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여드름 환자에서 표피성장인자가 함유된 외용제의 피부 적용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Efficacy and Safety of Topical Applic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or Korean Acne Patien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2 no.2, 2016년, pp.111 - 118  

서준혁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  현무열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  장성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피부과학교실) ,  최선영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  김명남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  김범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드름은 면포, 구진, 낭종, 결절, 색소 침착 등 다양한 피부병변으로 나타나는 모낭피지선의 만성 염증질환으로 사춘기부터 성인기까지 발생 연령대가 다양해지고 있다. 한편, 약물 부작용으로 여드름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uwth factor, EGF) 수용체 억제제 항암제를 사용할 경우 75 ~ 100%에서 여드름양 모낭염이 발생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여드름의 치료로 항생제, 레티노이드 경구 복용 및 외용 약제 도포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레티노이드 기형 유발 가능성 및 Propionibacterium acne의 항생제 내성률 증가는 기존 치료의 한계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여드름양 발진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EGF를 함유한 외용제가 여드름 치료에 미치는 효과와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한국 성인 10 ~ 29세 23명을 대상으로 EGF 함유 제품(트러블컨트롤 EGF)과 3종 제품(트러블컨트롤 클래리파잉 클렌징폼, 트러블컨트롤 올-클리어 필링토너, 레드롤 카밍 모이스처)을 하루 두 번 사용하도록 하였다. 사용 후 영상 피지량, 경표피수분손실량, 피부 홍조 측정, 전문가 육안 평가, 사용 후 만족도 설문조사를 평가하였다. 최종 측정 시, 피부 피지량, 경피수분손실량, 피부 홍조가 통계학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전문가 육안 평가에서 여드름 병변(면포, 구진)도 통계학적으로 감소하였다. 연구동안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표피성장인자 함유 외용제는 경도의 여드름에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ne vulgaris is a chronic inflammatory condition characterized by comedo, papule, cyst, nodule and post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Meanwhile, it is also induced by adverse event of drugs. Among them, acneiform folliculitis is a side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inhibitor,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표피성장인자는 지방형성을 억제하여 세포 내 중성 지방 농도를 낮춘다고 알려져 있으며, 재조합 인간 표피성장인자를 도포할 경우, 여드름양 발진이 임상적으로 호전되고, 여드름에 도포할 경우 피지분비량이 감소하고, 피부 수분량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5-7]. 이전 연구들을 통해 표피성장인자 외용제가 피지분비 조절 및 여드름 병변을 호전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바, 본 연구에서는 표피성장인자를 함유한 외용제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여드름 치료에 쓰이고 있는 치료법과 한계점은? 현재 여드름 치료에 쓰이고 있는 치료법에는 한계점들이 있다. 치료 외용제는 종종 피부를 자극시키고, 항생제 복용은 반응이 느려 수개월 간 복용해야 하는 단점과 아울러 장기간 항생제 노출로 인한 항생제 내성 P. acne 균주 증가시킨다. Isotretinoin 등 경구 레티노이드는 피부점막 건조증과 기형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15]. 그 대안으로 표피성장인자 외용제는 다른 여드름치료들에 비해 자극성이 덜하고, 여드름병변을 빠르게 호전시키며 효과적으로 피지분비량을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여드름 발생 원인은? 여드름의 발생 기전은 비정상적인 모낭각화, 피지분비의 증가, 그리고 피지선 내의 Propionibacterium acne (P. acne)의 증식 및 이에 의한 염증 반응이 대표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2]. 한편, 약물에 의한 부작용으로 여드름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표피성장인자 억제 항암제를 사용할 경우 75 ∼ 100%에서 여드름양 모낭염이 발생된다고 보고되고 있다[3,4].
표피성장인자가 여드름의 병적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역할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 사례들은? 이전 여러 연구에서 표피성장인자가 여드름의 병적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Akimoto 등은 햄스터 피지세포(sebocyte)를 통한 in vitro연구에서 표피성장인자가 중성지방 합성을 억제함에 따라 세포내 지질 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고[5], Kim 등은 재조합 인간 표피성장인자 외용제 도포를 통해 임상적으로 염증성, 비염증성 여드름병변 수와 피지 분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고 보고하였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 K. Ahn, S. J. Lee, K. Namkoong, Y. L. Chung, and S. H. Lee, Quality of life of acne patients, Korean J. Dermatol., 43(1), 6 (2005). 

  2. A. Zaenglein, E. Graber, and D. Thiboutot, Acne vulgaris and acneiform eruptions, in :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eds. K. Wolff, L. Goldsmith, S. Katz, B. Gilchrest, A. Paller, and D. Leffell, 897, McGraw-Hill, New York (2008). 

  3. A. Wollenberg, J. Kroth, A. Hauschild, and T. Dirschka, Cutaneous side effects of EGFR inhibitors-appearance and management, Dtsch. Med. Wochenschr., 135(4), 149 (2010). 

  4. K. Busam, P. Capodieci, R. Motzer, T. Kiehn, D. Phelan, and A. Halpern, Cutaneous side-effects i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the anti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ntibody C225, British J. Dermatol., 144(6), 1169 (2001). 

  5. T. Sato, N. Imai, and N. Akimoto, Epidermal growth factor and 1&agr;, 25-dihydroxyvitamin D3 suppress lipogenesis in hamster sebaceous gland cells in vitro, J. Invest. Dermatol., 117(4), 965 (2001). 

  6. J. U. Shin, J. H. Park, B. C. Cho, and J. H. Lee, Treatment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hibitor-induced acneiform eruption with topical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Dermatology, 225(2), 135 (2012). 

  7. S. Cohen, Isolation of mouse submaxillary gland protein accelerating incisor eruption and eyelid opening in the new born animal, J. Biol. Chem., 237(5), 1555 (1962). 

  8. M. L. Kmiec, A. Pajor, and G. Broniarczyk-Dyla, Evaluation of biophysical skin parameters and assessment of hair growth in patients with acne treated with isotretinoin, Postepy. Dermatol. Alergol., 30(6), 343 (2013). 

  9. M. R. Lee, C. B. Jeong, J. Y. Chul, H. K. Kim, and G. W. Nam, Correlation between skin translucency and scattering reflection using miniaturized new optical device, J. Soc. Cosmet. Sci. Kor., 37(2), 121 (2011). 

  10. T. R. Mathanda, M. Bhat, R. P. Hegde, and S. An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in neonates: baseline values using a closed-chamber system, Pediatr. Dermatol., 33(1), 33 (2016). 

  11. S. I. Jang, E. J. Kim, H. Park, H. J. Kim, J. M. Suk, B. J. Kim, J. H. Lee, and H. K. Lee, A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using processed optical images and analysis of age-dependent changes on nasolabial lines, Skin Res. Technol., 21(2), 201 (2015). 

  12. L. Nanney, Epidermal and dermal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during wound repair, J. Invest. Dermatol., 94(5), 624 (1990). 

  13. J. Baselag, Why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he rationale for cancer therapy, Oncologist., 7(4), 2 (2002). 

  14. H. K. Kim, I. K. Yeo, K. Li, B. J. Kim, M. N. Kim, and C. K. Hong, Topical epidermal growth factor for the improvement of acne lesions: a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split-face trial, Int. J. Dermatol., 53(8), 1031 (2014). 

  15. R. S. Stern, When a uniquely effective drug is teratogenic, N. Engl. J. Med., 320(15), 1007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