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 발생한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특성
Neighborhoo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ffecting Pedestrian-Vehicle Crashes in School Zon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0, 2019년, pp.179 - 189  

고동원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계획및교통공학과) ,  박승훈 (계명대학교 도시계획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교통 패러다임이 차량 중심에서 보행 중심의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보행자 안전 및 보행환경 개선의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한국의 교통안전 수준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따라서 보행자 안전 및 보행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서 제공하는 2013-2015년 차대사람 교통사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린이 보호구역 주변 근린환경과 보행자 교통사고와의 연관성을 지리정보시스템(GIS)와 공간계량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로요인과 대중교통요인 모두 어린이 보호구역 내 보행자 교통사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토지이용요인의 경우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모두 보행자 교통사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용도혼합도의 경우에는 보행자 교통사고 저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발밀도가 높은 경우에도 어린이 보호구역 내 보행자 교통사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s transportation paradigm is shifting from a vehicle-centered to a pedestrian-oriented society. Therefore, the interest in pedestrian safety and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is also increasing. However, the level of traffic safety in Korea is still severe. It is needed to improve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어린이 보호 구역 주변 보행안전 강화를 위한 어린이 보호구역 전체의 총체적인 실증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부 특정 어린이 보호구역이 아닌 대구시 내 모든 어린이 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특성을 공간계량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어린이 보호구역의 일부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받는 시설 중 일부만이 아닌 어린이 보호구역 전체의 근린환경 특성을 파악하여 어린이 보호구역 주변 보행안전 강화를 위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선정된 변수는 [표 1]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 어린이 교통사고뿐만 아니라 모든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건수를 포함하여 어린이 보호구역 주변의 전반적인 보행안전 강화를 위한 총체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독립변수는 크게 도로요인, 대중교통요인, 토지이용요인, 개발밀도요인 4가지로 나누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보호구역내 안전한 보행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대구시 어린이 보호구역 주변 근린환경과 보행자 교통사고와의 연관성을 실증적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에서 공간계량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택한 이유는?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자기상관성 검증 결과 대구시 어린이 보호구역 내 보행자 교통사고의 공간적 자기상 관성이 나타났기 때문에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제어해줄 수 있는 공간계량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했다. 공간계량모형은 공간시차모형(SLM)과 공간오차모형(SEM)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모형 중 AIC(Akaike Info Criterion) 값과 SC(Schwarz Criterion)값이 더 낮은 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한다.
공간적 자기상관성이란 무엇인가? 그럴 경우에는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공간적 자기상관 성이 발생했을 경우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제어해야 한다. 공간적 자기상관성이란 주변과 완벽히 고립된 공간은 존재하지 않으며, 공간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주변에 있는 것과 연관이 되어 있다. 또한, 가까이 있는 공간일수록 상호 연관성은 높아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멀어질수록 상호 연관성은 낮아지게 된다는 공간의 본질적인 속성을 공간적 자기상관성이라고 한다[23]. 이러한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할 경우 회귀모형의 결과 값이 편향되어 나타날 수 있다[14].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하는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어린이의 보행은 성인이 됐을 때 교통수단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등·하교시 차량이 아닌 보행을 통해 이동함으로써 친구들과 대화 및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사회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4]. 이에 따라 한국은 1995년 ‘도로교통법’을 개정하고 ‘어린이 보호구역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 제정을 통해 어린이 보호구역을 지정 하였으며, 2017년 기준 전국 어린이 보호구역은 총 16,355개소에 이르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이호준, 이수기, "근린의 도로 네트워크 구조와 보행자 교통사고의 연관성 분석," 국토계획, 제52권, 제1호, pp.141-162, 2017. 

  2. http://taas.koroad.or.kr, 2019.02.25. 

  3.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149419&refA, 2019.03.15. 

  4. 성현곤, 오준석, 다 함께 만드는 보행 및 자전거 중심의 안전한 통학로 조성사업 개발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11. 

  5. 정용일, 어린이 보호구역에 대한 소고: 교통사고 감소 및 관리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충북연구원, 2017. 

  6. P. Chen and J. Zhou, "Effects of the built environment on automobile-involved pedestrian crash frequency and risk," Transport & Health, Vol.3, No.4, pp.448-456, 2016. 

