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수계 본류와 유입지천의 대장균군 오염도
Coliform Pollution Status of Nakdong River and Tributaries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2 no.3, 2016년, pp.271 - 280  

이혜진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박혜경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이재학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박아름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천세억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bacterial pollution leve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acterial pollutants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at the main stream and tributaries of Nakdong River. Water quality data including total coliform and fecal coliform were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낙동강 본류와 주요 유입지천을 대상으로 총대장균군과 분원성대장균군의 오염도 현황을 분석하고 대장균 오염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상수원수 및 친수용수로 활용되는 지표수 수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낙동강 본류와 유입지천을 대상으로 총대장균군과 분원성대장균군의 오염도 현황을 분석하고, 수계 내 대장균군 오염도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분원성대장균군 농도를 기준으로 본류와 지류에서 오염도가 높은 지점을 선별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eck, Y. S. and Sohn, J. S. (2006). Studies on the Effect of Water Quality Parameters on Total Coliform Concentration in Sewage Efflu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2(1), pp. 166-171. [Korean Literature] 

  2. Bergstein, T. and Stone, L. (1991). The Distribution of Fecal Pollution Indicator Bacteria in Lake Kinneret, Water Research, 25(3), pp. 266-270. 

  3. Boxter-Potter, W. R. and Gilliland, M. W. (1988). Bacterial Pollution in Runoff from Agricultural land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17, pp. 27-34. 

  4. Ferguson, C. M., Goote, B. G., Ashbolt, N. J., and Stevenson, I. M. (1996). Relationships Between Indicators, Pathogens and Water Quality in an Estuarine System, Water Research, 30(9), pp. 2045-2054. 

  5. Gannon, J. J., Busse, M. K., and Schillinger, J. E. (1983). Fecal Coliform Disappearance in a River Impoundment, Water Research, 17(11), pp. 1595-1601. 

  6. Grabill, C., Donald, R., Snelling, J., Foust, R., and Southam, G. (1999). The Impact of Sediment Fecal Coliform Reservoirs of Seasonal Water Quality in Oak Creek, Arizona, Water Research, 33(9), pp. 2163-2171. 

  7. Jang, H. J. and Lee, Y. W. (2003). A Study of Investigation of Fecal Contamination Indicator Bacteria for Management of Source Water Qual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29(1), pp. 19-27. [Korean Literature] 

  8. Kim, K. H. and Yur, J. H. (2004). Effect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on the Concentration of Pathogen Indicator Organism in the Geum River Basin,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8(2), pp. 181-187. 

  9. Korea Meteological Adminstration (KMA). (2015). Whether Information, http://www.kma.go.kr/whether/observation.currentweather.jsp (accessed Dec. 2015). 

  10. Lee, J. H., Lee, H. J., Park, A. R., and Park, H. K. (2015) Coliform Pollution Status of Tributaries in Nakdong River System, Proceedings of the 2015 Co-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pp. 505-506. [Korean Literature] 

  11. Lee, Y. O., Cho, J. L., Kim, S. H., Kim, S. D., Heo, S. N., and Lee, H. J. (2006). Comparative studies on detecting methods for fecal indicators, Proceedings of the 2006 Spring Co-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pp. 414-419. [Korean Literature] 

  12. Macdanielas, A. E., Bordner, R. H., Gartside, P. S., Haines, J. R., Conner, K. P., and Rankin, C. C. (1985). Holding Effects on Coliform Enumaration in Drinking Water Sample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50, pp. 755-762. 

  13. Mallin, M. A., Ensign, S. H., Mciver, M. R., Shank, G. C., and Fowler, P. K. (2001). Demographic, Landscape, and Meteological Factors Controlling the Microbial Pollution of Coastal Waters, Hydrobiologia, 460, pp. 185-193. 

  14.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5).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EIS), http://water.nier.go.kr/waterMeasurement/selectWater.do (accessed Aug. 2015).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1). The Application of Coliforms as a Fresh Water Quality Standard, NIER No. 2001-24-61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69-71. [Korean Literature] 

  16. Park, A. R., Lee, H. J., Lee, J. H., and Park, H. K. (2015). Total and Fecal Coliform Pollution changes in Nakdong River, Proceedings of the 2015 Co-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pp. 479-480. [Korean Literature] 

  17. Park, H. K., Shin, K. D., Kim, J. Y., and Kong, D. S. (2009). Distribution of Coliform and Fecal Coliform Bacteria in Lake Paldang, Proceedings of the 2009 Spring Co-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pp. 661-662. [Korean Literature] 

  18. Park, J. E., Kim, S. D., Cho, J. L., Kim, S. H., Lee, H. J., and Lee, Y. O. (2006). Comparative Studies on Detecting Methods of Fecal Indicators (Coliforms) in Surface 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2(6), pp. 1052-1059.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