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의식과 섭취 실태 조사
Awareness and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Children's Favorite Fo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1 no.3, 2016년, pp.176 - 185  

김종규 (계명대학교 식품보건학부 공중보건학전공) ,  정민지 (계명대학교 식품보건학부 공중보건학전공) ,  김중순 (계명대학교 경영공학과)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과 섭취 실태/행동을 알아보고, 또 성별 및 학년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일개 도시의 13개 초등학교 주변에서 무작위 추출된 초등학생 306명(남 188명, 여 118명)에 대하여 직접면담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전체적으로 20% 이상의 학생이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지식이 없었으며 또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정보원이 없었다. 또한 60% 이상의 학생이 1주일에 1~2회 이상 학교 주변 어린이 기호식품 판매업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로는 학교가 37%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가정 16%이었다.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의식 및 행동을 나타내는 요인들 중에서 지식과 정보 습득 경로는 성별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 < 0.05). 또 지식, 정보 습득 경로, 태도, 섭취 이유에 있어 학년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 < 0.05). 남자 어린이가 여자 어린이보다 지식 수준은 높았으나(p < 0.05), 태도는 낮고 또 섭취 빈도가 높았다. 학년이 높을수록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지식과 태도 수준이 높아지고 다양한 정보 습득 경로를 가졌으나(p < 0.05), 또한 섭취 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조사대상자의 지식과 태도/행동의 불일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주요 정보 습득 경로인 학교급식 프로그램과 학교 및 가정에서의 식품위생/안전교육이 더욱 향상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더불어 학교주변에서 불량식품에 대한 규제도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wareness on children's favorite foods and their consumption behavior of the foods. This study also focu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variables and gender/grade.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urvey with direct interview am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 어린이에 대한 연구들은 대개 학부모의 영향이나 의식으로 간접적으로 조사하고 있으며10) 어린이를 직접 대상으로 조사한 경우가 별로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어린이기호식품에 대한 의식과 섭취 실태/행동을 알아보고자 하며, 성별 및 학년별 연관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나아가 부정·불량식품 근절과 식품위생/안전 교육 및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어린이의 식생활과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의 변모과정은? 우리나라에서 어린이의 식생활과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은 수십 년을 거치면서 크게 변모하였다. 1960년~1970년대 영양결핍 및 영양부족으로부터 1990년대에 들어서는 먹거리의 다양화와 더불어 과잉섭취가 문제되기 시작하였다1). 2000년대에 들어 칼로리는 높지만 영양적으로 불균형 되거나 또 위생적으로 안전하지 못한 불량한 식품들이 어린이의 생활주변에 증가하고 또 무차별하게 놓이게 되었다.
법령에서 규정된 그린푸드존이란? 2008년 3월에는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특별법」이 제정되어 어린이의 식생활 안전 확보를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 특별법에서는 학교와 학교 주변 200 m 안에서 어린이 건강을 해치는 건강저해식품과 불량식품 등의 판매를 금지하는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즉, 그린푸드존(Green Food Zone)을 지정하여 관리하도록 하였다2). 동법에서는 또 어린이 기호식품을 제시하였다.
4대 사회악 중 하나로 불량식품을 지목했는데 그 이유를 알 수 있는 예시로는? 또 2013년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4대 사회악 중 하나로 불량식품을 지목하였으며, 식약청을 식약처로 격상시키고 불량식품 근절에 노력하고 있다. 그렇지만 2014년 대장균 시리얼 사건, 2015년 폐기물 계란 사용 등 불량식품 사건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단체협의회가 성명을 발표하기도 하였다5). 어린이 기호식품에 있어서도 과거로부터 안전성이 의심되어 온 경우가 많다. 그 예로서 수도권 30개 초등학교의 그린푸드존에 위치한 문구점 등에서 판매되는 100개 어린이 식품에 대해 조사한 결과 타르 색소 등이 다량 함유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6). 또 학교주변 어린이 기호식품 309건에서 과자류 중 유탕처리 제품 2건이 산가 기준인 2.0을 초과하여 부적합 판정되었으며, 김밥 등 즉석편의식품에서는 식중독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 2건, 대장균 1건이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7). 또한 초등학교 주변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기호식품 중 수입산으로서 원산지 미표기 식품이 있었다8). 그린푸드존 내 어린이 기호식품으로 학교 주변 분식점과 길거리 노점에서 조리 판매하고 있는 튀김식품에서 추출한 기름의 산가가 2.80~3.92, 감자튀김, 치킨팝콘, 핫도그 등에서 과산화물가가 50.98~57.14 meg/kg으로 산패취가 발생할 수 있는 수치가 나왔다는 보고도 있었다9). 한창 성장기에 있는 학동들에게 안전하고 건전한 식품을 먹을 수 있도록 해야 하지만, 이와 같은 보고들은 아직까지 학교 주변에 안전 하지 못한 식품들이 존재하고 있고 어린이들이 식품안전 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받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i, S.J.: A study on the contents and legal problems of the children food preference management system under the Special Act on Children Eating Habit Safety Management. Korean Comparative Public Law Assoc., 10(4), 327-350 (2009). 

