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치적자궁절제술을 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의 배뇨장애 빈도, 강도 및 일상생활 불편감
Frequency, Intensity and Daily Life Distress of Urinary Dysfunction in Women with Cervical Cancer after Radical Hysterectom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3, 2016년, pp.400 - 408  

전나미 (성신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노기옥 (성신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송현주 (삼성서울병원 간호부) ,  김상희 (삼성서울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frequency, intensity of urinary dysfunction and daily life distress in women after a radical hysterectomy for cervical cancer. Methods: One hundred and fifty seven women who had undergone a radical hysterectomy and one hundred and sixty five women as health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자궁경부암 여성이 근치적자궁절제술 후 장기간 동안 지속되는 배뇨장애 유형별 빈도, 강도 및 이에 수반되는 일상생활 불편감 정도를 알아보고, 이를 일반여성과 비교함으로써 자궁경부암 여성의 수술 후 배뇨장애 실태 및 심각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궁경부암 여성의 배뇨장애에 대한 의료진의 관심을 고취시키고, 근치적자궁절제술을 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의 단기 및 장기적인 배뇨장애로 인한 일상생활 불편감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신체적, 심리사회적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자궁경부암 여성의 근치적자궁절제술 후 배뇨장애 유형에 따른 빈도, 강도 및 이에 수반되는 일상생활 불편감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자궁경부암 여성이 근치적자궁절제술 후 장기간 동안 지속되는 배뇨장애 유형별 빈도, 강도 및 이에 수반되는 일상생활 불편감 정도를 알아보고, 이를 일반여성과 비교함으로써 자궁경부암 여성의 수술 후 배뇨장애 실태 및 심각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궁경부암 여성의 배뇨장애에 대한 의료진의 관심을 고취시키고, 근치적자궁절제술을 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의 단기 및 장기적인 배뇨장애로 인한 일상생활 불편감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신체적, 심리사회적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근치적자궁절제술을 시행 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의 배뇨장애 유형별 빈도, 강도 및 배뇨장애로 인한 일상생활 불편감정도를 확인하고, 심각도를 규명하고자 일반여성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근치적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의 배뇨장애 양상에 따른 빈도와 강도 그리고 일상생활 불편감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일반여성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근치적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의 배뇨장애 유형별 빈도, 강도 및 이로 인한 일상생활 불편감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일반여성과 비교함으로써 심각성을 규명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궁경부암은 15세부터 60세 여성의 암 발생 순위 중 몇위인가? 지속적인 국가 암 예방사업에도 불구하고 자궁경부암은 15세부터 60세 여성의 암 발생 순위 3위를 차지하여 가임기 여성의 주요한 암으로 자리잡고 있다[1]. 다행히 자궁경부암 여성의 상대생존율은 최근 5년(2007~2011년) 동안 80.
자궁경부암 여성의 상대생존율은 어느정도인가? 지속적인 국가 암 예방사업에도 불구하고 자궁경부암은 15세부터 60세 여성의 암 발생 순위 3위를 차지하여 가임기 여성의 주요한 암으로 자리잡고 있다[1]. 다행히 자궁경부암 여성의 상대생존율은 최근 5년(2007~2011년) 동안 80.1%로 여성 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 75.2%에 비교할 때 높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다.
근치적자궁절제술의 후유증중 배뇨장애를 겪는 환자는 어떤 증상을 보이는가? 근치적자궁절제술에서 시행되는 광범위한 자궁 및 자궁주변 조직에 대한 절제는 다양한 후유증을 유발하는데, 특히, 자궁을 지지하고 있는 기인대를 절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율신경의 손상으로 배뇨장애, 배변장애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3,4]. 이중 배뇨장애와 관련하여 자궁경부암 수술을 받은 여성은 불충분한 배뇨(13.4%), 절박뇨(11.2%), 야뇨(11.2%) 등의 증상을 겪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5]. 또한 초기 자궁경부암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6]에서는 근치적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대상자의 16%가 잔뇨 증상, 배뇨 시작 시 곤란을 겪고 특히, 배뇨 시작 시의 곤란은 동일 연령대 일반여성에 비해 상대위험도(Relative Risk)가 21이 넘는 심각한 증상임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1.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2. Berek JS. Berek and Novak's gynecology. 15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11. p. 1304-1345. 

  3. Kashima K, Yahata T, Fujita K, Tanaka K. Analysis of the complications after radical hysterectomy for stage IB, IIA and IIB uterine cervical cancer patients. The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Research. 2010;36(3):555-559. http://dx.doi.org/10.1111/j.1447-0756.2010.01174.x 

  4. Likic IS, Kadija S, Ladjevic NG, Stefanovic A, Jeremic K, Petkovic S, et al. Analysis of urologic complications after radical hysterectom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8;199(6):644.e1-644.e3. http://dx.doi.org/10.1016/j.ajog.2008.06.034 

  5. Charoenkwan K, Pranpanas S.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late postoperative voiding dysfunction in early-stage cervic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radical hysterectomy.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2007;8(3):387-389. 

