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활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와 간호사가 인식하는 재활 간호요구의 중요도와 수행정도 비교
Comparison wi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Rehabilitation Nursing Needs Perceived by Stroke Patients Admitted to a Rehabilitation Hospital and Nurses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9 no.1, 2016년, pp.30 - 42  

이은희 (우암병원) ,  고은 (국립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rehabilitation nursing needs perceived by stroke patients and nurses. Methods: A total of 275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136 stroke patients and the other was 139 nurses.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Rehabilit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의 간호요구 및 환자의 간호요구에 따른 간호가 실제 어느 정도 수행되고 있다고 인식하는지를 비교하고, 이들을 돌보는 간호사가 인식하는 재활 간호요구의 중요도와 수행정도를 비교함으로써 추후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재활간호중재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재활병동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136명과 간호사 139명이었고, 자료수집은 Park 등 (2009)이 개발한 RNSI를 사용하여 뇌졸중 환자가 인식하는 재활 간호요구의 중요도와 간호사의 수행정도, 간호사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수행정도를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요구란 무엇인가? 간호요구란 입원한 환자의 건강회복, 질병예방, 건강의 유지와 증진 및 안녕 상태 유지를 위해 필요하다고 지각되는 간호 활동이다(Henderson, 1996). 대상자의 간호요구를 확인하고 이들 요구를 중심으로 간호할 때 간호의 질 향상을 이룰 수 있어, 간호요구를 확인하는 것은 간호의 주요 관심사이며 필수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Blank, Clark, Longman, & Atwood, 1989).
최근 뇌졸중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인 이유는 무엇인가? 뇌졸중은 한국에서는 암 다음으로 사망원인 2위, 단일질환으로는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Statistics Korea, 2014), 미국에서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고 2009년 이후 사망률이 감소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사망원인 4위를 차지하고 있는 질환이다(Hunt, Deot, & Whitman, 2014). 최근 평균 수명의 연장, 노령인구의 증가, 고혈압, 당뇨와 같은 뇌졸중 선행질환의 유병률 증가로 뇌졸중의 유병률 역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통계에 의하면 한국에서는 매 해 10만명 이상이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10명 중 1명은 뇌졸중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ong et al., 2013).
뇌졸중 발병시 치료후에 생기는 부작용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높은 사망률도 문제가 되지만, 뇌졸중에서 회복된다 하더라도 신체적, 정서적 문제를 남기게 되어, 다른 질환에 비해 돌봄 요구가 높은 질환이다. 또한 한번 발병하게 되면 급성기 치료 후에도 2/3 이상의 환자에서 심한 장애가 남게 되며, 뇌병변 부위에 따라 운동기능 손실, 감각 이상, 인지장애 또는 언어장애를 갖게 된다(National Stroke Association, 2011). Leyes (2001)의 보고에 따르면, 뇌졸중 발병후 6개월이 경과된 이후에도 환자들의 48%가 편마비가 있었고, 24~53%의 환자들이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의존적인 생활을 해야 했으며, 12~18%의 대상자들은 언어 장애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lank, J. J., Clark, L., Longman, A., & Atwood, J. R. (1989). Perceived home care needs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Cancer Nursing, 12(2), 78-84. 

  2. Chae, Y. H., Lee, W. H., Min, Y. M., Shin, A. M., & Kim, H. M. (2013). Nurse’s role performance and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role among nurses practicing in a cancer care facili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3), 407-418. 

  3. Cho, K. H., & Kim, K. H. (2006). A families's burden on a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 and the demand for nursing hom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 (1), 95-103. 

  4. Choi, Y. S. (2014). Comparison in nursing needs of heart disease patient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readmitte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6), 519-526. 

