜드 인지도 및 지각된 품질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의 스포츠 용품 소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44, pp.275-287, 2011. 

  30. T. J. Brown and P. A. Dacin, "The company and the product: Corporate associations and consumer product responses," Journal of Marketing, Vol.61, No.1, pp.68-84, 1997. 

  31. I. Maignan and O. C. Ferrel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32, No.1, pp.3-19, 2004. 

  32. 김해룡, 김나민, 유광희, 이문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척도 개발," 마케팅연구, 제20권, 제2호, pp.67-87, 2005. 

  33. S. Ganesan, "Determinants of long-term orientation in buyer-sell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Vol.58, No.1, pp.1-19, 1994. 

  34. P. M. Doney and J. P. Cannon, "An examination of the nature of trust in buyer-sell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Vol.61, No.2, pp.35-52, 1997. 

  35. N. Narayandas, The link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An Empirical Investigation. Working Paper, Harvard Business School, 1996. 

  36. 이유재, 이지영, "브랜드동일시, 브랜드감정, 브랜드 로열티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간의 비교," 광고연구, 제65권, pp.101-125, 2004. 

  37.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No.3, pp.411-423, 1988. 

  38. E. J. Pedhazur and L. P. Schmelkin, Measurement, design, and analysis: An integrated approach, Earlbaum, Hillsdale, NJ, 1991. 

  39. 김계수, New Amos 7.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07. 

  40. J. Nunnally, Psychometric methods (3th eds.), NY: McGraw-Hill Book, 1978. 

  41.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8, No.1, pp.39-50, 1981. 

  42. E. Garbarino and M. S. Johnson, "The different roles of satisfaction, trust, and commitment in customer relationship," Journal of Marketing, Vol.63, No.1, pp.70-87, 1999. 

  43. D. Rousseau, S. B. Sotkin, R. Burt, and C. Camerer, "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3, No.4, pp.255-271, 1998. 

  44. S. P ivato, N. Misani, and A. Tencati,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nsumer trust: The case of organic food," Business Ethics: A European Review, Vol.17, No.1, pp.3-12,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