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리수나무 열매, 잎 및 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함유성분 분석과 간암 세포 증식억제 효과
Component Analysi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Fruits, Leaves, and Stems from Elaeagnus umbellata in HepG2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6, 2016년, pp.828 - 834  

김민주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전공) ,  임종순 (계명대학교 전통미생물자원개발 및 산업화연구센터) ,  양선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남 합천 일대에서 재배된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Thunb.)의 생리활성을 부위별(열매, 잎, 줄기)로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산화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총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난 줄기(829.6 mg/g) 에탄올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EC_{50}=54.04{\mu}g/mL$)이 가장 우수하였다. 유리 아미노산 분석에서는 잎(6,179.12 mg/100 g) 에탄올 추출물이 열매(378.88 mg/100 g)와 줄기(1,211.69 mg/100 g) 에탄올 추출물보다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높았으며, 열매의 proline, 잎의 asparagine 및 줄기의 GABA가 대표적인 유리 아미노산인 것을 확인하였다. LC-MS/MS를 이용한 주요 페놀 성분 분석에서는 잎 에탄올 추출물에서 gallic acid, 줄기 에탄올 추출물에서 catechin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HepG2 cell과 Chang cell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잎 에탄올 추출물이 HepG2에 특이적으로 높은 억제 활성이 나타났다. 향후 보리수나무를 국내 우수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다양한 암세포에 대한 활성 차이, 부위별 활성 물질의 구명 및 작용 기전 등에 대한 계속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different plant parts of Elaeagnus umbellata Thunb. extracted with ethanol (EtOH). EtOH extract of stems presenting the highest content of polyphenols showed the strongest 1,1-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보리수나무의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적 기능에 대한 특징을 탐색한 결과, 열매 에탄올 추출물은 주요 유리 아미노산으로 proline과 GABA를 함유하고, 잎 에탄올 추출물은 asparagine과 gallic acid의 함량이 높고 뛰어난 간암 억제 활성을 나타내며, 줄기 에탄올 추출물은 GABA와 catechin의 함량이 높고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는 보리수나무를 향후 기능성 식품, 화장품 등의 바이오 소재 자원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 세포의 세포막 손상에 따라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효소인 LDH가 유출된다. 이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생존율에 대한 시료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 LDH leakage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Lima 등(18)의 방법을 이용하여 LDH assay kit(BioVision, Milpitas, CA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보리수나무는 현재 합천군 일대에서 무농약 유기농으로 재배되고 있으나 체계적인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며, 열매와 잎은 식용으로 허가되어 있으나 식품소재로써 활용이 전혀 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리수나무의 잎, 줄기 및 열매의 부위별 기능성 및 유용성분에 대한 기초 활성을 비교하여 고부가가치 바이오 소재로서의 활용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리수나무에 관한 효능 연구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보리수나무에 관한 효능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으로 열매, 잎, 꽃 추출물의 항균 활성(5), 열매의 일반성분 및 라이코펜 함량 분석(6,7),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8), 열매와 잎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9)가 보고되어 있으며, 뜰보리수 관련 연구로서 잎의 유용성분 분석(10),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11,12), 미백효과, 항혈소판 및 항염증(13,14) 등의 보고가 있다.
보리수나무는 무엇인가?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Thunb., Autumn olive)는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 보리수나무속(Elaeagnus)에 속하는 낙엽활엽 관목으로서 국내에서는 합천군 가야면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민간에서 보리똥나무, 뻘똥, 핑크팝보리수로 알려져 있다. 이는 거제, 고성 등의 지역에서 재배되어 6~7월 수확되는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 Thunb.
보리수나무 열매와 잎의 특징은 무엇인가? )와는 달리 10~11월에 열매가 포도송이처럼 열려 붉은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길이 1 cm의 구형으로 다소 떫은맛과 단맛을 가지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으로 윗부분은 짙은 녹색을 띤다. 보리수나무의 열매, 잎과 뿌리를 중국에서 우내자(牛奶子)라고 하며, 이질, 지혈, 지사제로 사용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85. Chinese dictionary. Shogakukan, Tokyo, Japan. Vol 1, p 461. 

  2. Park J. 2004. South Korea herb encyclopedia. Book Publishing Shinil Books, Seoul, Korea. p 953-954. 

  3. Lee S. 1966. Korean folk medicine. Publishing Cente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 101. 

  4. Kim JG. 1984. Illustrated natural drugs encyclopedia. Namsandang, Seoul, Korea. Vol 1, p 279. 

  5. Sabir MS, Ahmad DS, Hussain IM, Tahir KM. 2007. Antibacterial activity of Elaeagnus umbellata (Thunb.) a medicinal plant from Pakistan. Saudi Med J 28: 259-263. 

