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릉도 죽암분석층에서 나온 화성쇄설물들의 조직과 분화유형
Eruption Types and Textures of Pyroclastics from the Jugam Scoria Deposits, Ulleung Island,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2 no.5, 2019년, pp.459 - 469  

황상구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안웅산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  이소진 (안동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오경식 (안동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릉도 북동부 죽암분석층에서 나온 조립 라필리의 밀도, 기공률과 미조직에 대한 정량적 및 정성적 평가를 하였다. 이들 라필리는 하부에서 61%와 상부에서 67%의 최빈기공률, 그리고 연결되지 않은 아원상 기공이 우세한 기공집단을 가진다. 최빈기공률의 쇄설물은 외연부에 평행한 누대를 가지는데, 이 외연부는 대기저에서 급랭된 것이며 미정 없는 적철유리대로서 "파쇄동시"의 마그마성 조직을 보존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이 적철유리 외연부는 내부로 가면서 점차 조립화되는 미정 및 기공 조직을 갖는 "파쇄후"의 흑철유리 내부로 점이된다. 그리고 탈기작용 시나리오는 마그마가 주로 닫힌계에서 탈기되었음을 증명해주는 파쇄동시 기공조직과 연결된다. 한편 대기와 접촉하는 조면안산암질 화성쇄설물의 확산적 냉각속도는 치솟는 분사에서 화성쇄설물의 운반과 분산에 관해 추론할 수 있는 파쇄후 기공 및 미정 조직과 연결된다. 이러한 조직 분석은 죽암 분화가 일반적인 대기저 분화유형 중에서 부분적으로 하와이식 분천을 닮은 스트롬볼리식 분화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sent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density, vesicularity and microtextures for coarse lapilli collected from the Jugam Scoria Deposits, northeastern Ulleung Island. Lapilli from the deposits have modal vesicularities of 61% in the lower part and 67% in the upper part, and vesicle populations d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 우리는 울릉도에서 산출되는 단성 화산 중에 칼데라 외부에서 발견되는 죽암분석층을 자세히 검토하고, 이 분석 층이 폭발 성 분화 동안 화도에서 일어난 변화에 중점을 둔다. 이 분화 작용은 폭발사건 직전에 화도 환경을 시험하고 폭발사건 동안 화도 역학을 유추하여 분화 유형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울릉도는 무엇인가? 울릉도는 동해 서부에 발달하는 울릉 분지의 북변부에 위치하며 약 2,200 m 깊이의 심 해저에서 해수면 위로 984.6 m까지 솟아있는 화산이다(Fig. 1a).
라필리의 종류로 무엇이 있는가? 라필리는 대개 적철유리로 이루어진 적갈색 S형 라필리(Fig. 2a, b), 흑철유리로 이루어진 암회색 T형 라필리(Fig. 2d. e) 와 적철유리와 흑철유리로 이루어진 암갈색 ST형 라필리가 있다(Fig. 2c). 화산탄은 외 연부가 적철유리이고 중심부가 흑철유리로 이루어져있다.
죽암분석층의 두께는 어느 정도인가? 석포조면암과 말잔등응회암 위에 놓이며 대체로 불규칙한 기존 지형을 덮고 있다. 두께는 근거리 부(proximal part)에서 최고 약 20 m 정도이다. 그리고 이 분석 층은 다른 암층에 의해 덮이지 않기 때문에 울릉 화산의 모든 암층들 중에서 가장 젊은 것으로 보았다(Hw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renna, M., Price, R., Cronin, S.J., Smith, I.E.M., Sohn, Y.K., Kim, G.B. and Maas, R. (2014) Final magma storage depth modulation of explosivity and trachyte/phonolite genesis at an intraplate volcano: a case study from Ulleung Island, Republic of Korea. J. Ptrol. Doi: 10.1093/petrology/egu004 

  2. Cashman, K.V. and Mangan, M.T. (1994) Physical aspects of magmatic degassing. II. Constraints on vesiculation processes from textural studies of eruptive products. In: Carroll, M.R., Holloway, J.R. (Eds.), Volatiles in Magmas. Rev. Mineral, v.30, p.447-478. 

