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유형별 보행자사고 특성분석 및 보행환경조성사업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Walking Environment Projects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Accidents by Local Government Type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2 no.6, 2014년, pp.615 - 627  

박진경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발전연구실) ,  한명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계층적 K-평균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보행자사고와 토지이용특성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보행자사고의 세부특성을 Mann-Whitney U검증과 Kruskal-Wallis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한 다음 그 결과로부터 보행환경 조성사업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역은 행정시와 행정구를 제외한 기초지방자치단체를 기준으로 230개 시 군 구로 구분된다. 비계층적 K-평균 군집분석 결과 230개 지방자치단체는 유형 1-A(상업지가 상대적으로 우세한 도시형), 유형 1-B(주거지가 우세한 도시형), 유형 2(농촌형)로 분류되었으며, 지자체 유형별 보행자사고 차이 검증결과 9m 미만 생활형 도로의 보행자사고 발생율은 공통적으로 60% 이상으로 도시형에 비해 농촌형에서 발생할 비율이 더 높았다. 또한 유형별로 유형 1-B는 교차로 내 보행자사고 사상자수가 많고 횡단 중 사고 비율도 높은 반면 길가장자리구역 통행 중 보행자 사상자수 비율은 유형 2에 해당하는 농촌형이 가장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nonhierarchical K-mean cluster analysis is used to classify the types of 230 local governments and the Mann-Whitney U test and Kruskal-Wallis analysis are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accidents by region types. With empirical analysis of pedestrian accidents,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3) 등을 이용하고 있다. 물리적 보행환경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보행자 공간과 관련한 공학적인 보행환경의 구성요소와 계획방법, 그리고 적정 보행환경 설계를 위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중앙정부가 안전한 보행환경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지역의 보행자사고특성과 토지이용특성을 함께 반영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거시적으로 지역의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보행자사고의 세부특성에 기반한 보행환경 조성사업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그러나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보행관련 연구들은 물리적인 보행 시설물의 공학적인 기준이나 설계지침 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설계지침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행자 교통사고와 토지이용특성을 기반으로 지역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보행자사고의 세부특성을 분석한 다음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를 지원함에 있어 필요한 차별적인 보행환경 조성사업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때 지역은 행정시와 행정구를 제외한 230개 기초지방자치단체로 구분되며, 시·군·구별 보행자사고 특성과 토지이용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유형을 분류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행정구와 행정시를 제외한 230개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비계층적 K-평균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유형을 구분하고, 지자체 유형별 보행자사고 특성을 Mann-Whitney U검증 및 Kruskal-Wallis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한 다음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보행환경 조성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필요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때 지자체 유형은 지자체별 보행자 사상자수와 토지이용특성을 기반으로 구분하였다.
  • 국외의 보행연구동향을 살펴보면 보행은 가로(보도)의 물리적인 설계특성 뿐만 아니라 도시의 형태나 토지 이용특성 및 개인적, 사회적 특성 등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지만 현재 국내 보행연구들은 연구내용적으로 물리적인 보행환경의 특성이나 상관관계 분석에 집중하고 있다. 즉 보도를 비롯한 보행관련 시설물의 공학적인 기준이나 특성을 미시적으로 연구하거나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보행환경 설계와 관련된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는 몇 명인가?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물리적 기반시설의 급속한 양적 팽창으로 교통사고가 급증하여 1979년에 교통안전법을 제정하고 1980년대 이후부터 (구)국무조정실 주관으로 범정부적인 교통안전종합대책을 수립하여 교통안전과 관련된 시책을 꾸준히 추진해오고 있다. 2008년부터는 교통사고 사상자 절반 줄이기 프로젝트를 국정과제로 선정하여 교통안전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오고 있지만 여전히 도로 및 차량위주의 교통안전정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보니, 2012년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는 2,027명으로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37.6%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보행 중 13세 미만 어린이 사망률은 65.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생활공간 조성 및 생활서비스 제공, 그리고 안전, 건강, 웰빙 욕구가 충족될 수 있는 행복 인프라 공급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 도래한 이유는? 최근 저성장ㆍ저소비ㆍ고위험ㆍ고실업의 뉴노멀시대가 도래하여 하드웨어적인 양적팽창보다는 소프트파워적인 지역발전정책이 중시되고 있으며, 가계의 소득증대로 가치관도 점차 변화하여 삶의 질 증대와 환경, 문화, 행복, 만족도, 웰빙, 안전 등에 대한 키워드가 상당히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생활공간 조성 및 생활서비스 제공, 그리고 안전, 건강, 웰빙 욕구가 충족될 수 있는 행복 인프라 공급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 도래했다.
보행공간의 성격과 특성은 무엇에 따라 상이해지는가? 현행 보행법 하에서 추진되고 있는 관 주도의 보행관련 사업들은 주로 사업추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본계획이나 획일적인 설계지침을 내리고 지침에 따라서 일률적으로 사업을 실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보행공간의 성격과 특성은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에 따라서, 또는 역사도시와 신도시에 따라서, 또는 도시의 형태나 규모, 공간구조에 따라서 상이해진다. 따라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보행정책을 교통안전형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먼저 단기적으로는 현재 중앙정부가 보행법 하에서 추진 중인 보행환경 조성사업을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적 특성 및 사고특성을 반영하여 차별화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oarnet M. G., Greenwald M., McMilan T. E. (2008), Walking, Urban Design, and Health : Toward a Cost-Benefit Analysis Framework,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27(3), Association of Collegiate Schools of Planning, 341-358. 

