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현병 환자의 내재화된 낙인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ognitive-behavioral Therapy Based Program in Reducing Internalized Stigma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3, 2016년, pp.349 - 363  

김미영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  전성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internalized stigma reducing program based o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appropriate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mixed method research. Qualitative study, 13 patients with schizoph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 환자의 내재화된 낙인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조현병 환자의 내재화된 낙인, 자아존중감, 정신건강 회복,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1. 인지행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은 시간경과에 따른 내재화된 낙인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인지행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은 시간경과에 따른 자아존중감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인지행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은 시간경과에 따른 정신건강 회복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4. 인지행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은 시간경과에 따른 주관적 삶의 질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현병 환자의 내재화된 낙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인지 프로그램의 효과는 무엇인가? 이러한 인지 프로그램으로 정신과적 증상 관리에 정신교육 방법을 혼합한 교육 프로그램[5,6], 내러티브와 인지치료를 혼합한 중재 프로그램[7], 증상 중재와 문제해결을 혼합한 교육 프로그램[8] 등이 시도되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자존감증진에는 대부분 효과가 있었으나[5,6] 내재화된 낙인에는 한 편에서만 효과가 있었다[7]. 또한 자존감에 영향을 주는 주요요소인 역량을 증진시키는 자존감 증진 프로그램[9],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8,10] 등이 시도되었으나, 역량강화에는 일관되게 효과가 있었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내재화된 낙인의 감소 효과를 보이지 못하였다[10].
내재화된 낙인이란 무엇인가? 일반인은 사회 통념에 의한 정신장애인에 대한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정신장애인을 평가절하하고, 그러한 사회 분위기에 의해 정신장애인은 사회관계에서 회피와 위축된 행동을 나타내게 되며 자신의 소극적인 모습과 부정적인 역할을 내재화한다[2]. 이처럼 정신질환자가 스스로에 대해서 부정적이며 가치절하로 형성한 낙인을 내면화하고 있는 것을 내재화된 낙인이라 한다[3]. 조현병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차별을 재경험하고, 사회적 고정 관념들이 내면화되어 자신을 불신함으로써 내재화된 낙인은 더욱 강화된다[3,4].
내재화된 낙인은 어떤 정서를 동반하게 되는가? 내재화된 낙인은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언어 문화적으로 학습되고[3], 사회적 낙인으로부터 고착화된 내재화된 낙인은 자신의 가치를 절하하고 자존감 저하, 불안 등의 부정적인 정서를 동반한다[4]. 조현병 환자의 내재화된 낙인과 정서는 대처자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4], 부정적인 대처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대처자원을 일상생활에서 적용하고 적응적으로 해결해 나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im SW, Yoon JS, Lee MS, Lee HY. The analysis of newspaper-articles on psychosi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0;39(5):838-848. 

  2. Crisp AH, Gelder MG, Rix S, Meltzer HI, Rowlands OJ. Stigmatisatio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0;177:4-7. http://dx.doi.org/10.1192/bjp.177.1.4 

  3. Corrigan PW, Watson AC. The paradox of self-stigma and mental illness. Clinical Psychology. 2002;9(1):35-53. http://dx.doi.org/10.1093/clipsy.9.1.35 

  4. Rusch N, Corrigan PW, Wassel A, Michaels P, Olschewski M, Wilkniss S, et al. A stress-coping model of mental illness stigma: I. Predictors of cognitive stress appraisal. Schizophrenia Research. 2009;110(1-3):59-64. http://dx.doi.org/10.1016/j.schres.2009.01.006 

  5. Fung KM, Tsang HW, Cheung WM.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self-stigma reduction program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Psychiatry Research. 2011;189(2):208-214. http://dx.doi.org/10.1016/j.psychres.2011.02.013 

  6. Knight MTD, Wykes T, Hayward P. Group treatment of perceived stigma and self-esteem in schizophrenia: A waiting list trial of efficacy. Behaviou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2006;34(3):305-318. http://dx.doi.org/10.1017/S1352465805002705 

  7. Yanos PT, Roe D, West ML, Smith SM, Lysaker PH. Group-based treatment for internalized stigma among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Finding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sychological Services. 2012;9(3):248-258. http://dx.doi.org/10.1037/a0028048 

  8. WHO Collaborating Center fo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and Community Mental Health. Patient empowerment programme for schizophrenia. 3rd ed. Yongin: Yongin Mental Hospital WHO Collaborating Center fo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and Community Mental Health; 2012. p. 136. 

