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릉도에서의 화산과정과 발생 가능한 분출유형의 평가
Evaluation of Volcanic Processes and Possible Eruption Types in Ulleung Island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3 no.6, 2020년, pp.715 - 727  

황상구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정성욱 (안동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류한영 (한국수자원공사) ,  손영우 (한국수자원공사) ,  권태호 (오현광물박물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릉도에서 화산층서는 도동현무암질암류, 울릉층군, 성인봉층군과 나리층군 등의 4개 층군으로 구분된다. 그 중에 화성쇄설암층은 도동현무암질암류에 협재하는 라필리응회암, 사동각력암 상부의 라필리응회암, 사태감응회암, 곰바위 용결응회암, 봉래분석층, 말잔등응회암, 나리분석층과 죽암분석층 등이 있다. 분출유형을 살펴보면 도동현무암질암류 내의 라필리응회암은 써쩨이언 분출에 의한 것이고 봉래분석층, 나리분석층과 죽암분석층은 소규모 스트롬볼리언 분출 혹은/및 저플리니언 분출에 의한 것이지만, 사태감응회암과 말잔등응회암은 대규모 플리니언 분출과 수증기플리니언 분출에 의한 것이다. 특히 말잔등응회암의 분출은 칼데라를 형성할 만큼 규모가 컸었으며, 한반도 동해안과 일본 열도까지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아직도 살아있을 잠재성 높은 마그마는 조면안산암질과 포놀라이트질로 판단된다. 조면안산암질 마그마가 폭발한다면 아마도 스트롬볼리언 분출로 발생하여 폭발강도가 상당히 낮겠지만, 포놀라이트질 마그마가 터진다면 플리니언 분출로 폭발강도는 훨씬 더 커질 것이다. 그 분출이 높은 폭발강도를 가진다면, 단열의 발생빈도도 커질 것이고 그에 따라서 지하수의 유입으로 인해 수증기플리니언 분출로 쉽게 전환될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대규모 분출은 한반도 동해안과 일본열도까지도 테프라를 확산시킬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canostratigraphy in Ulleung Island is divided into 4 stratigraphic groups: Dodong Basaltic Rocks, Ulleung Group, Seonginbong Group and NariGroup. The main pyroclastics in them includes lapilli tuff intercalated within the Dodong Basaltic Rocks, lapilli tuff at the top of Sadong Breccia, Sataegam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울릉도는 복잡한 화산층서를 이루지만 그 층서에 따라 각 층의 암상을 분석함으로 분출유형을 알아낼 수 있고 그 유형의 발생시기와 빈도를 고려하여 앞으로 발생할 잠재성 있는 분출유형을 예측하고자 한다.
  • 그리고 분출유형이 관측되었을 때 어떤 과정으로 전개될지 문제로 귀결된다. 이역시 과거의 화산분출 역사에 대한 자료와 복잡하게얽힌 화산암 내에 담겨진 기록들을 잘 이해하는 것이선결과제이다. 즉 과거의 분출 양상과 과정을 정밀하게 알아야만 미래의 분출 양상을 예측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가설 설정

  • Features of major outcrops in Dodong Basaltic Rocks, Ulleung Group and Seonginbong Group. (a) Hyaloclastite, and (b) pillow lava with some pillow clasts in the Dodong Basaltic Rocks; (c) Sadong Breccia, and (d) trachyte lava with basal breccia in the Ulleung Group; (e) Sataegam Tuff showing better bedding, (f) its pumice lapillistone part, (g) trachyte lava showing flow foliation, and (h) Gombawi Welded Tuff in the Seonginbong Grou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rai, F., Oba, T., Kitazato, H., Horibe, Y. and Machida, H. (1981) Late Quaternary tephrochronology and paleooceanography of the sediments of the Japan Sea, Quatern. Res., v.20, p.209-230. 

  2. Brenna, M., Price, R., Cronin, S.J., Smith, I.E.M., Sohn, Y.K., Kim, G.B. and Maas, R. (2014) Final magma storage depth modulation of explosivity and trachytephonolite genesis at an intraplate volcano: a case study from Ulleung Island, South Korea. J. Petrol., v.55, p.709-747. 

  3. Cas, R.A.F. and Wright, J.V. (1987) Volcanic Successions, Allen and Unwin, London, 528p. 

  4. Cashman, K.V., Sturtenvant, B., Papale, P., and Navon, O. (2000) Magmatic fragmentation. In: Sigurdsson, H. (ed.) Encyclopedia of volcanoes. Academic, San Diego, p.421-430. 

  5. Decker, R.W. and Decker, B. (1991) Mountains of fire: the nature of volcano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p. 

  6. Hwang, S.K., Ahn, Y.M., Jang, Y.D. and Kim, Y.B. (2011) Eruptive styles and processes of trachytic rocks in the southeastern Ulleung Island, East Sea, Korea. J. Geol. Soc. Korea, v.47, p.665-6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Hwang, S.K., Hwang, J.H. and Kwon, C.W. (2012) Geological report of the Ulleung Sheet. KIGAM, 84p. 

