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업 여부에 따른 어머니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 사용 양태 : 단독주행동, 동시주행동, 동시부행동을 기준으로
Time Spent for Child Care among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4 no.3 = no.141, 2016년, pp.27 - 43  

권순범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진미정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better estimate the amount of time spent for child care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ime spent for child care among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children under age 6 by taking concurrent activities into account. To assess time spent for child care, I diffe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행동에서 일어난 돌봄도 돌봄 시간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Craig(2006)는 다른 행동을 하는 중에도 자녀와 같은 공간에 있고 자녀에 대해 신경 쓰는 것이 시간일지 상에서 부차적인 돌봄으로 기록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시간 중에도 부모의 모니터링과 개입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고 부모와 미취학자녀 간의 정서적 교감이 이루어진다면 이러한 활동을 돌봄시간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만약 주행동으로 일어난 돌봄만을 분석대상 으로 한다면 실제로 돌봄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간과할 뿐아니라 부모가 돌봄에 할애하는 시간의 총량을 실제보다 적게 추정할 위험성이 있다. 어머니, 특히 취업모가 미취 학자녀를 돌보면서 느끼는 시간압박감이나 양육부담감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돌봄시간의 총량은 물론 다른 행동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돌봄시간의 비율도 모두 파악 해야 한다. 동시에 여러 가지 일을 할수록 압박감이나 피로를 더 많이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부행동 시간을 포함한 미취학자녀 돌봄시간을 분석 함으로써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 부행동으로 일어난 돌봄을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킨 이유는? 그런데 기존에 시간일지를 분석한 국내연구는 대체로 시간일지에 주된 행동(주행동)으로 기록된 돌봄만 분석하고 부차적 행동(부행동)으로 일어난 돌봄은 분석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이는 미취학자녀를 돌보기 위해 집중적인 주의가 필요하다는 인식, 즉 다른 행동을 하면서 동시에 미취학자녀를 돌볼 수 없다는 인식이 반영된 결과라고 볼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실제 돌봄이 이루어지는 방식과 거리가 있다.
취업모와 미취업모 간에 돌봄 시간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특히 어머니는 자녀 돌봄에 대한 책임을 주로 지고 있기 때문에 미취학자녀를 돌보 는데 아버지보다 많은 시간을 사용한다. 어머니의 미취학자 녀 돌봄시간은 취업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데 취업모는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적기 때문에 미취학자녀를 돌보는데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을 할애한다. 시간일지를 통해 미취학자녀 돌봄시간을 분석한 선행연구에서는 일관적 으로 취업모가 비취업모에 비해 미취학자녀를 돌보는데 적은 시간을 사용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hat, C. R., & Misra, R. (1999). Discretionary activity time allocation of individuals between in-home and out-of-home and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Transportation, 26(2), 193-229. 

  2. Bianchi, S. M. (2000). Maternal employment and time with children: Dramatic change or surprising continuity?. Demography, 37(4), 401-414. 

  3. Booth, C. L., Clarke-Stewart, K. A., Vandell, D. L., McCartney, K., & Owen, M. T. (2002). Child-care usage and mother-infant "Quality Tim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1), 16-26. 

  4. Cha, S.-E. (2010). Who is the busiest in Korea? A study on gender difference in time pressur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3(1), 27-49. 

  5. Cha, S.-E. (2011). A study on perceived time pressure and time use: Focusing on the employed men and women in Korea by using 1999 and 2009 time diary data.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5(3), 131-151. 

  6. Cha, S.-E. (2013). Weekend time use among married couples: Who are able to sleep more on weekends?. Family and Culture, 25(3), 1-30. 

  7. Choi, S. E. (2014). Evaluation of social services for infants and children and strategies for improvements. The 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y, 16(3), 63-95. 

  8. Connelly, R., & Kimmel, J. (2015). If you're happy and you know it: How do mothers and fathers in the US really feel about caring for their children?. Feminist Economics, 21(1), 1-34. 

  9. Craig, L. (2006). Does father care mean fathers share? A comparison of how mothers and fathers in intact families spend time with children. Gender & Society, 20(2), 259-281. 

  10. Drago, R. W., & Stewart, J. C. (2010). Time-use surveys: Issues in data collection on multitasking. Monthly Labor Review, 133(8), 17-31. 

