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극복력 구조모형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Resilience of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3, 2016년, pp.327 - 337  

양정하 (인천재능대학교 간호학과) ,  김옥수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resilience of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Methods: Participants were 204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received chemotherapy treatment. They participated in a structured interview, whi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에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극복력과 감염예방 행위라는 자가관리 영역에 대한 영향 정도를 제시한 연구로 그 의의가 있다고 평가된다. 기존의 연구가 극복력이 암 환자의 적응[14]이나 삶의 질[7]등의 심리사회적 측면으로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면, 본 연구는 자가관리 영역인 감염예방 행위라는 실천적 측면으로의 영향력을 확인하여 극복력 개념의 실질적 유용성에 대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극복력을 설명하는 관련 요인들을 종합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성과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는 모형 구축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극복력과 감염예방 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극복력 및 감염예방행위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또한 극복력은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삶의 질이란 안녕감으로 정의되며, 자기 존중감, 완성/신뢰, 자기 초월 등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ARM에 근거하여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극복력 모델의 이론적 근거를 정립하기 위하여, 이론적 모형에서 설명하지 못한 주요 변수를 추가하여 모델을 확장하고 변수 간 관계의 틀을 설정하여 연구의 개념적 기틀을 도출하였다(Figure 1)[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극복력 및 감염예방 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극복력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 이에 암을 포함한 만성 질환자를 대상으로 신체적, 심리적, 상황적 요인들을 총체적으로 고려한 Haase [15]의 청소년 극복력 모델(Adolescent Resilience Model [ARM])에 근거하여 유방암 환자의 극복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과 극복력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구체적인 경로 및 영향력을 포함한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방암 환자의 극복력과 관련이 있는 요인들 간의 예측 정도를 파악한다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간호를 위한 효율적인 통합적 접근이 가능해지리라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 환자의 감염과 관련된 문헌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암 환자의 감염과 관련된 문헌을 살펴보면, 감염 발생 시 치료법이나 대처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2].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감염예방 행위 정도와 실천을 방해하는 심리사회적요인에 대한 조사연구[3]를 제외하면, 감염예방 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방안이나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항암화학요법이란? 항암화학요법은 유방암의 치료법 중 하나로 암세포 뿐 아니라 정상세포에도 영향을 미쳐 여러 가지 부작용을 야기 시키는데, 감염은 대상자에게 있어 가장 치명적인 부작용이라 할 수 있다[2]. 또한 최근에는 외래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환자가 병원에서 조기귀가 후 자가관리의 주체가 되어 감염예방 행위를 어떻게 수행하느냐가 생명유지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극복력과 관련한 국내외 문헌의 한계는? 또한 극복력 중재 프로그램은 불안, 우울, 스트레스, 적응, 삶의 질 등의 심리적 영역뿐 아니라 일부 질환을 가진 대상자에게 건강증진행위 및 자가관리 영역의 개선 등을 보고하여 신체적·실천적 측면에도 긍정적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13]. 그러나 암 환자에게 제공된 극복력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는 심리사회적 측면[14]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만 보고된 상태이며, 암 환자에게 있어서 주요 자가관리 영역인 감염예방 행위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ung KW, Won YJ, Kong HJ, Oh CM, Cho H, Lee DH, et al.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2.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5;47(2):127-141. http://dx.doi.org/10.4143/crt.2015.060 

  2. Schelenz S, Giles D, Abdallah S. Epidemiology, management and economic impact of febrile neutropenia in oncology patients receiving routine care at a regional UK cancer centre. Annals of Oncology. 2012;23(7):1889-1893. http://dx.doi.org/10.1093/annonc/mdr520 

  3. Lee YR, Kwo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and barriers among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7;7(2):150-161. 