  6. Bergmark K, Avall-Lundqvist E, Dickman PW, Henningsohn L, Steineck G. Lymphedema and bladder-emptying difficulties after radical hysterectomy for early cervical cancer and among population controls.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ical Cancer. 2006;16(3):1130-1139. http://dx.doi.org/10.1111/j.1525-1438.2006.00601.x 

  7. Todo Y, Kuwabara M, Watari H, Ebina Y, Takeda M, Kudo M, et al. Urodynamic study on postsurgical bladder function in cervical cancer treated with systematic nerve-sparing radical hysterectomy.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ical Cancer. 2006;16(1):369-375. http://dx.doi.org/10.1111/j.1525-1438.2006.00345.x 

  8. Hwang JH. Urologic complication in laparoscopic radical hysterectomy: Meta-analysis of 20 studies. European Journal of Cancer. 2012;48(17):3177-3185. http://dx.doi.org/10.1016/j.ejca.2012.06.006 

  9. Chuang FC, Kuo HC. Management of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after radical hysterectomy with or without radiotherapy for uterine cervical cancer.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2009;108(8):619-626. http://dx.doi.org/10.1016/S0929-6646(09)60382-X 

  10. Behtash N, Ghaemmaghami F, Ayatollahi H, Khaledi H, Hanjani P. A case-control study to evaluate urinary tract complications in radical hysterectomy. World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2005;3(1):12. http://dx.doi.org/10.1186/1477-7819-3-12 

  11. Manchana T, Prasartsakulchai C, Santingamkun A. Long-term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after radical hysterectomy in patients with early postoperative voiding dysfunction.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2010;21(1):95-101. http://dx.doi.org/10.1007/s00192-009-0996-5 

  12. Laterza RM, Sievert KD, de Ridder D, Vierhout ME, Haab F, Cardozo L, et al. Bladder function after radical hysterectomy for cervical cancer. Neurourology and Urodynamics. 2015;34(4):309-315. http://dx.doi.org/10.1002/nau.22570 

  13. Song HJ. Effect of a bladder training program using internet self catheterization on voiding dysfunction of patients who have received a radical abdominal hysterectomy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1999. p. 1-54. 

  14.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5. Korean Continence Society. Textbook of female urology and urogynecology. 2nd ed. Seoul: Ilchokak; 2009. p. 101-132. 

  16. Kim SH. The association between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6):932-940. 

  17. Suh DH, Cho HY, Kim K, No JH, Kim YB. Matched-case comparisons in a single institution to determine critical points for inexperienced surgeons' successful performances of laparoscopic radical hysterectomy versus abdominal radical hysterectomy in stage IA2-IIA cervical cancer. PLoS One. 2015;10(6):e0131170.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31170 

  18. Lee EJ, Kang H, Kim DH. A comparative study of laparoscopic radical hysterectomy with radical abdominal hysterectomy for early-stage cervical cancer: A long-term follow-up study.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2011;156(1):83-86. http://dx.doi.org/10.1016/j.ejogrb.2010.12.016 

  19. Park JY, Kim DY, Kim JH, Kim YM, Kim YT, Nam JH. Laparoscopic versus open radical hysterectomy for elderly patients with early-stage cervical cancer.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2;207(3):195.e1-195.e8. http://dx.doi.org/10.1016/j.ajog.2012.06.081 

  20. Rob L, Halaska M, Robova H. Nerve-sparing and individually tailored surgery for cervical cancer. The Lancet Oncology. 2010;11(3):292-301. http://dx.doi.org/10.1016/s1470-2045(09)70191-3 

  21. Tseng CJ, Shen HP, Lin YH, Lee CY, Wei-Cheng Chiu W. A prospective study of nerve-sparing radical hysterectomy for uterine cervical carcinoma in Taiwan. Taiwanese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12;51(1):55-59. http://dx.doi.org/10.1016/j.tjog.2012.01.011 

  22. Gil-Ibanez B, Diaz-Feijoo B, Perez-Benavente A, Puig-Puig O, Franco-Camps S, Centeno C, et al. Nerve sparing technique in robotic-assisted radical hysterectomy: Resul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Robotics+Computer Assisted Surgery 2013;9(3):339-344. http://dx.doi.org/10.1002/rcs.1480 

  23. Maneschi F. Urodynamic study of bladder function following nerve sparing radical hysterectomy.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2014;25(3):159-161. http://dx.doi.org/10.3802/jgo.2014.25.3.159 

  24. Heo KO. A study of women's life-distress by voiding dysfunction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09. p. 1-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