  2. Cervero R. (1996), Mixed land-uses and commuting : Evidence from the American Housing Surve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0(5), 361-377. 

  3. Cervero R., Kockelman K. (1997), Travel demand and the 3Ds: Density, diversity, and desig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2(3), 199-219. 

  4. Cho J. B. (2007),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Pedestrian Environment in Small-Medium City, Urban Design, 8(2),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67-84. 

  5. Ewing R., Cervero R. (2010), Travel and the Built Environment,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6(3),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6(3), 265-294. 

  6. Frank L. D., Andresen M. A., Schmid T. L. (2004), Obesity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Design, Physical Activity, and Time Spent in Car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7(2), American College of Preventive Medicine and Association for Prevention Teaching and Research, 87-96. 

  7. Frank L. D., Sallis J. F., Conway T. L., Chapman J. E., Saelens B. E., Bachman W. (2006), Many Pathways from Land Use to Health:Associations between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Active Transportation, Body Mass Index, and Air Qu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2(1),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5-87. 

  8.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8), A Study on Satisfaction for Pedestrian Environment. 

  9. Handy S. (1996), Methodologies for Exploring the Link Between Urban Form and Travel Behavior,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2), 151-165. 

  10. Handy S. L., Boarnet M. G., Ewing R., Killingsworth R. E. (2002), How the Built Environment Affects Physical Activity : Views from Urban Planning,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1), American College of Preventive Medicine and Association for Prevention Teaching and Research, 64-73. 

  11. Hess P. M., Moudon A. V., Snyder M. C., Stanilov K. (1999), Site Design and Pedestrian Travel,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647, TRB, 9-19. 

  12.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2010), Study on Assessment Models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Level. 

  13. Jang S. Y., Jung H. Y., Woo S. S. (2010), A Exploratory Study on an Introduction of a Walking Safety Measure for Walking Right,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30(1),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7-25. 

  14. Jung C. H., Choi M. H. (2010), Analysis of Traffic Volume Using Space Syntax Model Supplemented by Accessibility Factor in Downtown Daegu,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5(5), Korea Planners Association, 129-140. 

  15. Kang N. H., Lee S. G. (2013),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User's Satisfac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in Commercial Street, Design Convergence Study, 12(1),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255-267. 

  16. Kim J. H., Jung C. M. (2012), A Study on the Guideline for the Walkable Street to Activate the Pedestrian Space,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28(9),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36. 

  17. Kim J. W., Kang S. Y., Kim K. T., Kang Y. K. (2012), A Study on Estimating the Benefits by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Using CVM, J. Korean Soc. Transp., 30(4),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7-19. 

  18. Kim T., Lee C., Park C., Jang M. (2013), An Analysis on the Recognition Difference about Pedestrians Environmental Planning Factors by Utilizing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6(1),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9-52. 

  19. Kim Y. O., Shin H. W.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Network According to Land Use Pattern, Urban Design, 8(3),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83-94. 

  20.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6), A Preliminary Study to Measure Walkability Indicators in Residential Neighborhoods. 

  21.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2013), A Study on the Policy of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s for Pedestrian Safety. 

  22. Lee C., Moudon A. V. (2006), The 3Ds + R : Quantifying Land Use and Urban form Correlates of Walk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1(3), 204-215. 

  23. Lee H. S., Ahn J. S., Chun S. H. (2011), Analysis of Environmental Correlates with Walking among Older Urban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2),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65-72. 

  24. Lee K. H., Ahn K. H. (2007), An Empirical Analysi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Affecting Residents' Walking,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24(6),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3-302. 

  25. Lee S. M., Hwang K. Y. (2009), Effect of Walking-Environment Factor on Pedestrian Safety, J. Korean Soc. Transp., 27(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07-114. 

  26. Lovasi G. S., Grady S., Rundle A. (2011), Preview Steps Forward :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on Walkability, Physical Activity and Cardiovascular Health, Public Health Reviews, 33(2), Presses de l'EHESP, 1-23. 

  27.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a), Demonstration Projects of Pedestrian-priority Zone. 

  28.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b), Survey and Development of Improvement Index on Pedestrian Transportation. 

  29. Moudon A. V., Lee C. (2003), Walking and Bicycling : An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udit Instrum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8(1), 21-37. 

  30. Park S. H., Choi Y. M., Seo H. L. (2008), Characteristic Differences of Pedestrian Environments in Residential Neighborhoods,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24(2),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15-226. 

  31. Park S. H., Choi Y. M., Seo H. L., Kim J. H. (2009), Percep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Neighborhood Walking: An Impact Study based on Four Residential Communities in Seoul, Korea,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25(8),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3-261. 

  32. Seo H. L., Park S. H. (2007), Characteristics of Walking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in an Old Residential Neighborhood,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23(8),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1-199. 

  33. Seoul Institute (2007), A Study of Implementation of Transportation Improvement Projects for Self-Governing Districts of Seoul with Emphasis on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34. Song Y., Knaap G. J. (2004), Measuring Urban Form : Is Portland Winning the War on Sprawl?,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0(2),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210-225. 

  35. Sung H. G. (2011), A Study on the Impacts of Residential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 on Personal Health Indicator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3), Korea Planners Association, 235-251. 

  36. Yim Y. H., Choi M. J. (2006), An Empirical Analysis of Underground Space Design Elements Affecting Pedestrian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Urban Design, 7(2),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47-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