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음성문제와 음성 관련 행동특성에 대한 부모 및 담임교사의 인식
The awareness of parents and teachers in the psycho- and voice behavio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children's voice problem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8 no.2, 2016년, pp.49 - 56  

송경화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언어치료교육전공) ,  김재옥 (강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examined that parents and teachers were aware of what extents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the children's voice problems. The voice samples of 89 children in the ages of 3 to 5 were collected and their voice quality were graded by G scale of GRBAS. The parents and teacher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학령전기 3세, 4세, 5세 아동의 음성문제(pVHI)와 음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동의 행동특성(심리 및 음성사용)에 대해 부모와 담임교사가 얼마나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주양육자인 부모와 주교육자인 담임교사로 하여금 아동의 음성문제에 대한 관심도와 인식도를 높이고 음성문제와 관련된 행동특성들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킴으로써 아동의 음성장애 발생을 예방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아동의 음성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은 이들의 신체와 정신적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육적 및 사회적 발달에서도 중요하기 때문이다(Von Berg & McFarlane, 2004; 송윤경, 2010 재인용). 이에 본 연구는 음성장애의 출현율이 높은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부모와 어린이집 담임교사가 아동의 음성문제에 대해 인식하는 정도를 파악하고, 음성문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심리 행동특성과 음성사용 행동특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성이란 무엇인가? 음성은 인간이 태어나는 순간부터 타인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사소통수단이다. 음성에 문제가 생기면 원활한 의사소통이 방해를 받아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다(김재옥 외, 2007; 표화영 & 송윤경, 2010).
아동에게 음성에 문제가 생기면 겪는 영향은 무엇인가? 음성에 문제가 생기면 원활한 의사소통이 방해를 받아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다(김재옥 외, 2007; 표화영 & 송윤경, 2010). 특히 아동의 경우, 음성의 문제가 일상생활을 영위하지 못할 정도의 위협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정상 음성을 지닌 아동에 비해 심리적, 교육적,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Toohill, 1975). 이러한 아동들은 또래 집단과의 놀이 활동이나 일상생활에서 놀림의 대상이 될 수 있어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Boone & McFarlane, 2000).
음성에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되는가? 음성은 인간이 태어나는 순간부터 타인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사소통수단이다. 음성에 문제가 생기면 원활한 의사소통이 방해를 받아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다(김재옥 외, 2007; 표화영 & 송윤경, 2010). 특히 아동의 경우, 음성의 문제가 일상생활을 영위하지 못할 정도의 위협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정상 음성을 지닌 아동에 비해 심리적, 교육적,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Toohill, 197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C., Park, S., & Lee, K. (1997). Environments of Hoarseness in Childre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8(2), 173-177. (안철민.박상준.이건영 (1997). 소아애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에 대한 연구.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8(2), 173-177. ) 

  2. Andrews, M. L. & Summers, A. C. (2002). Voice Treat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Singular: San Diego, CA. 

  3. Aronson, A. E. (1985). Clinical voice disorders (3rd edition). New York: Thieme Stratton. 

  4. Bagnell, A. (1982). Panel discussion. In V. L. Lawrence (Ed.), Transcripts of the 11th Symposium: Care of the professional voice (pp. 43-44). New York: The Voice Foundation. 

  5. Boone, D. R. & MacFarlane, S. C. (2000). The Voice and Therapy (4th edition),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6. Broaddus-Lawrence, P. L., Treole, K., McCabe, R. B., Allen, R. L., & Toppin, L. (2000). The effects of preventive vocal hygiene education on the vocal hygiene habits and perceptual vocal characteristics of training singers. Journal of Voice, 14(1), 58-71. 

  7. Chan, R. W. (1994). Does the voice improve with vocal hygiene education? A study of some instrumental voice measures in a group of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Voice, 8(3), 279-291. 

  8. Creen, G. (1989). Psycho-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vocial nodules: WPBIC rating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4, 306-312. 

  9. Dejonckere, P. H. & van Wijngaarden, H. (1990). Voice quality in children and environmental factors.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pp. 44-44), Ghent. 

  10. Dejonckere, P. H. (1999). Voice problems in children: Pathogenesis and diagno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49, 311-314. 