  3. Couch, S., Sparks, R.J.S. and Carroll, M.R. (2003) The kinetics of degassing-induced crystallization at Soufriere Hills volcano, Montserrat. J. Petrol., v.44, p.1477-1502. 

  4. Fisher, R.V. and Schmincke, H.-U. (1984) Pyroclastic Rocks. Springer-Verlag, Berlin. 472 p. 

  5. Hammer, J.E. (2006) Influence of $fO_2$ and cooling rate on the kinetics and energetics of Fe-rich basalt crystallization. Earth Planet. Sci. Lett., v.248, p.618-637. 

  6. Hammer, J.E. and Rutherford, M.J. (2002)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kinetics of decompression-induced crystallization in silicic melt. J. Geophys. Res., v.107, B12021 

  7. Head, J. and Wilson, L. (1989) Basaltic pyroclastic eruptions: influence of gas-release patterns and volume fluxes on fountain structure, and the formation of cinder cones, spatter cones, rootless flows, lava ponds and lava flows. J. Volcanol. Geotherm. Res., v.37, p.261-271. 

  8. Herd, R.A. and Pinkerton, H. (1997) Bubble coalescence in basaltic lava: it's impact on the evolution of bubble populations. J. Volcanol. Geotherm. Res., v.75, p.137-157. 

  9. Heiken, G. (1978) Characteristics of tephra form cinder cone, Lassen Volcanic National Park, California. Bull. Volcanol., v.41, p.119-130 

  10. Houghton, B.F, and Hackett, W,R, (1984) Strombolian and phreatomagmatic deposits of Oakune Craters, Ruapehu, New Zealand: a complex interaction between external water and rising basaltic magma. J. Volcanol. Geotherm. Res., v.21, p.207-231. 

  11. Houghton, B.F. and Schmincke, H.U. (1989) Rothernberg scoria cone, East Eifel: a complex Strombolian and phreatomagmatic volcano. Bull. Volcanol., v.52, p.28-48. 

  12. Hwang, S.K., Hwang, J.H. and Kwon, C.W. (2012) Geological report of the Ulleungdo Shee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83p. 

  13. Johnson, E.R., Wallace, P.J., Cashman, K.V., Delgado, G.H. and Kent, A. (2008) Magmatic volatile contents and degassing-induced crystallization at Volcan Jorullo, Mexico: implications for melt evolution and the plumbing systems at monogenetic volcanoes. Earth Planet. Sci. Lett., v.269, p.478-487. 

  14. Keating, G.N., Valentine, G.A., Krier, D.J. and Perry, F.V. (2008) Shallow plumbing systems for small-volume basaltic volcanoes. Bull. Volcanol., v.70, p.563-582. 

  15. Lautze, N.C. and Houghton, B.F. (2005) Physical mingling of magma and complex eruption dynamics in the shallow conduit at Stromboli volcano, Italy. Geology, v.33, p.425-428. 

  16. Lautze, N.C. and Houghton, B.F. (2007) Linking variable explosion style and magma textures during 2002 at Stromboli volcano, Italy. Bull. Volcanol., v.69, p.445-460. 

  17. Lofgren, G. (1974) An experimental study of plagioclase crystal morphology: isothermal crystallization. Am. J. Sci., v.274, p.243-273. 

  18. McGetchin, T.M., Settle, M. and Chouet, B.A. (1974) Cinder cone growth modeled after Northeast Crater, Mount Etna, Sicily. J. Geophys. Res., v.79, p.3257-3272. 

  19. Muncill, G.E. and Lasaga, A.C. (1987) Crystal-growth kinetics of plagioclase in igneous systems: one-atmosphere experiments and application of a simplified growth model. Am. Mineral, v.72, p.299-311. 

