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릉도 화산암류의 분화이력과 분출량에 따른 위험도 분석
Risk Analyses from Eruption History and Eruptive Volumes of the Volcanic Rocks in Ulleung Island, East S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9 no.3, 2016년, pp.181 - 191  

황상구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조인화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릉도의 화산활동 규모를 파악하고 화산재해를 평가하기 위해 분화이력과 마그마 분출량을 계산하였다. 최근 연대측정 자료에서 최후기에 분출한 말잔등응회암은 $^{14}C$ 연대측정에 따르면 약 19~5.6 ka B.P. 연대를 가지며, 알봉조면안산암은 K-Ar 연대측정에 의하면 0.005 Ma 연대를 나타낸다. 따라서 울릉도는 1만년 이내에 화산활동이 있었음을 보여주며 앞으로의 분화의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는 활화산에 속한다. 그리고 울릉도의 누적 최소 DRE-보정 마그마 분출량은, 총 $40.80km^3$로 계산된다. 특히 사태감응회암은 $3.71km^3$ 이상이며, 말잔등응회암은 울릉도에서만 $0.10km^3$이지만 일본 남서부까지 뻗친 말단부층을 고려한다면 $12.39km^3$의 큰 분출량을 가진다. 분출량을 토대로 추정되는 화성쇄설암의 화산폭발지수는 1~6 범위를 나타낸다. 특히 사태감응회암은 폭발지수가 5이고, 말잔등응회암은 울릉도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4이지만 일본에 분포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6으로 파국적인 상황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울릉도는 분화 가능성을 고려하는 적절한 연구가 필요하고 화산재해를 평가하고 대비하는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stimate the eruption history and magmatic eruptive volumes of each rock units to evaluate the volcanic eruption scale and volcanic hazard of the Ulleung Island. Especially, Maljandeung Tuff represents about 19~5.6 ka B.P. from $^{14}C$ dating, and Albong Trachyandesite, about 0.005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최초로 울릉도 화산의 분화이력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출량 계산에 따른 화산폭발지수(Newhall and Self, 1982)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위험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산을 활동성 유무로 분류하면?  화산은 과거에 활동성 유무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하였다. 활화산(active volcano)은 지금도 화산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 즉, 현재 수증기나 화산재를 뿜어 올리거나 용암이 흘러내리는 화산이고, 휴화산(dormantvolcano)은 역사시대에는 분화하였지만 현재 분화를 멈춘 화산, 즉 현재는 분화활동을 하지 않으나 다시 활동할 가능성이 있는 화산이며, 사화산(extinct volcano)은 화산 활동에 의하여 만들어진 화산이 분명하지만, 역사에서 그 활동의 증거를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앞으로도 활동이 완전히 끝난 화산으로 구분하였다.
울릉도의 지형상 특징은 무엇인가? 울릉도는 동해의 남서부에 있는 울릉분지의 북변부에 위치하는 화산도이며 해저에서 약 3,000 m 솟아있다. 이 화산도는 길이 12.2 km, 너비 8.0 km이고 면적72.9 km2이며, 해수면에서 983.6 m 높이로 솟아있다.
울릉도는 더 이상 화산재해에 대해 안전하지 않은 곳으로 인식해야 하는 이유는? 그래서 울릉도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지질학적이고 암석학적인 연구만을 수행하여왔으며, 분화이력, 분화유형이나 분화규모와 같은 연구와 화산재해에 대한 대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연대측정의 기술발달과 탄화목의 발견으로 인해 불과 수천 년 전의 화산활동에 대한증거가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울릉도는 더 이상 화산재해에 대해 안전하지 않은 곳으로 사화산으로 분류되어서는 안 되며, 화산재해 평가 및 대책을 세우기 위해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연구 수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rai, F., Oba, T., Kitazato, H., Horibe, Y. and Machida, H. (1981) Late Quaternary tephrochronology and paleooceanography of the sediments of the Japan Sea, The Quaternary Research, v.20, p.209-230. 

  2. Cas, R.A.F. and Wright, J.V. (1987) Volcanic Successions, Allen and Unwin, London, 528p. 

  3. Chun, J.H., Cheong, D.K., Han, S.J., Hug, S. and Yoo, H.S. (2006) Tephrography and paleoenvironmentals of marine core in the Kita-Yamato Trough, East Sea(Japan S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9, p.83-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Decker, R.W. and Decker, B. (1991) Mountains of fire: the nature of volcano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p. 