  5. Henderson, V. (1996). The nature of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3(1), 21-34. 

  6. Hong, K., Bang, O. J., Kang, D., Yu, K., Bae, H., Lee, J. S., et al. (2013). Stroke statistics in Korea: Part I.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A report from the Korean stroke society and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Journal of Stroke, 15(1), 2-20. http://dx.doi.org/10.5853/jos.2013.15.1.2 

  7. Hong, M. S., Jo, H. S., Yom, Y. H., & Kim, F. M. (2012). The analysis of trends and contents of nursing intervention research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 entals of Nursing, 19(2), 109-121. 

  8. Hunt, B. R., Deot, D., & Whitman, S. (2014). Stroke motality rates vary in local communities in a metropolitan area: Racial and spatial disparities and correlates. Stroke, 45, 2059-2065. http://10.1161/STROKEAHA.114.005431 

  9. Jeong, E., & Kwon, I. S. (2015). Nursing needs and nursing performance as perceived by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3), 244-252. http://dx.doi.org/10.4094/chnr.2015.21.3.244 

  10. Joo, S. N., & Youn, M. S. (2008). A study of comparing with nursing needs between parturient women and nurses during the perinatal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14 (2), 131-142. 

  11. Jung, A. R., & Yi, M. (2011). Predictive factors of supportive care needs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5), 460-471. 

  12. Jung, A. R., Kim, I. S., Rah, U. W., Kim, Y. H., Paik, N. J., Chun, M. H. et al. (2010). Stroke rehabilitation report using the brain rehabilitation registration online database system in the years 2006 to 2008. Brain & Neurorehabilitation, 3(1), 24-41. 

  13. Kang, E. K., Kim, W. S., Jeong, S., Shin, H., & Han, T. R. (2007). Desire for rehabilitation service of stroke patients admitted in post-acute rehabilitation facilities.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31(4), 404-409. 

  14. Kim, E. K., Eom, M. R., & Jung, J. Y. (2008). Comparison of perceived nursing needs between spinal surgery patients and nurses caring for th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1), 89-97. 

  15. Kim, E. K., Kim, W., Jeong, S., Shin, H., & Han, T. R. (2007). Desire for rehabilitation services of stroke patients admitted in postacute rehabilitation facilities.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31(4), 404-409. 

  16. Kim, H. J., & Kim, D. H. (2011). Nursing educational needs for discharge after thyroid cancer surgery: Patients vs.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287-295. 

  17. Kim, M. S. (2002). A comparison between perception of patient and nurse on nursing need of admission patients (stroke patient and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18. Kim, S. J., & Kim, H. S. (2011). Difference between nursing demand and perceived nursing performance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3), 310-316. 

  19.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April 16). Operating and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regional rehabilitation hospital ? rehabilitation sanatorium hospital. Retrieved December 1, 2015, from http://www.khidi.or.kr/board?menuIdMENU00085 

  20. Lee, M. A. (2004). A study of the nursing service quality and gap perceived by consum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4(2), 225-234. 

  21. Lee, M. S., Kim, H., & Suh, S. R. (2008). Uncertainty and nursing need according to illness phases in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 1-9. 

  22. Leyes, D. (2001). Atherothrombosis: A major health burden. Cerebrovascular Disease, 11(Suppl 2), 1-4. 

  23. National Stroke Association. (2011). What is stroke? Retrieved August 1, 2011, from http://www.stroke.org/site/PageServer?pagenamestroke 

  24. Park, J. W., So, H., & Kim, C. H. (2011). Comparison of patient need with nurs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5(1), 47-69. 

  25. Park, J. W., Suh, Y. O., Lee, J. I., & Kim, J. W. (2009). The difference of the nurse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2(1), 30-38. 

  26. So, H. Y., Kim, J. W., Park, J. W., & Lim, N. Y. (2009). Task analysis of the job description of rehabilitation nurse based on DA CUM.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2(1), 16-29. 

  27. Statistics Korea. (2014).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December 10, 2014,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ubCont 

  28. Yoo, S. H. (2003). The educational needs of family-caregivers of stroke patient in admission and dischar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9. You, H. S. (2012). Comparison of nursing needs identified by elders and caregivers in day care center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4(2), 18-1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