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 사후관리의 발전방향 설정과 실천전략 모색
A Study on Future Direction and Practical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llow-Up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5 no.3, 2016년, pp.165 - 174  

박지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최준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환경영향평가 사후관리는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완성과 발전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단계이다. 근자에 환경영향평가 제도가 안정기에 들면서 제도의 내실 있는 성장을 위한 환경영향평가 사후관리의 내실화 및 활성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최근까지도 다양한 환경영향평가 사후관리 개선방안이 제시되어 온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실제 정책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선행준비가 필요하고 이러한 대내 외적인 여건 마련 부족 그리고 현실적 상황과 제안사항 사이의 간극으로 인해 실제 제도개선에의 적용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환경영향평가 사후관리의 발전방향을 설정하고 단계별 실천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제도의 현황을 다각도에서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국외 동향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제도의 현 상황을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우리나라 환경영향평가 사후관리가 수행해야 하는 주요 기능 및 발전 방향과 최종 목표를 설정하고 최종 목표에 연착륙하기 위한 단계별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follow-up is integral phase of the EIA system. The EIA is complemented and completed by the EIA follow-up and the experience and data accumulated during the process contributes to the advancement of the EIA system. In Korea, institutional foundation of EIA 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외사례는 비교적 EIA 사후관리가 발달되어 있는 미국, 유럽, 캐나다, 일본, 홍콩을 사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국제적으로 EIA 사후관리가 어떻게 정의되고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우리나라 제도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따라서 EIA 사후관리 발전전략의 단기 목표는 현 제도의 체제는 유지하되 “협의내용 관리”와 “사후환경영향조사”의 관련 지침에 검증·보정 기능을 고유 기능으로 포함하고 각각의 수준을 향상 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 각종 정보와 기술의 축적과 환류 작용은 EIA 사후관리를 시행하는 사업자나 대행자의 전문성 향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소통기능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 주민을 비롯한 이해당사자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업의 불확실성 등의 위험요인을 저감하여 사업자와 대행자로 하여금 EIA 사후관리에 대한 강한 동기를 부여 하는 선순환 구조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이다.
  • 본 논문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의 2015년도 연구사업비로 지원된 「환경영향평가 사후 관리 발전을 위한 실천전략 마련」을 기초로 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본 연구에서는 국외 사례를 토대로 EIA 사후관리의 일반적인 형태와 구성요소를 파악하였다. 이를 우리나라 체제에 맞게 변형하여 우리나라 EIA 사후관리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Table 1).
  • 본 연구의 EIA 사후관리 발전전략을 토대로한 우리나라 EIA 사후관리의 최종목표는 앞서 설정한 네가지 주요 기능이 유기적 관계를 가지며 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체제보다는 단일 EIA 사후관리 체제가 보다 효과적이다.
  • 기존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개선방안을 적용 가능한 순서에 따라 나열하고 중간에 연결고리가 필요한 부분은 보완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관련 주체들이 장기적 시각에서 EIA 사후관리 개선을 위한 작업을 단계별로 수행해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 제도개선 효과를 내고자 한다.
  • 이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EIA 사후관리의 발전전략을 추진할 수 있는 단계별 로드맵을 구축하고자 한다. 단편적인 문제해결에 집중하기 보다는 장기적인 시각에서의 제도개선에 집중하였다.
  •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EIA 사후관리 발전을 위한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국내 제도의 문제점과 국외 제도의 시사점,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개선 방안, 실무자 면담과정에서 제안된 사항을 토대로 EIA 발전전략의 초안을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외사례 분석 및 제도 현황, 운영 현황 분석, 실무자 면담을 통해 우리나라 EIA 사후관리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적합한 발전전략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이와 더불어 중기에는 검증·보정 수준의 지속적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
  • 장기 전략은 EIA 사후관리 체제하에서 환류기능의 도입에 중점을 두도록 하였는데 환류기능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피드백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이들 기능이 하나의 체계에서 통합되어 운용됨으로써 환류기능을 통해 해당 사업으로의 내적 환류(저감조치 개선, 조사방법 조정 등)를 비롯한 외적 환류(제도발전, 기법개발 등)가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영향평가가 다른 인허가제도와 다른 점은? 환경영향평가(이하, EIA)는 사업 시행 이전에 실시하는 것으로 미래 상황에 대한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본질적으로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다른 인·허가제도와는 다른 EIA제도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EIA 사후관리의 정상화를 위해선 사전준비가 필요한 이유는? EIA 사후관리는 앞서 진행되었던 EIA 과정과 단절된 독립적인 객체가 아니라 EIA의 완성을 위한 일련의 과정으로 다루어야 한다. 이런 연유로 EIA 사후관리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사전준비가 필요하다.
사후환경영향조사의 법령상 정의는? 한편, 사후환경영향조사의 경우 법령상 ‘착공 후 사업에 의한 주변환경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사’로서의 정의는 변함이 없으나 통보서 서식 개정을 통해 다루는 내용의 범위를 확대해 왔다. 2000년에는 당해 환경영향조사의 결과, 문제점, 조치결과, 협의 내용 이행현황 및 확인내역을 기재하는 수준으로 시작하였으나 2008년에는 조사결과에 대한 비교·분석 사항이 추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ngus MS, Arts J. 2004. Assessing Impact. Earthscan. 

  2. Bass RE, Herson AI. 1993. Mastering NEPA: A Step-by-Step Approach. Point Arena, California: Solano Press Books. 

  3. Canadian Environmental Assessment Agency. 2011. Follow-up Programs under the Canadian Environmental Assessment Act. 

  4. Choi HS, Yoo HS, Choi SG, Choi JG, Pakr JH, Ko JH, Park WS. 2013. Building Statistics and Improving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port. [Korean Literature] 

  5. Choi SG, Kim TH, Song YI. 2011. Institutional discussions concerning agreements o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port. [Korean Literature] 

  6. Chun DJ, Kim JY. 2013.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supervision system.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port. 

  7. Chun DJ, Noh TH, Kim TH, Im YS. 2012. Analysis on the follow-up monitoring of 4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Phase 2).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port. [Korean Literature] 

  8. IAIA. 2007. EIA Follow-Up International Best Practice Principles. 

  9. Joo HS, Oh IC, Cho HN, Lee EJ, Park KH. 2014. A Study on the Guideline for Post EIA Report. Ministry of Environment. Report. [Korean Literature] 

  10. Korea Environment Institute Environmental Assessment Group. 2014. Review of Post EIA Report(2014). Ministry of Environment. Report. [Korean Literature] 

  11. Maeng Jh, Joo YJ, Choi JG, Choi SG, Lee YS, Cho GW, Jung HR, Lee HW, Cho GJ. 2006. A study on Improvement of Management of Details of Consultation and Investig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fter the Fact. Ministry of Environment. Report. [Korean Literature] 

  12. McCabe M, Sadler B. 2002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raining Resource Manual. UNEP.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00. A Study on Rationalization Plans for Management of Details of Consultation. Report. 

  14.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12.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Japan. 

  15. Park YM, Choi SG, Park HN, Yoo MN. 2011. A study for Enhancing Efficiency of Investig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fter the Fact. Ministry of Environment. Report. [Korean Literature] 

  16.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8. Student Text For Principl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17. Yoo HS, Lee SJ, Noh TH, Cho GJ, Park JH, Park HN, Ji NE. 2012.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ssessment System of Post Environment Management. Ministry of Environment. Report.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