  8. Hwang, S.K., Jeong, S.W., Son, Y.W. and Kang, J.H. (2020a) Interpreting the geometry and multistage evolution of the Nari caldera, Ulleung Island, Korea. J. Geol. Soc. Korea, v.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wang, S.K. and Jo, I.H. (2016) Risk analyses from eruption history and reuptive volumes of the volcanic rocks in Ulleung Island, East Sea. Econ. Environm. Geol., v.49, p.181-1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Hwang, S.K., Kim, J.H, and Jang, Y. (2017) Volcanism and petrogenesis of Dodong Basaltic Rocks in the Ulleung Island, East Sea. J. Petrol. Soc. Korea, v.26, p.361-3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Hwang, S.K., Kim, Y.B. and Hwang, J.H. (2014) Rock series and petro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volcanic rocks in Ulleung Island. J. Geol. Soc. Korea, v.50, p.61-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Hwang, S.K., Lee, S.-J. and Han, K.H. (2018) Interpretation of volcanic eruption types from granulometry and component analyses of the Maljandeung Tuff, Korea. J. Geol Soc. Korea, v.54, p.513-5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Hwang, S.K., Lee, S.J. and Ahn, U.S. (2019) Magmatic evolutions from compositional variations with time in the Maljandeung Tuff, Ulleung Island, Korea. J. Petrol. Soc. Korea. v.28, p.111-128. 

  14. Hwang, S.K., Lee, S.-J. and Hwang, Y.-I. (2020b) The latest volcanism in Nari Caldera, Ulleung Island: Transition from explosive to effusive eruption. J. Geol Soc. Korea, v.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Im, J.H., Shim, S.H., Choo, C.O., Jang, Y.D. and Lee, J.S. (2012) Volcanological and paleo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charcols of the Nari Formation in Nari Caldera, Ulleung Island, Korea. Geosci. J., v.16, p.105-114. 

  16. Kim, G.B., Cronin, S.J., Yoon, W.S. and Sohn, Y.K. (2014) Post 19 ka B.P. eruptive history of Ulleung Island, Korea, inferred from an intra-caldera pyroclastic sequence. Bull. Volcanol., v.76, p.802-828. 

  17. Kim, K.H., Tanaka, T., Nagao, K. and Jang, S.K. (1999) Nd and Sr isotopes and K-Ar ages of the Ulreungdo alkali volcanic rocks in the East Sea, South Korea, Geochem. J., v.33, p.317-341. 

  18. Kokelaar, P. (1986) Magma-water interactions in subaqueous and emergent basaltic volcanism. Bull. Volcanol., v.48, p.275-289. 

  19. Le Bas, M.J., Lemaitre, R.W., Streckeisen, A. and Zanettin, B. (1986)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silica diagram. J. Ptrol., v.27, p.745-750. 

  20. Lee, C., Kim, K. and Yun, K. (2016) Numerical heatconduction modeling to understand the genesis of the observed geothermal gradient in Ulleung Island using experimentally determined thermal properties of the rocks.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6, p.266-2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Machida., H. and Arai, F. (1983) Extensive ash falls in and around the Sea of Japan large late Quaternary eruptions, J. Volcanol. Geotherm. Res., v.18, p.151-164. 

  22. McDonald, G.A. (1972) Volcanoe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510p. 

  23. Min, K.D., Kim, O.J., Yun, S., Lee, D.S. and Kim, K.H. (1988) Applicability of plate tectonics to the post-Late Cretaceous igneous activity and mineralization in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II). J. Geol. Soc. Korea, v.24, p.11-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Okuno, M., Shiihara, M., Torii, M., Nakamura, T., Kim, K.H., Domitsu, H., Moriwaki., H. and Oda, M. (2010) AMS radiocarbon dating of Holocene tephra layers on Ulleung Island, South Korea. Radiocarbon, v.52, p.1465-1470. 

  25. Ross, G.M. (1986) Eruptive style and construction of shallow marine mafic tuff cones in the Narakay Volcanic Complex (Proterozoic, Hornby Bay Group, Northwest Territories, Canada). J. Volcanol. Geotherm. Res., v.27, p.265-297. 

  26. Simute, S., Steptoe, H., Cobden, H., Gokhberg, A. and Fichtner, A. (2016) Full-waveform inversion of the Japanese Islands region. J. Geophys. Res.: Solid Earth, v.121, p.3722-3741. 

  27. Song, Y.-S., Park, M.-E. and Park, K.-H. (2006) Ages and evolutions of the volcanic rocks from Ulleung-do and Dok-do. J. Petrol. Soc. Korea, v.15, p.72-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Walker, G.P.L. (1973) Explosive volcanic eruptions - a new classification scheme. Geologische Rundschau, v.62, p.431-446. 

  29. Xu, S., Uto, K. and Kim, Y. K. (1998) K-Ar dating of volcanic rocks from Ulreung Island, Korea, Geochem. J., v.32, p.117-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