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엄늪 식생의 분포특성에 따른 습지 관리방안
Wetland Management Plan on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Hwaeom Wetland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5 no.3, 2016년, pp.190 - 208  

안경환 (국립환경과학원) ,  이율경 (참생태연구소) ,  임정철 (국립환경과학원) ,  최태봉 (국립환경과학원) ,  조항수 (국립환경과학원) ,  서재화 (국립생물자원관) ,  신영규 (국립환경과학원) ,  김명진 (국립환경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화엄늪 습지보호지역에서 식생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올바른 식생학적 보전 및 복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식생자료는 2008년과 2013년에 Braun-Branquet의 방법을 적용하여 총 117종(미동정종 포함)의 식물종이 포함된 29개가 획득되었다. 식물군락은 총 8개로 구분되었으며, 수분조건에 따라 건생형(신갈나무-애기감둥사초군락, 산철쭉군락-전형하위군락, 참억새하위군락, 미역줄나무군락)과 습생형(진퍼리새군락-전형하위군락, 왕미꾸리꽝이하위군락, 참억새하위군락, 바늘골-끈끈이주걱군락)으로 나누어졌다. 습생입지에 발달하는 습생형은 습지보호지역 내에서 보호의 핵심 대상으로 습지의 함몰된 공간 또는 물골 주변에 주로 발달하였다. 면적은 습생형이 전체의 약 3.8%에 불과하였으며, 습지보호지역 안에서 참억새가 우점하는 건생형이 약 51.5%로 가장 넓게 분포하였다. 습지보호지역 내에 다양한 수목들이 침투해 있었다. 2008년에는 교목성 수종 8종(총 228개체)과 관목성 수종 6종(총 51개체)을 포함하여 총 14종의 침투식물들이 관찰되었으며, 2013년에는 오리나무 2개체가 생육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화엄늪의 지속적인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 식생유형, 공간분포 변화 및 침투식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핵심 완충 전이지역의 구획화 관리 등을 통한 능동적이고 가변적인 설정방안 모색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restoration plan for vegetation in the Hwaeom wetland protected area. Total 29 phytosociological releves consisted of 117 plant species (unidentified species contained) was made during field studies conducted at 200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습지를 보호하기 위한 경계의 설정으로 습지의 체계적인 공간 관리와 보전을 계획하는 것이다. 흔히 산지습지의 경우 집수역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엄늪은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화엄늪의 식생유형을 분류하여 군락 간의 구조, 종조성적 유사성 및 환경조건 등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비교분석을 통한 군락동태를 파악하고 공간적 현황과 변화를 예측·해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셋째, 화엄늪 생태계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즉, 본 연구를 포함한 모든 자료를 통합 분석하여 생태적 관리 및 그에 따른 세부 실물 지침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의 특징은 무엇인가? 습지는 야생생물들에게 다양한 서식환경과 피난처를 제공하면서 다양한 자연재해들로부터 완충 또는 보호 역할 수질 정화 등 수많은 동·식물들의 생존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하고, 생태학적으로 육상생태계(terrestrial ecosystem)와 수생태계(aquatic ecosystem)의 전이대(ecotone)로서 두 생태계의 경계역에 위치하는 매우 중요한 생태공간이다(Mulamoottil et al. 1996; USDA 1998; Park et al.
화엄늪이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것은 언제인가? 화엄늪은 한반도 남동쪽의 천성산 북서쪽 능선 자락에 위치하며, 행정구역상으로 경남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에 속한다(Figure 1). 2002년 2월 1일에 환경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환경부 고시 제2002-11호)되었으며, 해당 면적은 124,384m2이다. 인근 울산기상대(해발고도 34.
화엄늪의 식물사회 중 습생형에 포함되는 것은 무엇인가? 화엄늪의 식물사회는 41과 79속 116종(4종 미동정)을 포함하는 6개의 식생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수분환경에 따라 습생형(hydric type, Figure 2)과 건생형(xeric type, Figure 3)으로 나누어졌다. 습생형은 바늘골-끈끈이주걱군락, 진퍼리새-산뚝사초군락(전형하위군락, 왕미꾸리꽝이하위군락) 등이며, 참억새군락(진퍼리새하위군락, 산철쭉하위군락), 산철쭉군락, 미역줄나무군락, 신갈나무-애기감둥사초군락 등이 건생형으로 구분되었다(Table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Becking RW. 1957. The Zurich-Montpellierschool of phytosociology, The Botanical Review, 23(7): 411-488. 