  6. Fordham IM, Clevidence BA, Wiley ER, Zimmerman RH. 2001. Fruit of autumn olive: a rich source of lycopene. Hort-Science 36: 1136-1137. 

  7. Khattak KF. 2012.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Elaeagnus umbellata berry. J Med Plants Res 6: 5196-5203. 

  8. Wang SY, Bowman L, Ding M. 2007. Variations in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among different genotypes of autumn olive (Elaeagnus umbellata). Planta Med 73: 468-477. 

  9. Kang SK, Jeong CH, Heo HJ, Shim KH. 2010.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fractions from fruit and leaf of Pinkpop Borisu. J Agric Life Sci 44: 69-78. 

  10. Yoon KY, Hong JY, Shin SR. 2007.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Elaeagnus multiflora Thunb.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4: 639-644. 

  11. Kim SA, Oh SI, Lee MS. 2007. Antioxidative and cytotoxic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Elaeagnus multiflora. Korean J Food & Nutr 20: 134-142. 

  12. Oh SI, Lee MS. 2008. Antioxidative and cytotox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Elaeagnus multiflora. Korean J Food & Nutr 21: 403-409. 

  13. Park SH, Hwang HS, Han JH. 2004. Development of drink from composition with medicinal plants an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function. Korean J Nutr 37: 364-372. 

  14. Kim CK, Chung JD, Lee HS, Kim CB, Yoon JT, Choi BS. 1996.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organogenesis of rhizome in mature embryo cultures of Nelumbo nucifera. Korean J Plant Tissue Culture 23: 195-198. 

  15. AOAC. 200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7. 

  16. Nieva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8. Lima CF, Andrade PB, Seabra RM, Fernandes-Ferreira M, Pereira-Wilson C. 2005. The drinking of a Salvia officinalis infusion improves liver antioxidant status in mice and rats. J Ethnopharmacol 97: 383-389. 

  19. Kim NW, Joo EY, Kim SL. 2003.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Korean J Food Preserv 10: 534-539. 

  20. Mau JL, Chyau CC, Li JY, Tseng YH. 1997. Flavor compounds in straw mushrooms Volvariella volvacea harvested at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J Agric Food Chem 45: 4726-4729. 

  21. Solms J. 1969. The taste of amino acids, peptides, and proteins. J Agric Food Chem 17: 686-688. 

  22. Byun SM, Huh NE, Lee CY. 1977. Asparagine biosynthesis in soybean sprouts. J Korean Agric Chem Soc 20: 33-42. 

  23. Park SC. 1994. Effect of bean sprout extracts on metabolism and biological functions of ethanol in vitro and in vivo. Korea Soybean Digest 10: 123-143. 

  24. Leventhal AG, Wang Y, Pu M, Zhou Y, Ma Y. 2003. GABA and its agonists improved visual cortical function in senescent monkeys. Science 300: 812-815. 

  25. Kim SS, Oh SH, Jeong MH, Cho SC, Kook MC, Lee SH, Pyun YR, Lee HY. 2010. Sleep-inductive effect of GABA on the fermentation of mono sodium glutamate (MSG).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42-146. 

  26. Butterworth RF. 1994. Cerebral dysfunction in chronic alcoholism: role of alcoholic liver disease. Alcohol Alcohol Suppl 2: 259-265. 

  27. Soltani N, Qiu H, Aleksic M, Glinka Y, Zhao F, Liu R, Li Y, Zhang N, Chakrabarti R, Ng T, Jin T, Zhang H, Lu WY, Feng ZP, Prud'homme GJ, Wang Q. 2011. GABA exerts protective and regenerative effects on islet beta cells and reverses diabetes. Proc Natl Acad Sci USA 108: 11692-11697. 

  28. Lee JH, Seo WT, Cho KM. 2011. Determination of phytochemical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from the fruits of Elaeagnus multiflora. J Food Sci Nutr 16: 29-36. 

  29. Cha JY, Kim HJ, Chung CH, Cho YS.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0-1315. 

  30. Choi Y, Gu JB, Kim M, Lee J. 2008.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thirty Korean medicinal plants. Food Sci Biotechnol 17: 1235-1239. 

  31. Byun KS, Lee YW, Jin HJ, Lee KM, Lee HY, Lee KJ, Heo MY, Yu CY, Lee JH. 2005. Genotoxicity and cytotoxicity in human cancer and normal cell lines of the extracts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D. Don leaves. Korean J Med Crop Sci 13: 199-205. 

  32. Park YH, Lim SH, Ham HJ, Jeong HN, Lee KJ, Kim KH, Kim S. 2010.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975-9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