  5. Harumoto, A. (1970) Volcanic rocks and associated rocks of Utsuryoto island. Nippon Printing and Publishing Co., 39p. 

  6. Hwang, S.K., Hwang, J.H. and Kwon, C.W. (2012) Geological report of the Ulleung Shee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84p. 

  7. Hwang, S.K., Kim, Y.B. and Hwang, J.H. (2014) Rock series and petro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volcanic rocks in Ulleung Island.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0, p.61-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Im, J.H., Shim, S.H., Choo, C.O., Jang, Y.D. and Lee, J.S. (2012) Volcanological and paleo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charcols of the Nari Formation in Nari Caldera, Ulleung Island, Korea. Geosciences Journal, v.16, p.105-114. 

  9. Kereszturi, G., Nemeth, K., Cronin, S.J., Agustin-Flores, J., Smith, I. and Lindsay, J. (2013) A model for calculating eruptive volumes for monogenetic volcanoes Implication for the Quaternary Auckland Volcanic Field, New Zealand, Jou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v.266, p.16-33. 

  10. Kim, G.B., Cronin, S.J., Yoon, W.S. and Sohn, Y.K. (2014) Post 19 ka B.P. eruptive history of Ulleung Island, Korea, inferred from an intra-caldera pyroclastic sequence. Bulletin of Volcanology, v.76, p.802-828. 

  11. Kim, K. H., Tanaka, T., Nagao, K. and Jang, S. K. (1999) Nd and Sr isotopes and K-Ar ages of the Ulreungdo alkali volcanic rocks in the East Sea, South Korea, Geochemical Journal, v.33, p.317-341. 

  12. Kim, Y.K. (1985a) Petrology of Ulreung volcanic island, Korea-part 1, Geology. Journal of Japanese Association of Mineralogists, Petrologists and Economic Geologists, v.80, p.128-135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Y.K. (1985b) Petrology of Ulreung volcanic island, Korea-part 2, Petrography and bulk chemical composition. Journal of Japanese Association of Mineralogists, Petrologists and Economic Geologists, v.80, p.292-303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Y.K. (1986) Magmatic differentiation in the volcanic rocks from Ulreung Island, Korea. Journal of Japanese Association of Mineralogists, Petrologists and Economic Geologists, v.81, p.165-180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Y.K. and Lee, D.S. (1983) Petrology of alkali volcanic rocks in northern part of Ulrung Island.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v.16, p.319-3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Machida., H. and Arai, F. (1983) Extensive ash falls in and around the Sea of Japan large late Quaternary eruption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v.18, p.151-164. 

  17. Machida, H., Arai, F., Lee, B. S., Moriwaki, H. and Furuta, T. (1984) Late Quaternary tephras in Ulreungdo Island, Korea, Journal of Geography., v.93, p.1-14. 

  18. Min, K.D., Kim, O.J., Yun, S., Lee, D.S. and Kim, K.H. (1988) Applicability of plate tectonics to the post-Late Cretaceous igneous activity and mineralization in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II).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24, p.11-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Newhall, C.G. and Self, S. (1982) The Volcanic Explosivity Index (VEI): An estimate of explosive magnitude for historical volcanis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87, p.1231-1238. 

  20. Okuno, M., Shiihara, M., Torii, M., Nakamura, T., Kim, K.H., Domitsu, H., Moriwaki., H. and Oda, M. (2010) AMS radiocarbon dating of Holocene tephra layers on Ulleung Island, South Korea. Radiocarbon, v.52, p.1465-1470. 

  21. Park, M.-H., Kim, I.-S. and Shin, J.-B. (2003) Characteristics of the late Quaternary tephra layers in the East/Japan Sea and their new occurrences in western Ulleung Basin sediments. Marine Geology, v.202, p.135-142. 

  22. Song, Y.-S., Park, K.-H. and Park, M.-E. (1999) Major, rare-earth and trace geochemistry of Ulleungdo volcanic rocks.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8, p.57-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Song, Y.-S., Park, M.-E. and Park, K.-H. (2006) Ages and evolutions of the volcanic rocks from Ulleung-do and Dok-do.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5, p.72-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Won, J.K. and Lee, M.W. (1984) The volcanism and petrology of alkali volcanic rocks, Ulreung Island,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20, p.296-3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Xu, S., Uto, K. and Kim, Y. K. (1998) K-Ar dating of volcanic rocks from Ulreung Island, Korea, Geochemical Journal, v.32, p.117-1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