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disaster can be defined in many ways based on perspectives, in addition, its types are able to classify differently by various standards. Considering the different perspectives, the disaster can be occurred by natural phenomenon that is like typhoon, earthquake, flood, and drought, and by the ac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달시간을 바탕으로 지리적 접근성을 평가한 마을단위 안전성지수 산정모델을 개발하고, 산정된 결과를 국민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지역안전지수와 비교해 보았다. 또한 산정된 마을단위 안전성을 통하여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지역안전지수를 비교·평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료시설의 접근성 평가를 기반으로 평가기준을 산정하였다. 미국에서는 1차 의료기관까지의 이동시간을 30분을 기준으로 의료취약지를 산정하고 있으며, 응급의료기관까지는 6분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다(Cromley and McLafferty, 2011).
  •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의료기관의 말단인 보건소에서 이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Lee, 2015). 또한 지자체 보건소와 민간병원과의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감염병에 대한 취약도는 보건소 및 민간병원의 분포로 파악이 가능하다.
  • 본 연구에서는 마을단위 안전지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도로망을 기반으로 한 접근성을 통하여 리단위 마을에서의 마을단위 안전지수를 파악함을 목적으로 한다. 안전지수는 국민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지자체별 지역안전지수 가운데 접근성으로 평가가 가능한 화재, 범죄, 감염병에 대한 안전지수를 산정하였다.
  • 국민안전처에서는 화재, 교통, 범죄, 안전사고, 자살, 감염병, 자연재해에 대한 안전지수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으로 평가가 가능한 화재, 교통, 감염병에 대한 안전지수를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시를 대상으로 마을단위의 접근성을 기반으로 한 지역안전지수를 산정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국민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지역안전지수와 비교를 하였으며,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지역안전지수를 비교·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지수란 무엇인가? 국민안전처에서는 지역별 안전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2013년 안전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한 시군구 행정구역의 지역 안전지수를 개발하여 2015년도에 지자체별 안전지수 등급을 제공하였다(MPSS, 2015a). 안전지수는 지자체 안전수준을 분야별로 계량화한 수치로 화재, 교통사고,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감염병의 총 7개 분야로 설정되어 있다.
소방차 및 경찰차의 접근시간이 단축될경우 이점은 각각 무엇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는가? 안전사고 발생 이후 소방차 및 경찰차의 접근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피해의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119 출동 시간을 5분에서 2분으로 단축시킬 경우 화재 피해액은 약 394억원이 감소되며(MPSS, 2015b), 경찰의 출동시간 감소로 인하여 현장검거율이 약 11% 증가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Noh, 2007). 농산촌에서는 감염병 환자 발생시 대형병원 및 지역거점병원으로 이송 중병세가 악화되어 사망하는 비율이 지속되고 있으며, 사스(SARS), 신종플루(N1H1 인플루엔자), 메르스(MERS) 등 신종 감염병 발생 후 국가지정시설의 접근성이 낮아 사용성의 한계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ark et al.
지속적인 사회적 안전사고의 발생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경제성장을 이루어내는 데는 성공했지만, 상대적으로 안전사고에 대해서는 사회 전반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여러 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다. 지속적인 사회적 안전사고의 발생은 많은 인명피해를 일으키고, 막대한 사고피해 복구비용이 지출되며, 국제사회에서의 국가브랜드 가치가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Lee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 Y. H., Han, B. Y., Ryu, Y. A., Bae, J. A., 2014, Research on Developing the National Safety and Security Index,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s. 

  2. Choi, C. G., 2013,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crime prevention and risk management, National Police Agency, Research Reports. 

  3. Cromartie, J., 2012, Frontier and Remote Area Code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Economic Research Service. 

  4. Cromley, Ellen K. and McLafferty, Sara L., 2011, GIS and Public Health 2nd Edition. Guilford Publications. 

  5. Jeon, J. B., 2016, Development of a Village Safety Evaluation Model using Vulnerability Assessment, Ph.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6. Kim, S. H., Kim, T. G., Suh, K., 2015a, Assessment of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in Rural Areas using Real Road Distance focusing on Pyeongchang-gu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4): 39-49. 

  7. Kim, S. J., Choi, G. Y., Chang, E. M., Song, W. Y., 2015b, Producing Firefighting Vulnerability Maps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3): 11-20. 

  8. Lee, J. Y., Sang, H. S., Lee, J. H., Choi, M. O., 2010, Study on Korea Agency for safety culture promotion establish and development of safety index,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Research Reports. 

  9. Lee, W. J., 2015,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how we solve, what we do, Parliament discussion forums Presentations. 

  10. Mark, S., 2010, Service Area Analysis for Fire Stations in Evanston, Illinois, GES 392 GIS II. 

  1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MPSS), 2015a, http://www.safemap.go.kr/ 

  12.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MPSS), 2015b, SAFE KOREA,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Promotional Brochure. 

  13. National Police Agency, 2015a, 112 calls response system. 

  14. National Police Agency, 2015b, Police Statistics, http://www.police.go.kr/ 

  15. National Police Agency, 2015c, 2015 White Paper. 

  16. Noh, H. R., 2007, Patrol Vehicle the correlation between crime prevention and development plan of the patrol system, Police Science Institute. 

  17. Park, S. Y., Park, B. W., Kim, J. K., 2015, Regional Medical Service Improvement in Gangwon,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18. Peace, D. M. D., 2001, Planning New Standards of Fire Service Emergency Cover for the United Kingdom, Fire Technology, 37(3): 279-290. 

  19. Police Science Institute, 2015, Public Peace Forecast Report, Police Science Institute. 

  20. Shin, Y. C., Koo, I. H., Hayashi, Y., Ohmiya, Y., Kwon, Y. J., 2011 A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using Simulation and Cas Study of Urban Fir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5(6): 1-7. 

  21. Statistics Korea, 2015, Social Indicators in Korea(2014). 

  22. The Korea Daily, 2014, Title of Fire Golden Time (http://news.joins.com/article/15213239). 

  23.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2014, World Health Statistics 2014. 

  24. Yoo, H. W., Koo, S., 2013, Fire District Adjustment for Improving Fire Service Vulnerable Areas in Jinj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1(1): 19-26. 

  25. Yoon, G., Park, J. H., Jeong, J. B., 2015, Problem of Government Response and Improvement Plan in the case Sewol Ferry Disaster,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str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