  11. Dobres, R., Lee, L., Stemple, J. C., Klummre, A. W., & Kretschmer, L. W. (1990). Description of laryngeal pathologies in children evaluated by otolaryngologis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55, 526-532. 

  12. Hirano, M. (1981). Cilnical examination of voice. New York: Sprinreg Verlag, Wien. 

  13. Hirschberg, J., Dejonckere, P. H., Hirano, M., Mori, K., Schultz-Coulon, H. J., & Vrticka, K. (1995). Voice disorders in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32, 109-125. 

  14. Jacobson, B. H., Johnson, A., Grtwalski, C., Silbergleit, A., Jacobson, G., Benninger, M. S., & Newman, C. W. (1997). The voice handicap index(VHI): Development and valid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6(3), 66-70. 

  15. Kim, J., Lim, S., Park, S., Choi, J., & Choi, H. (200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Version of Voice Handicap Index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4(3), 111-125. (김재옥.임성은.박선영.최성희.최재남.최홍식 (2007). 한국어판 음성장애지수와 음성관련 삶의 질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음성과학, 14(3), 111-125.) 

  16. Kwon, J. (2012). A study on aspiring singer's awareness for vocal hygiene and voice therapy. M. A. Thesis, Hallym University. (권준순 (2012). 가수지망생의 음성위생 및 음성치료에 대한 인식 조사. 한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Park, S. S. (2004). The effect of vocal hygiene of the female elementary teachers. M. 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박성신 (2004). 초등학교 여교사를 대상으로 한 음성위생법 효과성.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McLeod, S. & Harrison, L. J. (2009). Epidemiology of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4-to 5-year-old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2(5), 1213-1229. 

  19. Pyo, H. & Song, Y. (2010). Recent trends in evaluation and diagnosis of voice disorders: A literature review.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5(2), 506-525. (표화영.송윤경 (2010). 음성장애진단 및 평가의 최근 연구 동향; 문헌적 고찰. CommunicationSciences & Disorders, 15(2), 506-525.) 

  20. Pyo, H., Choi, S., Lim, S., Shim, H., Choi, H., & Kim, K. (1999). The correlation between GRBAS scales and MDVP parameters on the pathologic voices of the patients with vocal poly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10(2), 154-163. (표화영.최성희.임성은.심현섭.최홍식.김광문 (1999). 성대폴립 환자를 대상으로 한 GRBAS 척도와 MDVP 측정치 간의상관관계 연구.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10(2), 154-163.) 

  21. Ramig, K. O., & Verdolini, K. (1998). Treatment efficacy: Voice disorders. Journal of Speech & Hearing Research, 41, 101-117. 

  22. Roy, N., Holt, K. I., Redmond, S., & Muntz, H. (2007).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vocal fold nodules. Journal of Voice, 21(2), 157-168. 

  23. Song, Y. (2010). Appearance rate of voice disorders in preschoolers and characteristics of recognition about preschoolers voice in their parents. Special Education, 9(3), 193-209.(송윤경 (2010).학령전기 아동 음성장애의 출현율 및 부모 인식 특성. 특수교육, 9(3), 193-209.) 

  24. Toohill, R. J. (1975). The psychosomatics of children with vocal nodules. Archives of OtoLaryngology, 101, 591-595. 

  25. Yea, Y. L. (2009). The effect of vocal hygiene for nursery teachers. M. A. Thesis, Kosin University. (예영란 (2009).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음성위생 교육의 효과.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Yoo, J., Hwang, Y., & Han, J. (2014). Voice and Voice Therapy (9th edition). Sigma Press: Seoul. (유재연.황영진.한지연 (2014). 음성과 음성치료(9 판). 서울: 시그마프레스.) 

  27. Yoon, Y., Kim, S., Baek, J., Jung, H., & Sohn, Y. (2006). Effect of vocal hygiene education in the patients with vocal polyp.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49(7), 728-732. (윤영선.김상우.백정환.정한신.손영익 (2006).성대 폴립 환자에서 음성위생 교육의 효과.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49(7), 728-732.) 

  28. Zur, K. B., Cotton, S., Kelchner, L., Baker, S., Weinerich, B., & Lee, L. (2007). Pediatric voice handicap index(pVHI): A new tool for evaluating pediatric dysphonia.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71(1), 77-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