  9. Lee WK, Hwang TY. Efficacy of a group treatment, self-stigma overcome programs for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10;49(5):444-452. 

  10. Ko KH, Yang SH, Kim YA, Kwon MS, Bang SH, Lee JM, et al. The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for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on their empowerment and internalized stigm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8;17(4):491-499. 

  11. Brohan E, Elgie R, Sartorius N, Thornicroft G. Self-stigma, empowerment and perceived discrimination among people with schizophrenia in 14 European countries: The GAMIAN-Europe study. Schizophrenia Research. 2010;122(1-3):232-238. http://dx.doi.org/10.1016/j.schres.2010.02.1065 

  12. Dickerson FB, Tenhula WN, Green-Paden LD. The token economy for schizophreni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Schizophrenia Research. 2005;75(2-3):405-416. http://dx.doi.org/10.1016/j.schres.2004.08.026 

  13. Kurtz MM, Mueser KT. A meta-analysis of controlled research on social skills training for schizophrenia.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008;76(3):491-504. http://dx.doi.org/10.1037/0022-006x.76.3.491 

  14. Fotoukian Z, Shahboulaghi FM, Khoshknab MF, Mohammadi E. Concept analysis of empowerment in old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using a hybrid model. Asian Nursing Research. 2014;8(2):118-127. http://dx.doi.org/10.1016/j.anr.2014.04.002 

  15. Park BS, Bae SW. Development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assessment and outcome scale: Focusing o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model.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3;41(1):114-142. 

  16. Endicott J, Spitzer RL, Fleiss JL, Cohen J. The global assessment scale. A procedure for measuring overall severity of psychiatric disturbanc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976;33(6):766-771. 

  17. Yi JS, Chung MH, Lee BW, Lee SI.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global assessment of functioning scale. Schizophrenia Clinics. 2003;6(2):118-124. 

  18. Kay SR, Fiszbein A, Opler LA.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for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etin. 1987;13(2):261-276. 

  19. Yi JS, Ahn YM, Shin HK, An SK, Joo YH, Kim SH, et al. Reliabi-l 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1;40(6):1090-1105. 

  20. Ritsher JB, Phelan JC. Internalized stigma predicts erosion of morale among psychiatric outpatients. Psychiatry Research. 2004;129(3):257-265. http://dx.doi.org/10.1016/j.psychres.2004.08.003 

  21. Hwang TY, Lee WK, Han ES, Kwon EJ.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nternalized stigma of mental illness scale (K-ISMI).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6;45(5):418-426. 

  22.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p. 347. 

  23. J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974;11:107-130. 

  24. Bullock WA. The mental health recovery measure. In: Campbell-Orde T, Garrett E, Leff S, editors. Measuring the promise of recovery: A compendium of recovery and recovery related instruments, Part II. Cambridge, MA: The Evaluation Center@HSRI; 2005. p. 36-41. 

  25. Song GO.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ntal health recovery measure.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0;34(4):154-188. 

  26. Min SK, Lee CI, Kim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0;39(3):571-579. 

  27. Giorgi A.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1997;28(2):235-260. http://dx.doi.org/10.1163/156916297X00103 

  28. Lucksted A, Drapalski A, Calmes C, Forbes C, DeForge B, Boyd J. Ending self-stigma: Polit evaluation of a new intervention to reduce internalized stigma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2011;35(1):51-54. http://dx.doi.org/10.2975/35.1.2011.51.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