  11. Eun, K.-S. (2010). Gender difference in TV viewing time in Korean daily life. Korean Studies Quarterly, 33(4), 395-427. 

  12. Folbre, N., & Yoon, J. (2007). What is child care? Lessons from time-use surveys of major English-speaking countries.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5(3), 223-248. 

  13. Folbre, N., Yoon, J., Finnoff, K., & Fuligni, A. S. (2005). By what measure? Family time devoted to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Demography, 42(2), 373-390. 

  14. Heo, S.-Y. (2008). Research on time use for housework of women and men in double income households.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24(3), 177-210. 

  15. Hong, S., & Kim, S. (2011). The affects on the parents' nurturing behavior &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al satisfaction level of weekend family leisure program. Journal of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2(2), 121-139. 

  16. Huston, A. C., & Rosenkrantz Aronson, S. (2005). Mothers' time with infant and time in employment as predictors of mot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early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6(2), 467-482. 

  17. Johnson, S. E. (2010). Time pressure and the wellbeing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n Austral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Australia. 

  18. Joo, E., Kim, S., & Kim, M. (2014). A study on parental tim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30(2), 367-400. 

  19. Jung, T., & Roh, H. (2005). Differences between the employed and the unemployed mothers in parenting guilt and behavior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0(2), 211-231. 

  20. Kapur, A., & Bhat, C. (2007). Modeling adults' weekend day-time use by activity purpose and accompaniment arrangemen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21, 18-27. 

  21. Kim, H. J., & Nam, K. S. (2007). A study on change of simultaneous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9(1), 343-357. 

  22. Kim, J. H., & Moon, H. J. (2006). Variables related to the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s of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1), 115-129. 

  23. Kim, N. H., Lee, E. J., Kwak, S. Y., & Park, M. R. (2013).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arenting burden of working mother with young childr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3), 188-200. 

  24. Lee, Y.-H., & Lee, S.-J. (2007). Analysis of the time use of working women and housewives having preschool children: Centering on the data of the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04.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0(1), 19-25. 

  25. Lee, Y.-M., & Min, H.-Y. (2014).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perception of financial pressure and marital conflict and their influence on child-rearing stress: The mediation of marital conflict. Korean Journal of Child Psychotherapy, 9(3), 73-89. 

  26. Milkie, M. A., Mattingly, M. J., Nomaguchi, K. M., Bianchi, S. M., & Robinson, J. P. (2004). The time squeeze: Parental statuses and feelings about time with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3), 739-761. 

  27. Milkie, M. A., Raley, S. B., & Bianchi, S. M. (2009). Taking on the second shift: Time allocations and time pressures of US parents with preschoolers. Social Forces, 88(2), 487-517. 

  28. Miller, Y. D., & Brown, W. J. (2005). Determinants of active leisure for women with young children: An "ethic of care" prevails. Leisure Sciences, 27(5), 405-420. 

  29. Nam, K. S., & Kim, H. J. (2003). Analysis of simultaneous activities on the time use survey using association rul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5(3), 625-635. 

  30. Offer, S., & Schneider, B. (2011). Revisiting the gender gap in time-use patterns multitasking and well-being among mothers and fathers in dual-earner famil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6(6), 809-833. 

  31. Park, E. J., & Lee, S.-L. (2013). Differences in time deficit and tim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ld care time of dual-earner coupes with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4), 97-111. 

  32. Sayer, L. C. (2007). More work for mothers? Trends and gender differences in multitasking. In T. van der Lippe & P. Peters (Eds.), Competing claims in work and family life (pp. 41-55). Cheltenham, UK: Edward Elger. 

  33. Shon, A. (2000).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Time Use Survey. Survey Research, 1(1), 135-148. 

  34. Sullivan, O., & Gershuny, J. (2013). Domestic outsourcing and multitasking: How much do they really contribute? Social Science Research, 42(5), 1311-1324. 

  35. Yang, S., & Shin, C. S. (2011). Work-family conflicts: Challenges of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1(3), 70-103. 

  36. Zick, C. D., & Bryant, W. K. (1996). A new look at parents' time spent in child care: Primary and secondary time use. Social Science Research, 25(3), 260-2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