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부모의 의존성 및 과잉간섭과 중년자녀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있어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의 매개효과: 자녀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The Mediation Effects of Ambivalence for Elderly Parents on the Relations among Dependence and Intrusiveness of Elderly Par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Childre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4 no.3, 2016년, pp.227 - 238  

문정희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일.가족연구부) ,  안정신 (부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노인생활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on effects of adult children's ambivalence for elderly parents in the rela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children with dependence and the intrusiveness of elderly parents that examines the difference of mediation effects by children's gender. We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선행연구들에 근거해 볼 때 중년자녀가 지각한 노부모의 과잉간섭은 노부모에 대해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감정이 혼합된 상태인 양가감정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노부모의 과잉간섭은 중년자녀의 양가감정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매개모형으로 제시하여 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 하지만 이상의 연구들은 대부분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성별에 따른 양가감정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어 자녀의 입장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년자녀를 대상으로 그들의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과 그와 관련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자녀 성별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젠더(gender)의 관점에서 양가감정이 부모-자녀관계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탐색해보고자 한다.
  • 국내에서는 부모-자녀관계 특성으로써 양가감정을 탐색한 연구가 사회인구학적변인[27], 부모·자녀 관계변인[2, 28, 34]의 영향력을 살펴보거나 질적 연구[20]가 이루어졌으나 노부모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양가감정과 중년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노부모와 중년자녀의 관계에서 양가감정의 특성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고 중년자녀의 심리적 안녕감과 관련 성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년자녀가 지각하는 노부모의 의존성 및 과잉간섭,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 중년자녀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 그 관계가 중년자녀의 성별에 따라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선행연구들에 비추어 논의 하면 다음과 같다.
  • 국내 연구에서는 부양자의 부담이나 보상 등 부양지원 경험이 우울감과 동시에 긍정적 정서와 같은 심리적 복지의 결과로 이어진다고 보고하고 있다[51]. 이러한 연구 들에 근거해 봤을 때, 노부모의 의존성은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을 통해 중년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중년자녀의 성별에 따라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중년자녀가 지각하는 노부모의 의존성 및 과잉간섭과 중년자녀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가 중년자녀의 성별에 따라 다른지를 확인하고자 한다(Figur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노부모와 관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정서를 탐색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심리적 안녕감(psychological well-being)이란 삶에 대한 행복 이상의 것으로 긍정적 기능, 개인의 강점, 정신건강을 반영하면서 개인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얼마나 잘 기능하는가를 나타낸다[44]. 심리적 안녕감은 생애주기 모든 시기에서 중요하나, 특히 중년기는 노부모의 기능 상실을 경험하고 이 과정에서 노부모에 대한 지원이나 돌봄을 제공해야하는 과업과 자녀와 직업에 헌신해야 하는 과업 사이에서 갈등을 느낄 수 있는 중년자녀의 발달적 과업 특성상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24]. 따라서 중년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노부모와 관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정서를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정서가 중년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가 요구된다.
심리적 안녕감이란 무엇인가? 심리적 안녕감(psychological well-being)이란 삶에 대한 행복 이상의 것으로 긍정적 기능, 개인의 강점, 정신건강을 반영하면서 개인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얼마나 잘 기능하는가를 나타낸다[44]. 심리적 안녕감은 생애주기 모든 시기에서 중요하나, 특히 중년기는 노부모의 기능 상실을 경험하고 이 과정에서 노부모에 대한 지원이나 돌봄을 제공해야하는 과업과 자녀와 직업에 헌신해야 하는 과업 사이에서 갈등을 느낄 수 있는 중년자녀의 발달적 과업 특성상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24].
양가감정은 무엇을 높이는데 유용한 개념으로 부각되고 있는가? 서구에서는 이러한 제한 점에 주목하여 노부모와의 관계에 포함되어 있는 모순을 연구하기 위해 새로운 관계지표로서 양가감정(ambivalence)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양가감정은 같은 대상을 향한 모순된 정서의 경험을 의미하는 것으로[39],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유용한 개념으로 부각되고 있다[33, 40]. 그러나 국내의 노부모와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양가감정 개념을 적용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n, J. S., Han, G. H., & Cha, S. E. (2004). Psychological well-being structure and item information of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1(4), 75-93. 