  2.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Special Act on Children Eating Habit Safety Management (2016). 

  3.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Food Sanitation Act (2016). 

  4.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Livestock Products Sanitary Control Act (2016). 

  5. The Food and Beverage News: Korea National Council of Consumer Organization issued a statement to food safety. Available from: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224 (2015). 

  6. Korea Consumer Agency: Safety evaluation of food sold in green food zone. Korea Consumer Agency, Seoul, pp. 30-32 (2013). 

  7. Seo, K., Kim, J., Cho, B., Gang, G., Yang, Y., Park, J., Kim, E.: Study on safety of children snacks in school zone. J. Food Hyg. Saf., 24(2), 154-161 (2009). 

  8. Kim, J.G.: A survey on the misbranded and adulterated foods sold around elementary schools. J. Inst. Nat. Sci., 25(2), 87-93 (2008). 

  9. Jang, J.H., Jang, M.S., Cho, K.Y.: Investigation of safety children's favorite foods in the school zone. Korean J Food Nutr., 25(2), 398-406 (2012). 

  10. Brown, R. and Ogden, J.: Children's eating attitudes and behaviour: a study of the modelling and control theories of parental influence. Health Educ. Res., 19(3), 261-271 (2004). 

  11. Lee, H.Y.: Data analysis using SPSS. Cheong-ram Publications Press, Seoul, p. 311 (2013). 

  12. Tiwari, A.: A study on food adulterants and awareness about adulteration among student of Gorakhpur distract. Int. Edu. Res. J., 2(5), 1-3 (2016). 

  13. Norazmir, M.N., Hasyimah, M.A.N., Shafurah, A.S., Sabariah, B.S., Ajau, A., Norazlanshah, H.: Knowledge and practices on food safety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Johor Bahru, Johor, Malaysia. Pak. J. Nutr., 11(2), 110-115 (2012). 

  14. Dhanvijay, V., Ambekar, R.: Assessment of student's awareness about food adulteration. Int. J. Informative Futuristic Res., 2(7), 2356-2361 (2015). 

  15. Jung, J.H., Song K.H., Yoon, J.Y.: A study on the parents' perceptions of children's favorite food. Korean J Community Nutr., 14(1), 67-76 (2009). 

  16. Kim, J.G.: Studies on the food hygiene & safety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kitchen employees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s-part 1. Kor. J. Env. Hlth., 30(2), 173-183 (2004). 

  17. Kim, J.G., Kim, J.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garding food hygiene and safety. J. Environ. Health Sci., 39(3), 256-267 (2013). 

  18. Soares, L.S., Almeida, R.C.C., Cerqueira, E.S., Carvalho, J.S., Nunes, I.L.: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in food safety and the presence of coagulase-positive staphylococci on hands of food handlers in the schools of Camaari, Brazil. Food Con., 27, 206-213 (2012). 

  19. Gupta, N., Panchal, P.: Extent of awareness and food adulteration detection in selected food items purchased by home makers. Pak. J. Nutr., 8(5), 660-667, (2009). 

  20. Nasreen, S., Ahmed, T.: Food adulteration and consumer awareness in Dhaka City, 1995-2011. J. Health Popul. Nutr., 32(3), 452-464 (2014). 

  21. Adair L.S., Popkin, B.M.: Are child eating patterns being transformed globally? Obes Res., 13, 1281-1299 (2005). 

  22. Drewnowski A.: Nutrition transition and global dietary trends. Nutrition, 16, 486-487 (2000). 

  23. Drewnowski A.: The real contribution of added sugars and fats to obesity. Epidemiol Rev., 29, 160-171 (2007). 

  24. Dabone, C., Delisle, H., and Receveur, O.: Predisposing, facilitating and reinforcing factors of healthy and unhealthy food consumption in schoolchildren: a study in Ouagadougou, Burkina Faso. Global Health Promot., 20(1), 68-77 (2013). 

  25. Wilcocky, A., Pun, M., Khanonax, J., Aung, M.: Consumer attitudes, knowledge and behaviour: a review of food safety issues. Trends Food Sci. Technol., 15, 56-66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