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지환경 및 자연생태환경을 고려한 환경영향평가 협의결정 개선방안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sultation Based on Land Environment and Natural & Ecological Environment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9 no.1, 2020년, pp.45 - 60  

이종호 (청주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거에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폐기물 등이 환경영향평가에서 주요한 평가항목이었는데 최근에는 토지환경(토지이용, 지형), 자연생태환경(동·식물상, 자연환경자산), 사회·경제 환경 등이 주요한 평가항목으로 다뤄지고 있다. 2012년 이후 전략환경영향평가와 소규모환경영향평가의 협의결과를 보면, 90 %이상이 조건부동의였다. 그러나 환경영향평가의 협의결과는 2012년~2016년 기간 거의 대부분(94.1 %) 동의였으나, 환경정책기조가 바뀌는 2017년 이후부터 대부분(87.4 %) 조건부동의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세 종류 환경영향평가의 부동의 비율이 2013년~2016년 기간 0.3~0.6 % 밖에 되지 않았는데, 2017년~2019년 기간 1.3~3.1 %로 급증하였다. 그 사이 협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만한 제도나 분석기법의 변화가 없었다면, 협의결과의 일관성 및 공정성의 결여가 문제로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영향평가에서 입지타당성을 결정하는 토지이용, 동·식물상 및 자연환경자산, 사회·경제 등의 평가항목에 대한 지표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영향평가가 전략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소규모환경영향평가로 구분되어 시행되는 2012년 이후 동의, 조건부동의, 부동의 협의결과를 분석한다. 부동의 사례에 대해 6개 환경분야 중 입지타당성분석에서 중요한 토지환경과 자연생태환경의 평가항목을 중심으로 근거요인을 분석하고, 환경관련 토지이용규제와 환경관련 등급을 중심으로 개발계획이나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에서 협의 결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ast,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and solid waste were very important items, but at present environmentally sound land use, ecosystem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socio-economy have become very important in EIA. According to the consultation result of SEA and Small scale EIA during 2012~20...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환경영향평가가 전략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소규모환경영향평가로 구분되어 시행되는 2012년 이후 동의, 조건부동의, 부동의 협의결과를 분석하고, 특히 부동의 사례에 대해 입지타당성분석에서 중요한 토지환경, 자연생태환경 등의 평가항목을 중심으로 근거요인을 분석하고, 환경관련 토지이용규제와 환경관련 등급을 중심으로 개발계획 및 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에서 협의 내용결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Environmental Space Information Service (https://egis.me.go.kr/main.do). 

  2.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upport System (https://www.eiass.go.kr/). 

  3. Geum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2017. 2.0 Query and Reply Casebook: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Korean Literature] 

  4. Kim TH, Lee SB, Park HJ, Kim TH, Mun JW. 2018. Study on the Policy of Planning Location for Solar and Wind Power Facilities while Considering Social and Environmental Impact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5. Kwon YH, Oh JG, Ahn SE. 2014. Indicator Development for Policy-level Plan S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6. Lee JH. 2010a. Social Impact Assessment on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9(2): 197-204. 

  7. Lee JH. 2010b.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originated from the Presidential Campaign Pledges and Impact Assessment.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49: 123-141. [Korean Literature] 

  8. Lee JH et al. 2016.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ongwha Technology Pub. Co. [Korean Literature] 

  9. Lee JH, Cho JH. 2016. Location Restriction for Water Quality Conserv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8(1): 71-76. [Korean Literature] 

  10. Lee JH. 2018.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20(3): 89-103. 

  11. Lee SB. 2019. Environmental Impact and Location Guideline of Wind Power Facilitie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Query and Reply Casebook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tc. [Korean Literature]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Environmental Location Consulting System Operating Guide. [Korean Literature]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Environmental Assessment Consulting Guide on Solar Power Facilities on Water. [Korean Literature]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Manual.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Environmental Nonagreement Consultation Cases. [Korean Literature]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Environmental Assessment Consulting Guide on Solar Power Facilities on Land. 

  1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Guide on National Land Planning Assessment. [Korean Literature] 

  19. National L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http://www.nein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