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산 신불산의 습원 식생
Moor Vegetation of Mt. Shinbul in Yangsan 원문보기

한국생태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v.28 no.2, 2005년, pp.85 - 92  

김종원 (계명대학교 생물학과) ,  한승욱 (계명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남 양산시 신불산의 습원(면적 14,000 $m^2$)에 대한 식물군락의 유형화와 동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습원 식물상은 감시대상이 되는 식물종 26종을 포함한42과 80속 105종이 기재되었다. Z.-M.학파의 연구방법으로 8개 식생유형이 분류되었다: 올챙이자리-바늘골군집(신칭), 이삭귀개-흰개수염군락, 진퍼리새-좀네모골군락(전형하위군락, 끈끈이주걱하위군락), 진퍼리새-하늘산제비난군집, 억새군락, 메역순나무군락, 떡갈나무-노린재나무군락, 신갈나무-노린재나무군락 주좌표분석(PCoA)은 습원 내 식물군락들이 초본층(지표면)의 직사광선 이용 경향성 및 건습환경 조건, 그리고 토양의 비옥성(중영양-빈영양)에 대응하여 식생 구조의 다변성과 분포 경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동남부 영남알프스 산악지역에서의 산지 중간습원을 대표하는 진퍼리새군강 발달의 주요 요인은 국지적인 지리지형 조건으로부터 보다 짧고 습한 생육기를 야기하는 보다 긴 운무기간에 의한 냉각효과와 같은 기후 조건이 강조되었다. 양산습원은 인간간섭에 의한 습원식생과 자연 습원식생으로부터 무제치습원과 비교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mphasizes syntaxonomy and syndynamics of intermediate (Zwischen) moor (area: 14,000 $m^2$) at Mt. Shinbul in Yangsan,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A total of 105 vascular plant species including 26 monitor-species were recorded. Analysis by the $Z\"{u}rich$-Mont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양산습원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생태학적 핵심 전략을 발굴하는 데에 결정적 정보를 제공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불산 산정부에 산재하는 습원들 가운데 자연성이 온전한 상태로 잔존하는 습원-A를 중심으로 식생유형을 분류하여, 각 유형에 대한 종조성적 유사성과 환경조건 그리고 군락구조의 비교분석을 통한 군락동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양산습원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생태학적 핵심 전략을 발굴하는 데에 결정적 정보를 제공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상준. 1970. 대암산 고층습원의 생태학적 연구 -식물군락과 토양과의 관계-. 식물학회지 13: 20-24 

  2. 강상준. 1987. 대암산 고층습원의 식물생태학적 연구. 휴전선일대의 자연연구. 강원대학교 출판부. pp. 169-201 

  3. 국립지질조사소. 1964. 한국지질도 1:50,000 양산도폭 24 p 

  4. 김영현 2001. 점봉산 일대 산지습원의 천이계열에 관한 연구. 충남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p 

  5. 김종원.2004.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서울. 308 p 

  6. 김종원, 김중훈. 2003. 울산무제치습원의 식생: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한국생태학회지 26: 281-287 

  7. 김종원, 김중훈, 제갈재철, 이율경, 최기룡, 안경환, 한승욱 2005. 울산 무제치습원의 식생. 현존식생도와 오리나무 개체군의 분포. 한국생태학회지 28: 99-103 

  8. 김종원, 이은진. 1997. 다항목 매트릭스 식생평가 기법-식생의 자연 성 평가에 대한 새로운 기법과 그 적용. 한국생태학지 20: 303-313 

  9. 김종원, 한승욱, 안경환. 2004. 양산신불산 고산습원 복원에 관한 연구보고서. '양산신불산습원식생의 복원'에서, 네이코스(주), 서울' 47 p 

  10. 남정칠. 2003. 양산 신불산 산지습지 자연환경조사. '식물상조사' 에서, 동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pp. 23-43 

  11. 농림부. 2003 농림통계연보 '국토이용'에서 과천.40 p 

  12. 박봉규. 1973. 대암산 유사(위)고층습원의 식물군락.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생활 과학연구원 논총 11:25-31 

  13. 이영노. 1969. 대암산의 습원식물. 식물분류학회지 1: 7-14 

  14. 임양재, 장대경. 1973. 민통선내 생물상의 변천에 관한 연구(I). 중앙대학교 논문집. 18: 33-71 

  15.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 Aufl. Springer, Wien. 865 p 

  16. Kent M., and P. Coker. 1992. Vegetation description and analysis. John Wiley & Sons. Chichester etc. 363 p 

  17. Kim, J.W. 1990. Syntaxonomic scheme for the deciduous oak forests in South Korea. Abstracta Bot. 14:51-81 

  18.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Dissertation of University of Vienna. p. 314 

  19. Kim, J.W. and Y.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ur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I. Eco, 17: 391-413 

  20. Lincoln, R.J., G.A. Boxshall and P.F. Clark. 1982. A dictionary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59 

  21. Maltby, E. 1984. Fen and Moor in Britain. In Hokkaido Peatland Society(ed.), Peatland of England and Poland. pp. 1-3 

  22. Miyawaki, A. 1977. Vegetation of Japan. Gakuken. Tokyo. pp. 232-248. (In Japanese) 

  23. Podani, J. 2001. Syn-Tax 2000. Computer program for data analysis in ecolgical and systematics. Budapest. 53 p 

  24. Primack, R.B. 2004.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 3rd ed. Sinauer. MA. p. 320 

  25. Van der Marrel, E. 1979. Transformation of cover-abundance values in phytosociology and its effects on community similarity. Vegetagio. 39: 97-114 

  26. Wilmanns, O. 1978. Okologische Pflanzensoziologie. UTB. Quelle & Meyer. Heidelberg. p. 351 

  27. Yoshioka, K. 1974. Aquatic and Wetland Vegetation. In M. Numata (ed.), The flora and vegetation of Japan. Kodansha limited. Tokyo. pp. 211-2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