  7. 권지혜, 박승훈, "안전한 통학로 환경 조성을 위한 보행자 교통사고와 건조 환경과의 연관성 연구: 공간회귀모형을 활용하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30권, 제5호, pp.75-96, 2018a. 

  8. J. Wang, H. Huang, and Q. Zeng, "The effect of zonal factors in estimating crash risks by transportation modes: Motor vehicle, bicycle and pedestrian,"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97, pp.223-231, 2017. 

  9. J. K. Kim, G. F. Ulfarsson, V. N. Shankar, and F. L. Mannering, "A note on modeling pedestrian-injury severity in motor-vehicle crashes with the mixed logit model,"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42, No.6, pp.1751-1758, 2010. 

  10. S. Narayanamoorthy, R. Paleti, and C. R. Bhat, "On accommodating spatial dependence in bicycle and pedestrian injury counts by severity level," Transportation Research Park B: Methodological, Vol.55, pp.245-264, 2013. 

  11. L. F. Miranda-Moreno, P. Morency, and A. M. El-Geneidy, "The link between built environment, pedestrian activity and pedestrian-vehicle collision occurrence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97, No.5, pp.1624-1634, 2011. 

  12. 서지민, 이수기, "서울시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2014 TAAS 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51권, 제3호, pp.197-216, 2016. 

  13. 박승훈, "근린환경이 보행자-차량 충돌사고에 미치는 영향: 북미 워싱턴 주 시애틀 도시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제49권, 제3호, pp.143-157, 2014a 

  14. 박철영, 이수기, "가로환경 특성이 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가로 세그먼트 분석단위와 공간통계모형의 적용," 도시설계, 제17권, 제3호, pp.105-121, 2016. 

  15. 박유나, 이가인, 조기혁, "압축도시의 물리적 요소가 보행자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공간 단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51권, 제2호, pp.141-159, 2016. 

  16. K. J. Clifton and K. Kreamer-Fults, "An examination of the environmental attributes associated with pedestrian-vehicular crashes near public school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39, No.4, pp.708-715, 2007. 

  17. X. Zhao, "A generic approach for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traffic control devices in school zone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82, pp.134-142, 2015. 

  18. 박승훈, "안전한 통학로 조성을 위한 보행자-차량간 교통사고와 학교주변의 물리적 환경과의 연관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30권, 제8호, pp.181-189, 2014b. 

  19. 박경훈, 변지혜, "초등학교 주변 물리적 환경이 보행안전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50-160, 2012. 

  20. P. Morency, L. Gauvin, C. Plante, M. Fournier, and C. Morency, "Neighborhood social inequalities in road traffic injuries: the influence of traffic volume and road desig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02, No.6, pp.1112-1119, 2012. 

  21. R. J. Schnejder, "Association between Roadway Intersection Characteristics and Pedestrian Crash Risk in Alameda County, Californi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2198, No.1, pp.41-51, 2010. 

  22. 윤준호, 이수기,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 주변 보행자 교통사고 요인 분석: 서울시 TAAS(2014-2016) 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53권, 제4호, pp.123-142, 2018. 

  23. 서만훈, 이재송, 최열, "공간적 자기상관성과 도시특성 요소를 고려한 자연재해 피해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6권, 제4호, pp.723-733, 2016. 

  24. 이세영, 이제승, "어린이.노인 보행자 교통안전을 위한 근린환경요인," 도시설계, 제15권, 제6호, pp.5-15, 2014. 

  25. J. Rajamani, C. R. Bhat, S. Handy, G. Knaap, and Y. Song, "Assessing the impact of urban form measures on nonwork trip mode choice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and level-of-service effect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1831, pp.158-165, 2003. 

  26. G. Lee, Y. Park, J. Kim, and G. H. Cho, "Association between intersection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crash risk among school-aged children,"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97, pp.111-121, 2016. 

  27. 권지혜, 박승훈, "초등학교 주변의 보행자 교통사망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의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53권, 제3호, pp.57-73, 2018b. 

  28. K. J. Clifton, C. V. Burnier, and G. Akar, "Severity of injury resulting from pedestrian-vehicle crashes: What can we learn from examining the built environmen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Vol.14, No.6, pp.425-436,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