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증진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심리사회적·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on Psycho-social and Physical Health of Chronic Schizophreni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9 no.3, 2017년, pp.158 - 169  

추현심 (한림성심대학교 간호학과) ,  김주현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ratitude disposition, subjective happiness, stress index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Methods: The research was designed for a nonequivalent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일반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정신질환자는 집단 활동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들을 정리하고 표현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으며[13] 조현병 환자가 만성적인 질병과정을 통해 경험하는 부적응적 증상과 정서를 극복하는데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긍정적 정서인 감사를 활용하여 조현병 환자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긍정정서인 감사를 활용한 감사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여러 연구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다[3,7-9]고 보고 된 변수 중 자존감, 대인관계, 감사성향, 주관적 행복감 등과 같은 심리사회적 효과와 스트레스 지수와 자율신경계 반응과 같은 신체적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만성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할 간호 중재방안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제1가설: 감사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자존감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2가설: 감사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대인관계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3가설: 감사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감사성향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4가설: 감사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주관적 행복감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5가설: 감사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자율신경계반응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사는 무엇인가? 정신건강 분야 역시 탈원화 정책과 정신건강증진의 개념에 초점을 두어 정신질환자의 치료의 목표가 주관적인 행복이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전환하고 있다[2]. 감사(gratitude)는 다른 사람이나 자연으로부터 받은 혜택이나 축복을 인식하고 고마움으로 반응하는 마음상태로[3] 행복과 밀접하게 연관성이 있는 강점으로 알려져 있다[4]. 감사(gratitude)가 긍정적인 정서로 반응하는 행동경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정서적 특성의 차원으로 개념화한 것이 바로 감사성향이다.
감사성향은 무엇인가? 감사(gratitude)가 긍정적인 정서로 반응하는 행동경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정서적 특성의 차원으로 개념화한 것이 바로 감사성향이다. 감사성향은 현재의 사건이나 경험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받은 것에 대한 상황 및 베푼 사람의 선의를 알아차리고 긍정적인 정서로 반응하는 일반화된 경향성으로[5] 감사성향이 높은 사람은 삶의 만족도, 주관적 안녕, 행복감 등 긍정적 정서의 수준이 높고 공격성, 우울, 자살사고,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정서를 덜 경험한다[6]. 이는 감사성향을 높이는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감사성향을 높이는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서 확인된 효과는 무엇인가? 이는 감사성향을 높이는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불안 및 우울은 감소시키고 행복과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효과와 수면상태의 양과 질, 면역기능, 부교감신경계 활동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혈압은 낮아지는 신체적인 효과가 있으며[7] 1개월 후까지 효과가 유지되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wang JW, You SH.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happines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013;20(2):191-222. 

  2. Kim JY, Park HS. Predi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for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1):479-492. 

  3. Emmons RA, McCullough ME.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3;84:377-389. http://dx.doi.org/10.1037/0022-3514.84.2.377 

  4. Kwon SM. Positive psychology. Seoul: Hokjisa; 2012. p. 326-330. 

  5. McCullough E, Emmons RA. & Tsang JA.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Journal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2; 82(1):112-127. http://dx.doi.org/10.1037//0022-3514.82.1.112 

  6. Yang JH. The effects of thanks journal writing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ratitude, self-esteem, and happiness. Korean Journal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3;33(2):259-280. 

  7. Jackowska M, Brown J, Ronaldson A, Steptoe A. The impact of a brief gratitude intervention on subjective well-being, biology and sleep.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6;21(10):2207-2217. http://dx.doi.org./10.1177/1359105315572455 

  8. McCraty R, Atkinson M, Tiler WA, Rein G, Watkins AD. The effects of emotions on short-term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1995;76(14):1089-1093. 

  9. Jung MR.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promotion program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in community.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2010. p. 1-109. 

  10. Son MA, Lee YM, Jung KA. The effect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for chronic psychiatric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4;16(2):105-112. http://dx.doi.org/10.7586/jkbns.2014.16.2.105 

  11. Kwak EY, Choi DJ, Kim SJ, Choi EJ, Yeom EK, Kim JY, et al. The effects of anger management programs on anger expression in psychiatric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4;22(3):159-167. 

  12. Jo GH. The effects of integrative self-esteem program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9;18(4):439-448. 

  13. Kang MJ. The effects of enneagram program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GAF in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5;24(2):116-126. https://doi.org/10.12934/jkpmhn.2015.24.2.116 

  1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5th ed. Kwon JS, Kim JJ, Namkoong K, Bark WM, Shin MS, Yu BH, et al translators. Seoul, Haksisa;2015. p. 93-130. 

  15. Yoon BS. Effects of the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gratitude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ster's thesis].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2. p. 1-148. 

  16. Yun HJ, Cho BH. The effects of a cognitive behavioral gratitude program on gratitude disposition and happine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2011;10(1):1-17. 

  17.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18.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1965. p. 16-36. 

  19. Jeon SG.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rehabilitation of the schizophrenic patients.[dissertation]. Seoul: Soongsil University;1995. p. 1-178. 

  20. Kwon SJ. Kim KH, Lee HS.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gratitude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6;11(1):77-190. 

  21. Suh EK, Koo JS.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OSWB):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011;25(1): 96-114. 

  22. Moon EJ. The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group gratitude counseling program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5; 16(4):111-129. 

  23. Oh KO, Gang MH, Sung EK. The effect of the Tai Chi exercise on the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persons with schizophren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2009;18(2): 167-174. 

  24. Kim JS, Lim YM. The effects of a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on self-esteem,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mmunity dwelling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0;19(4):420-428. https://doi.org/10.12934/jkpmhn.2010.19.4.420 

  25. Kim HK, Sim HO, Moon SN, Lee JM. The effects of a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on gratitude disposition, happiness and life adjustment of cadets at the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014;32(2): 69-81. 

  26. Lee HS. Korean clinical neuropsycho phamacology. ML Communication Co. Ltd. Seoul, Korea, 2007. p. 253-262. 

  27. Henry BL, Minassian A, Paulus MP, Geyer MA, Perry W. Heart rate variability in bipolar mania and schizophrenia.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2010;44(3): 168-176. http://dx.doi.org/10.1016/j.jpsychires.2009.07.011 

  28. Chon KH, Oh JY, Park SH, Jeong YM, Yang DL. A study on algorithm of emotion analysis using EEG and HRV.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010;15(10):105-112. 

  29. Kim JL, Lee JS. Effects of clinical training on stress, anxiety and changes in autonomic nervous system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1;13(2):102-108. 

  30. Montaquila JM, Trachik BJ, Bedwell JS. Heart rate variability and vagal tone in schizophrenia: A review.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2015;69:57-66. http://dx.doi.org/10.1016/j.jpsychires.2015.07.0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