  2. Braun-Blanquet J. 1965. Pflanzensoziologie. Wien: Springer-Verlag. [German Literature] 

  3. Do UN, Moon TY. 2002. Succession of insect communities by desiccation of bog Hwaemneup at Mt. Wonhyosan, Yangsan. Jouranl of Korean Wetlands Society. 4(2): 13-22. [Korean Literature] 

  4. ESRI inc. 2006. ESRI ArcGIS version 9.2. 

  5. Jong YK. 1995. A syntaxonomy study on the mantle communities in South Korea. Ph. D dissertation. Univeristy of Kyungpook of Daegu. [Korean Literature] 

  6. Jong YK, Kim JW. 1997. A comparative study on mantle communities in South Korea and Jap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1(1): 81-88. [Korean Literature] 

  7. Kanda F, Hoshi H. 1982. Alnus japonica population around and in high moor in Kushiro moor. Journal of Hokkaido University of Education in Japan. 33: 19-31. 

  8. KFS: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Internet]. 2010-2013. Korean Forest Service; [Cited 2016 Feb 17]. Available from: http;//nature.go.kr/kpni/index.do 

  9. Kim JH, Yang HM, Kim KT, Lee WS, Kang SK. 2001. The asepect of natural regeneration for major tree species in the natural decidous forest. Journal of Forest Science. 17: 1-17. [Korean Literature] 

  10. Kim JW. 2006. Vegetation ecology. Seoul: World Science. 

  11. Kim JW, Lee YK.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Seoul: World Science. [Korean Literature] 

  12. Kim JW, Han SU. 2005. Original research: Moor vegetation of Mt. Shinbul in Yangs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8(2): 85-92. [Korean Literature] 

  13. Kim JW, Kim JH, Jegal JC, Lee YK, Choi KR, Ahn KH, Han SU. 2005. Original research: Vegetation of Mujechi moor in Ulsan: Actual vegetation map and Alnus japonica populatio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8(2): 99-103. [Korean Literature] 

  14. Kim JW, Kim JH. 2003. Original research: Vegetation of Moojechi moor in Ulsan: Syntaxonomy and syndynamic.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6(5): 281-287. [Korean Literature] 

  15. Kim JW, Kim SY. Syntaxonomy-program [RIM] ver. 2.1. Daegu: The Korea institute of Ecosystem management. 

  16. Kim JW, Manyko YI.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ournal of Ecology. 17: 391-413. 

  17. Kim SH. 2014.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vegetation distribution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of Hwaeomneup wetland. Journal of Photo Geography. 24(4): 139-151. [Korean Literature] 

  18. Kim W, Sung KH. 1995. A comparison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9(1): 55-64. [Korean Literature] 

  19. KMA: Climatic data [Internet]. 1981-2010. Normal climate. Seoul: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Cited 2015 Nov 1]. Available from: http://www.kma.go.kr/weather/climate/average_30years.jsp 

  20. Lee HJ. 1978. The study of water stress of Sorbus alnifolia, Nature and Life. The Natural History Society of Korea. 19(1): 41-56. [Korean Literature] 

  21. Lee SD, Kim SM, Kim JS. 2012. Analysis actual conditions of arid progress and prevention management of Hwaeom wetland in Yangsansi.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4): 498-511. [Korean Literature] 

  22. Lee SD. 2009. Analysis actual conditions of arid progress and prevention management method-Hwaeom wetland in Yangsansi.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1): 114-116. [Korean Literature] 

  23. Lee WC. 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Seoul: Academy Press. [Korean Literature] 

  24. Lee WC.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Seoul: Academy Press. [Korean Literature] 

  25. Lee YJK, Kwon SK. 2006. 2006 Detailed investigation of wetland protected area. Nakdong-river estuary, Upo wetland, Mujechineup. Inchon: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367-398. [Korean Literature] 