  4. Waugh CE, Fredrickson BL, Taylor SF. Adapting to life's slings and arrows: Individual differences in resilience when recovering from an anticipated threat.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008;42(4):1031-1046. http://dx.doi.org/10.1016/j.jrp.2008.02.005 

  5. Nizamli F, Anoosheh M, Mohammadi E. Experiences of Syrian women with breast cancer regarding chemotherapy: A qualitative study. Nursing & Health Sciences. 2011;13(4):481-487.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1.00644.x 

  6. Kwak SY, Byeon YS.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of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1):95-104.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95 

  7. Choi KS, Park JA, Lee J. The effect of symptom experience and resilience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s.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1):61-68. http://dx.doi.org/10.5388/aon.2012.12.1.61 

  8. Strauss B, Brix C, Fischer S, Leppert K, Fuller J, Roehrig B, et al. The influence of resilience on fatigue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RT). Journal of Cancer Research and Clinical Oncology. 2007;133(8):511-518. http://dx.doi.org/10.1007/s00432-007-0195-z 

  9. Li Y, Cao F, Cao D, Wang Q, Cui N. Predi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among parents of children undergoing inpatient corrective surgery for congenital disease. Journal of Pediatric Surgery. 2012;47(11):2011-2021. http://dx.doi.org/10.1016/j.jpedsurg.2012.07.005 

  10. Lee EK.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ancer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7;13(1):52-58. 

  11. Ho SM, Ho JW, Bonanno GA, Chu AT, Chan EM. Hopefulness predicts resilience after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genetic testing: A prospective outcome trajectories study. BMC Cancer. 2010;10:279. http://dx.doi.org/10.1186/1471-2407-10-279 

  12. Burton NW, Pakenham KI, Brown WJ.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psychosocial resilience training for heart health, and the added value of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 cluster randomized trial of the READY program. BMC Public Health. 2009;9:427. http://dx.doi.org/10.1186/1471-2458-9-427 

  13. Perfect MM, Jaramillo E. Relations between resiliency, diabetes-related quality of life, and disease markers to school-related outcomes in adolescents with diabete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012;27(1):29-40. http://dx.doi.org/10.1037/a0027984 

  14. Lee EK, Ryu EJ, Kim KH. Structual equation modeling on adjustment of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11;11(2):101-107. http://dx.doi.org/10.5388/jkon.2011.11.2.101 

  15. Haase JE. The adolescent resilience model as a guide to interventions.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2004;21(5):289-299. http://dx.doi.org/10.1177/1043454204267922 

  16. Popoola AO, Adewuya AO.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disorders in out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 Lagos, Nigeria. Psycho-Oncology. 2012;21(6):675-679. http://dx.doi.org/10.1002/pon.1968 

  17. Bellury L, Pett MA, Ellington L, Beck SL, Clark JC, Stein KD. The effect of aging and cancer on the symptom experience and physical function of elderly breast cancer survivors. Cancer. 2012;118(24):6171-6178. http://dx.doi.org/10.1002/cncr.27656 

  18. DiSipio T, Hayes S, Newman B, Janda M. What determines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regional and rural breast cancer survivor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ublic Health. 2009;33(6):534-539. http://dx.doi.org/10.1111/j.1753-6405.2009.00449.x 

  19. Zhang J, Gao W, Wang P, Wu ZH. Relationships among hope,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for breast cancer patients. Chinese Medical Journal. 2010;123(17):2331-2335. 

  20. Hoelter JW.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Goodness-of-fit indices.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1983;11(3):325-344. http://dx.doi.org/10.1177/0049124183011003003 

  21. Distefano M, Riccardi S, Capelli G, Costantini B, Petrillo M, Ricci C, et al.,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locally advanced cervical cancer patients administered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Gynecologic Oncology. 2008;111(1):144-150. http://dx.doi.org/10.1016/j.ygyno.2008.06.034 

  22.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23. Hahn HM, Yum TH, Shin YW, Kim KH, Yoon DJ, Chung KJ.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86;25(3):487-500. 

  24. Fu MR, McDaniel RW, Rhodes VA. Measuring symptom occurrence and symptom distress: Development of the symptom experience index.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59(6):623-634.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335.x 

  25. Chen G, Gully SM, Eden D.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2001;4(1):62-83. http://dx.doi.org/10.1177/109442810141004 

  26. Miller JF, Powers MJ.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hope. Nursing Research. 1988;37(1):6-10. 

  27. Campbell-Sills L, Stein MB. Psychometric analysis and refinement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Validation of a 10-item measure of resilience.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07;20(6):1019-1028. http://dx.doi.org/10.1002/jts.20271 

  2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reventing infections in cancer patients [Internet]. Atlanta, GA: Author; 2012 [cited 2013 October 28]. Available from: http://www.cdc.gov/cancer/preventinfections/. 

  29. Hair JF, Black WC, Babin BJ, Anderson RE.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10. 

  30. Rud OP. Data mining cookbook: Modeling data for marketing, risk,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Inc;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