  2. An, J. S., Mun, J. H., Jeong, Y. J., & Chong, Y. S. (2015). Adult children's perception of types of relationships with elderly parent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6(1), 19-38. http://dx.doi.org/10.7856/kjcls.2015.26.1.19 

  3. Bae, B. R. (2014).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1 . Seoul: Cheong Ram. 

  4. Birditt, K. S., Fingerman, K. L., & Zarit, S. H. (2010). Adult children's problems and successes: Implications for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5(2), 145-153. http://dx.doi.org/10.1093/geronb/gbp125 

  5. Cho, I. H.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child-rearing attitude of the parents and morality of students as perceived by male high-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6. Choi, I. J. (2005). The influence of cultural uniqueness of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n adolescent's mental health: Parentadolecent affective bonding(bu-ja-yu-chin-sung-cheong).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7(4), 1059-1076. 

  7. Choi, S. C., Kim, H. S., & Yu, S. Y. (1994). Yuchin affective bondage between parent and children as a source of parental influence on children.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65-82. 

  8. Choi, W. K., & Kim, J. S. (2012).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suicide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3(1), 255-272. http://dx.doi.org/10.15703/kjc.13.1.201202.255 

  9. Connidis, I. A., & McMullin, J. A. (2002). Sociological ambivalence and family ties: A critical perspectiv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3), 558-567. http://dx.doi.org/10.1111/j.1741-3737.2002.00558.x 

  10. Fingerman, K. L. (1996). Sources of tension in the aging mother and adult daughter relationship. Psychology and Aging, 11(4), 591-606. http://dx.doi.org/10.1037/0882-7974.11.4.591 

  11. Fingerman, K. L., Pitzer, L., Lefkowitz, E. S., Birditt, K. S., & Mroczek, D. (2008). Ambivalent relationship qualities between adults and their parents: Implications for the well-being of both parti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3(6), 362-371. http://dx.doi.org/10.1093/geronb/63.6.p362 

  12. Guo, M., Chi, I., & Silverstein, M. (2013). Sources of older parents' ambivalent feelings toward their adult children: The case of rural China.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8(3), 420-430. http://dx.doi.org/10.1093/geronb/gbt022 

  13. Hoyle, R. H., & Smith, G. T. (1994). Formulating clinical research hypotheses as structural equation models: A conceptual over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3), 429-440. http://dx.doi.org/10.1037/0022-006X.62.3.429 

  14. Huh, M. Y. (1999).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erceived by adolesc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5. Jo, H. I., & Hwang, J. E.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for learning of middle school-aged childr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experi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4), 27-52. 

  16. Ju, B. A. (2003). The relationship among dependencies of care recipients and coping resourc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17. Keyes, C. L. M., & Ryff, C. D. (1998). Generativity in adult lives: Social structural contours and quality of life consequences. In D. P. McAdams & E. de St. Aubin (Eds.), Generativity and adult development: How and why we care for the next generation (pp. 227-263).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dx.doi.org/10.1037/10288-007 

  18. Kiecolt, K. J., Blieszner, R., & Savla, J. (2011). Long-term influences of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on midlife parents'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3(2), 369-382. http://dx.doi.org/10.1111/j.1741-3737.2010.00812.x 

  19. Kim, A. S. (2012). Middle.old psychology . Seoul: Sigmapress. 

  20. Kim, I. J., Lee, S. I., & Lee, S. H. (2010). A qualitative study on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of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5), 73-85. http://dx.doi.org/10.6115/khea.2010.48.5.073 

  21. Kim, I. K., & Hong, H. Y.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related emotions and forgiveness of participants experiencing complex trauma: The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2(2), 453-491. 

