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시험은 관능평가 5가지 방법별 전문가와 일반인의 평가능력을 비교하여 쌀 산업현장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이용 가능한 식미 관능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품종 간 식미에서 단순차이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일-이점 검사 및 삼점검사를 수행한 결과 전문가 및 일반인 패널 모두 하이아미, 추청 및 다산 1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품종 간 식미특성 차이에 의한 선호도 평가를 위해 이점비교검사, 순위법 및 다시료비교검사를 수행하였다. 전문가 패널은 3가지 관능평가 방법 모두에서 하이아미 > 추청 > 다산 1호 순으로 좋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반면 일반인 패널에서는 이점비교검사와 순위법에서만 하이아미 > 추청 > 다산 1호 순으로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평가하였으나, 다시료비교법에서는 하이아미와 추청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쌀 산업현장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식미관능평가 방법은 2개 품종 간 식미특성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점비교검사법을, 3개 이상 품종 간 식미특성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순위법이 적합할 것으로 고찰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eriment aimed to compare the sensory ability of experts and untrained to evaluate three rice varieties by using five sensory evaluation methods. All paneli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ensory abilities to distinguish among Haiami, Chucheong, and Dasan 1 rice varieties when u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밥맛이 좋은 지역 신규 장려품종 선정이나, 미곡종합처리장(RPC)의 신규 수매품종 선정 및 연중 균일한 품질관리 등을 위해서는 쌀 산업현장에서 식미 관능평가를 보다 쉽고, 과학적인 근거 하에서 보다 객관적인 방법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관능평가 5가지 방법별 전문가와 일반인의 평가능력을 비교하여 쌀 산업현장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이용 가능한 식미 관능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 반면 밥맛이 좋은 지역 신규 장려품종 선정이나, 미곡종합처리장(RPC)의 신규 수매품종 선정 및 연중 균일한 품질관리 등을 위해서는 쌀 산업현장에서 식미 관능평가를 보다 쉽고, 과학적인 근거 하에서 보다 객관적인 방법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관능평가 5가지 방법별 전문가와 일반인의 평가능력을 비교하여 쌀 산업현장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이용 가능한 식미 관능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 실험재료의 식미특성을 사전 평가한 이유는 본 시험이 관능평가 5가지 방법별 전문가와 일반인의 식미평가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실험재료인 품종 간에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사전평가를 위해서 수행하였다. 식미특성 평가는 전문가 15~20명의 패널을 통해 표준 식미 관능 평가 방법으로 검사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확한 관능평가를 위해 무엇이 중요한가? 식미 관능평가는 밥을 지어 사람이 직접 먹어보고 입안에서 느끼는 5가지 감각을 통하여 느낌을 검사하는 것이다. 정확한 관능평가를 위해서는 잘 훈련된 평가요원, 적합한 취반방법 및 검정시설, 목적에 적합한 평가방법의 선택이 중요하다(Kim & Lee, 2003). 정확한 관능평가를 위해 필요한 요건을 충족시키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간접적인 식미 평가를 위해 아밀로스함량, 단백질함량, 호화특성 등 이화학특성이나 기계적인 식미치를 이용하여 평가도 하고 있다(Choi, 2002; Ebitani et al.
식미 관능평가는 무엇인가? 식미 관능평가는 밥을 지어 사람이 직접 먹어보고 입안에서 느끼는 5가지 감각을 통하여 느낌을 검사하는 것이다. 정확한 관능평가를 위해서는 잘 훈련된 평가요원, 적합한 취반방법 및 검정시설, 목적에 적합한 평가방법의 선택이 중요하다(Kim & Lee, 2003).
평가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사용하는 3가지 관능평가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관능평가는 평가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주로 3가지 방법으로 분류를 하고 있다. 시료 간 차이가 있는지를 보기 위한 차이식별검사와 어떤 시료가 좋은지를 평가하는 기호도 검사 및 어떤 맛의 느낌인지를 평가하는 묘사분석이 있다(Kim & Lee, 2003). 이 중에서 식품산업체에서는 원가절감이나, 신제품 개발을 위해 식품의 원재료를 재 배합하거나, 새로운 원재료를 추가하여 식품을 제조한 경우에 소비자들이 기존 제품과 맛이 다르다는 것을 감지하고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다면 기업체에는 큰 손실이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merine, M. A., R. M. Pangborn, and E. B. Roessler. 1965. Principles of sensory evaluation of food.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Monographs. Academic Press, New York. 

  2. Choi, H. C. 2002.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s. Korean J. Crop Sci. 47(S) : 15-32. 

  3. Ebitani, T., T. Umemoto, and M. Yano. 2002. QTL analysis of "Mido" value, an inbreed selection index for eating quality of rice, using progenies from a cross between japonica and indica variety. Breed. Sci. 52(Suppl.1) : 371. 

  4. Kramer, A., G. Kahan, D. Cooper, and Papavasiliou. 1974. A non-parametric ranking method for the statistical evaluation of sensory data. Chemical Sensory and Flavor. 1 : 121-123. 

  5. Kim, K. O., and Y. C. Lee. 2003. Sensory evaluation of food. Hakyoun. p359. 

  6. Lee, J. S., N. B. Park, J. H. Lee, J. H. Cho, Y. J. Won, H. M. Park, A. Chun, J. K. Jang, W. G. Hwa, G. H. Yi, and U. S. Yeo. 2012. Optimum milling degree for improving sensory quality of cooked rice. Korean J. Crop Sci. 57(4) : 359-364. 

  7. Lee, J. S., J. Kwak, M. R. Yoon, J. H. Lee, E. K. Aha, H. M. Park, Y. J. Woon, J. Y. Shon, J. H. Kim, J. P. Suh, A. Chun, J. B. Chun, and J. H. Lee. 2015. Cup Arrangement Ranking Method for a Rapid and Small-Sample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Rice. Korean J. Breed. Sci. 47(2) : 105-110. 

  8.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3. Evaluate the quality and taste of rice. Suwon, Korea. 

  9.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3. The 2nd workshop on analysis of rice quality, sensory evaluation and grain quality of rice. Suwon, Korea. 

  10. ISO. 2004a. Sensory Analysis-Methodology-Duo-trio Test. ISO Standard 10399, Copyright Office, Geneve, Switzerl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1. ISO. 2004b. Sensory Analysis-Methodology-Triangle test. ISO Standard 4120, Copyright Office, Geneve, Switzerl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2. ISO. 2005. Sensory analysis-Methodology-Paired comparison test. ISO Standard 5495, Copyright Office, Geneve, Switzerl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3. ISO. 2006. Sensory analysis-Methodology-Ranking. ISO Standard 8587, Copyright Office, Geneve, Switzerl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4. Okamoto, M. 1994. Studies on effect of chemical components on stickiness of cooked rice and their selection methods for breeding. Chugoku Agri. Report. 14 : 1-68. 

  15. Rousseau, B., A. Mayer, and M. O'Mahony. 1998. Power and sensitivity of the same-different test: Comparison with triangle and duo-trio method. J. Sensory Studies. 13 : 149-173. 

  16. Shim, H. M. 2012. Sensitivity of repeated duo-trio test: The effects of reference chosen by preference. Ms. D.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p66. 

  17. Vaz-Pires, P., and P. Seixas. 2006. Development of new quality index method (QIM) schemes for cuttlefish (Sepia officinalis) and broadtail shortfin squid (Illex coindetii). Food Control: 17(12) : 942-9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