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사고 데이터와 GIS를 이용한 보행자사고 개선구역 선정 : 서울시를 대상으로
A Selection of High Pedestrian Accident Zones Using Traffic Accident Data and GIS: A Case Study of Seoul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4 no.3, 2016년, pp.221 - 230  

양종현 (Dep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  김정옥 (Institute of Constructio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  유기윤 (Dept. of Civil & Environment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사고 개선구역 선정을 위한 객관적 기준 마련을 위해 서울시의 2009년~2013년 보행자사고 54,208건에 대해서 Getis-ord Gi*와 커널 밀도를 결합하여 보행자사고 개선구역을 선정하였다. Getis-ord Gi*를 통해 보행자사고 발생 지점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여 보행자사고 핫스팟이 군집된 보행자사고 개선구역을 선정할 수 있었고 값을 통해 선정된 구역 간의 우선순위를 판별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보행자사고 개선구역 내부에 대해 커널밀도추정을 시행함으로써 사고 발생 지점의 미시적인 분포를 파악하고 사고 발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핫스팟을 식별할 수 있었다. 또한, 핫스팟에서 높은 밀도 레벨을 가지는 부분을 확인함으로써 핫스팟 내부를 분석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stablish objective criteria for high pedestrian accident zones, we combined Getis-ord Gi* and Kernel Density Estimation to select high pedestrian accident zones for 54,208 pedestrian accidents in Seoul from 2009 to 2013. By applying Getis-ord Gi* and considering spatial patterns where pedestri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KDE와 Getis-ord Gi*를 결합하여 보행자사고 개선이 필요한 구역(이하 보행자사고 개선구역)을 선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보행자사고 개선구역을 선정하고 개선구역 내 사고의 미시적인 공간 분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흐름은 Fig.

가설 설정

  • KDE에서 거리는 유클리디언 거리 또는 네트워크 거리로 계산할 수 있다. 네트워크 거리는 도로를 1D로 가정하며, 유클리디언 거리는 도로를 2D로 가정한다(Xie and Yan, 2008). 도로를 선으로 가정할 수 있을 정도로 거시적으로 분석할 때에는 네트워크 거리가 적합하다.
  • 이것은 Tobler(1970)의 지리학 제 1법칙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며, 고정 거리 내에 있는 모든 피처가 같은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므로 비현실적이다. 따라서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인접한 보행자사고가 미치는 영향이 감소한다고 가정하여 CSR로 역거리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derson, T.K. (2009),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k-means clustering to profile road accident hotspot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41, No. 3, pp. 359-364. 

  2. Bailey, T.C. and Gatrell, A.C. (1995), Interactive Spatial Data Analysis, Longman, Essex, UK. 

  3. Blazquez, C.A. and Celis, M.S. (2013), A spatial and temporal analysis of child pedestrian crashes in Santiago, Chil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50, pp. 304-311. 

  4. Flahaut, B., Mouchart, M., Martin, E.S., and Thomas, I. (2003), The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and the kernel method for identifying black zon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5, No. 6, pp. 991-1004. 

  5. Jang, M., Jang, J., Joo, S., and So, K. (2012), Evaluations of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and its performance,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Vol. 9, No. 2, pp. 77-85. (in Korean) 

  6. Jang, K., Park. S.H., Kang, S., Song, K.H., Kang, S., and Chung, S. (2013), Evaluation of pedestrian safety: pedestrian crash hot spots and risk factors for injury severit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2393, pp. 104-116. 

  7. Jo, J., Park, W., and Kim, M.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raffic safety forecast index based on weather informations,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Vol 11, No. 2, pp. 62-71. (in Korean) 

  8. Khan, G., Qin, X., and Noyce, D. (2008), Spatial analysis of weather crash pattern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34, No. 5, pp. 191-202. 

  9. Kingham, S., Sabel, C.E., and Bartie, P. (2011), The impact of the school run on road traffic accidents: a spatio-temporal analysi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19, No. 4, pp. 705-711. 

  10. Kuo, P., Zeng, X., and Lord, D. (2011), Guidelines for choosing hot-spot analysis tools based on data characteristics, network restrictions, and time distributions, Proceedings of the 91st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2-26 January, Washington, D.C., USA. pp. 1-21. 

  11. Loo, B.P.Y., Yao, S., and Wu, J. (2011), Spatial point analysis of road crashes in shanghai: a GIS-based network kernel density method, Proceedings of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informatics, IEEE, 24-26 June, Shanghai, China, pp. 1-6. 

  12. Manepalli, U.R.R., Bham, H.G., and Kandada, S. (2011), Evaluation of hotspots identification using kernel density estimation (K) and Getis-ord (Gi*) on I-630,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ad Safety and Simul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4-16 September, Indianapolis, USA, pp.1-17. 

  13. O'Sullivan, D. and Unwin, D.J. (2002), Geographic Information Analysis,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J. 

  14. Park, J. and Han, M. (2014),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walking environment projects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accidents by local government typ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2, No. 6, pp. 615-6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lug, C., Xia, J., and Caulfield, C. (2011), Spatial and temporal visualisation techniques for crash analysi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43, No. 6, pp. 1937-1946. 

  16. Prasannakumar, V., Vijith, H., Charutha, R., and Geetha, N. (2011), Spatio-temporal clustering of road accidents: GIS based analysis and assessment,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 21, pp. 317-325. 

  17. Pulugurtha, S.S., Krishnakumar, V.K., and Nambisan, S.S. (2007), New methods to identify and rank high pedestrian crash zon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9, No. 4, pp. 800-811. 

  18. Rankavat, S. and Tiwari, G. (2013), Pedestrian accident analysis in Delhi using GIS, Journal of the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Vol. 10, pp. 1446-1457. 

  19. Schabenberger, O. and Gotway, C.A. (2005), Statistical Methods for Spatial Data Analysis, Chapman & Hall/CRC, Boca Raton, Florida. 

  20. Silverman, B.W. (1986), Probability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Chapman and Hall, New York, N.Y. 

  21. Tobler, W.R. (1970),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Economic Geography, Vol. 46, pp. 234-240. 

  22. Truong, L.T. and Somenahalli, S.V.C. (2011), Using GIS to identify pedestrian-vehicle crash hot spots and unsafe bus stops, Journal of Public Transportation, Vol. 14, No. 1, pp. 99-114. 

  23. Vemulapalli, S.S. (2015), GIS-Based Spatial and Temporal Analysis of Aging-Involved Crashes in Florida, Master's thesis, Florida State University, Florida, USA, 126p. 

  24. Xie, Z. and Yan, J. (2008), Kernel density estimation of traffic accidents in a network space,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32, No. 5, pp. 396-406.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