  26. Lee YK, Ahn KH, Lee CW. 2007. 2006 Detailed investigation of wetland protected area. Youngneup in Mt. Daeam, Jangdo wetland in Sinan. Inchon: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353-380. [Korean Literature] 

  27. Lee YK, Kim JW. 2005. Riparian vegetation of South Korea. Daegu: Keimyung university press. [Korean Literature] 

  28. Lee YK. 2004.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iparian vegetation in South Korea.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Keimyung of Daegu. [Korean Literature] 

  29. ME: Registration status of wetland protected area and Ramsar sites [Internet]. 2016. Environmental Policy. Ministry of Environment; [Cited 2016 Feb 17]. Available form: http://me.go.kr/home/file/readDownloadFile.do?fileId124676&fileSeq1 

  30. Microsoft corp. 2010. Microsoft Office 2010 Excel. 

  31. Miyawaki A, Fujiwara K. 1970. Vegetation of Oze marshland. Tokyo: National park of Association. [Japanese Literature] 

  32. Miyawaki A, Okuda S, Fujiwara R. 1994. Handbook of Japanese vegetation. Tokyo: Shibundo Publishing. [Japanese Literature] 

  33. Miyawaki A, Okuda S. 1990. Vegetation of Japan illustrated. Tokyo: Shibundo Publishing. [Japanese Literature] 

  34. Miyawaki A. 1967. Vegetation of Japan: compared with other region of world. Tokyo: Gakken. [Japanese Literature] 

  35. Mueller-Dombois 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New York: John Willy & Sons. 

  36. Mulamoottil M, Warner BG, McBean EA. 1996. Wetlands: Environmental Gradients, Boundaries and Buffers. Boca Raton: CRC Press. 

  37.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ionalized plants of Korea. Seoul: Ilchokak. [Korean Literature] 

  38. Park S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ionalized plants of Korea: Appendix. Seoul: Ilchokak. [Korean Literature] 

  39. Park SY, Yoon SY, Lee KC, Kim KG, Bae DH, Kim HS, Gyeongnam development institute. 2000. Principle of wetland-wetland in Korea. Seoul: Eunhye. [Korean Literature] 

  40. Park CK, Jea SH, Kim W, Sim HB. 1998. A comparison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 of Mt. Sansong-sa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Institute. 12(1): 57-64. [Korean Literature] 

  41. Park KW, Chung SH. 1990. Plant Ecological studies of burned field at the high mountain region. -Especially at Cheisukbong(1,806m) area in Mt. Chiri-. J Forestry Society. 79(1): 33-41. [Korean Literature] 

  42. Podani J. 2001. SYN-TAX 2000: Computer program for data analysis in ecological and systematics. Budapest: Scientia Publishing. 

  43. Ramsar: The Ramsar sites [Internet]. The list of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Cited 2016 Feb 17]. Available form: http://www.lamsar.org/sites/default/filies/documents/library/sitelist.pdf 

  44. Shin YH, Kim SH, Rhew HS. 2014. Implication of the ratio of exchangeable cations in mountain wetland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9(2): 221-224. [Korean Literature] 

  45. Sim HB, Kim W. 1996. Dynamic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the Mt. Ch'olye-s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9(5): 417-430. [Korean Literature] 

  46. Son MY, Chang MG. 2009. Formation processes of Hwaeomneup wetland, Cheonseong mounta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5(2): 204-214. [Korean Literature] 

  47. UNESCO: A practical guide to MAB -Programme on man and the biosphere (MAB) [Internet]. 1987. Paris; UNESCO; [Cited 2015 Mar 10]. Available from: http://unesdoc.unesco.org/images/0008/000851/085104eo.pdf 

  48. USDA: Wetlands [Internet].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agriculture; [Cited 2016 Feb 17]. Available form: http://www.nrcs.usda.go/wps/portal/nrcs/maim/national/water/wetlands/ 

  49. Weber HE, Moravec J, Theurillat JP. 2000. International code of phytosociological nomenclature. 3rd edition.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11, 739-768. 

  50. Westhoff V, van der Maarel E. 1973.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The Braun-Blanquet approach. Hague: Junk press. 

  51. William MJ, Gosselink JG. 2000. Wetlands. New Jersey: John wi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