  22. Kim, J. Y., & Oh, K. J. (2011). The effect of parental overprotection on depression: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according to gender.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0(3), 647-661. http://dx.doi.org/10.15842/kjcp.2011.30.3.002 

  23. Kim, S. H. (2004).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the stressful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24. Lang, F. R. (2004). The filial task in midlife: Ambivalence and the quality of adult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their old-aged parents. In K. Pillemer & K. Luscher (Eds.),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s: New perspectives on parent-child relations in later life (pp. 183-206). Bingley: Emerald Group Publishing. http://dx.doi.org/10.1016/s1530-3535(03)04008-1 

  25. Lee, S. A. (2009). The influence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on the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6. Lee, S. H. (2005).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dependence to abuse among living-at-home elderly peo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27. Lee, S. S. (2013). A study on ambivalence of elderly parents toward their adults childre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6), 633-647. http://dx.doi.org/10.5934/kjhe.2013.22.6.633 

  28. Lee, S. S., & Kim, S. H. (2014). Factors affecting the ambivalence of adult children toward their aged par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9(3), 445-469. http://dx.doi.org/10.13049/kfwa.2014.19.3.445 

  29. Lee, S. W. (2014). The effect of parents' overprotecting on juvenile delinquency: Focused on mediated effect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negative emo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30. Lee, S. Y. (1998).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lder abu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1. Lendon, J. P., Silverstein, M., & Giarrusso, R. (2014). Ambivalence in older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s: Mixed feelings, mixed measur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6 (2), 272-284. http://dx.doi.org/10.1111/jomf.12101 

  32. Lowenstein, A. (2007). Solidarity-conflict and ambivalence: Testing two conceptual frameworks and their impact on quality of life for older family member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2(2), S100-S107. http://dx.doi.org/10.1093/geronb/62.2.s100 

  33. Luescher, K., & Pillemer, K. (1998).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f parent-child relations in later lif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0(2), 413-425. http://dx.doi.org/10.2307/353858 

  34. Mun, J. H., & An, J. S. (2014). The ambivalence of adult children toward elderly paren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4(2), 409-429. 

  35. Mun, S. B. (2009).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17.0. Seoul: Hakjisa. 

  36. Oh, Y. S. (2006). A study on the effect of elderly's dependency on elder abu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37. Park, I. A. (2008). A study on the adult children's maladjustment to the relation with the old par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8. Park, J. S. (2009). A study of awareness on life dependency and abuse for elderly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39. Pillemer, K. (2004). Can't live with 'em, can't live without 'em: Mothers' ambivalence toward their adult children. In K. Pillemer & K. Luscher (Eds.),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s: New perspectives on parentchild relations in later life (pp. 115-132). Bingley: Emerald Group Publishing. 

  40. Pillemer, K., & Luscher, K. (2004).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s: New perspectives on parent-child relations in later life. Bingley: Emerald Group Publishing. 

  41. Pillemer, K., Munsch, C. L., Fuller-Rowell, T., Riffin, C., & Suitor, J. J. (2012). Ambivalence toward adult children: Differences between mothers and fathe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4(5), 1101-1113. http://dx.doi.org/10.1111/j.1741-3737.2012.01004.x 

  42. Pillemer, K., & Suitor, J. J. (2002). Explaining mothers' ambivalence toward their adult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3), 602-613. http://dx.doi.org/10.1111/j.1741-3737.2002.00602.x 

  43. Rhee, W. Y. (1998). A study on Korean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in relation to the psychology of Koreans. The Journal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13, 1-18. 

  44.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http://dx.doi.org/10.1037/0022-3514.57.6.1069 

  45. Seo, S. G., Shin, H. H., An, J. S., & Chong, Y. S. (2015). An exploratory study on perceived conflict with old parents of the Korean middle age.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8(2), 1-18. 

  46. Shu, K. H. (2013).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and attitudes toward life among college student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9), 51-71. 

  47. Steinmetz, S. K. (1988). Duty bound: Elder abuse and family care. Vol. 166. Sage library of social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48. Suitor, J. J., Gilligan, M., & Pillemer, K. (2011).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in later lif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6(6), 769-781. http://dx.doi.org/10.1093/geronb/gbr108 

  49. Suk, M., & Oh, I. (2014). Relations of perceived parental overprotection, negative automatic thought and anger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2(3), 491-511. 

  50. Willson, A. E., Shuey, K. M., & Elder, G. H., Jr. (2003). Ambivalence in the relationship of adult children to aging parents and in-law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4), 1055-1072. http://dx.doi.org/10.1111/j.1741-3737.2003.01055.x 

  51. Yoon, S. E. (2002). The effect of caregiver gain on psychological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52. Yoon, S. E., & Han, G. H. (2002). Perceived gains in caregiv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9), 207-221. 

  53. Zygowicz, S. D. (2006). Interpersonal complementarity and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rizona State University, Tempe, AZ,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