  20. Namiki, A. and Manga, M. (2008) Transition between fragmentation and permeable outgassing of low viscosity magmas. J. Volcanol. Geotherm. Res., v.169, p.48-60. 

  21. Parfitt, E.A. (2004) A discussion of the mechanisms of explosive basaltic eruptions. J. Volcanol. Geotherm. Res., v.134, p.77-107. 

  22. Pioli, L., Erlunda, E., Johnson, E.R., Cashman, K.V., Wallace, P.J., Rosi, M. and Delgado, H. (2008) Explosive dynamics of violent Strombolian eruptions: the eruption of Paricutin Volcano 1943-1952 (Mexico). Earth Planet. Sci. Lett., v.271, p.359-368. 

  23. Polacci, M., Corsaro Rosa, A. and Andronico, D. (2006) Coupled textural and compositional characterization of basaltic scoria; insights into the transition from Strombolian to fire fountain activity at Mount Etna, Italy. Geology, v.34, p.201-204. 

  24. Polacci, M., Baker, D.R., Bai, L. and Mancini, L. (2008) Large vesicles record pathways of degassing at basaltic volcanoes. Bull. Volcanol., v.70, p.1023-1029. 

  25. Sable, J.E., Houghton, B.F., Del Carlo, P. and Coltelli, M. (2006) Changing conditions of magma ascent and fragmentation during the Etna 122 BC basaltic Plinian eruption: evidence from clast microtextures. J. Volcanol. Geotherm. Res., v.158, p.333-354. 

  26. Szramek, L., Gardner, J.E. and Larsen, J. (2006) Degassing and microlite crystallization of basaltic andesite magma erupting at Arenal Volcano, Costa Rica. J. Volcanol. Geotherm. Res., v.157, p.182-201. 

  27. Taddeucci, J., Pompilio, M. and Scarlato, P. (2004) Conduit processes during the July-August 2001 explosive activity of Mt. Etna (Italy); inferences from glass chemistry and crystal size distribution of ash particles. J. Volcanol. Geotherm. Res., v.137, p.33-54. 

  28. Valentine, G.A. and Gregg, T.K.P. (2008) Continental basaltic volcanoes-processes and problems. J. Volcanol. Geotherm. Res., v.177, p.857-873. 

  29. Valentine, G.A. and Krogh, K.E.C. (2006) Emplacement of small dikes and sills beneath a small basaltic volcanic center-the role of pre-existing structure (Paiute Ridge, southern Nevada, USA). Earth. Planet. Sci. Lett., v.246, p.217-230. 

  30. Valentine, G.A., Krier, D., Perry, F.V. and Heiken, G. (2005) Scoria cone construction mechanisms, Lathrop Wells volcano, southern Nevada, USA. Geology, v.33, p.629-632. 

  31. Valentine, G.A., Krier, D.J., Perry, F.V. and Heiken, G. (2007) Eruptive and geomorphic processes at the Lathrop Wells scoria cone volcano. J. Volcanol. Geotherm. Res., v.161, p.57-80. 

  32. Vergniolle, S. and Jaupart, C. (1986) Separated two-phase flow and basaltic eruptions. J. Geophys. Res., v.91, p.12842-12860. 

  33. Walker, G.P.L., 1973. Explosive volcanic eruptions: a new classification scheme. Geol. Rundsch., v.62, p.431-446. 

  34. Walker, D., Kirkpatrick, R.J., Longhi, J. and Hays, J.F. (1976) Crystallization history of lunar picritic basalt sample 12002: phase-equilibria and cooling-rate studies. Geol. Soc. Am. Bull., v.87, p.646-656. 

  35. Wilson, L. and Head, J.W. (1981) Ascent and emplacement of basaltic magma on the Earth and Moon. J. Geophys. Res., v.86, p.2971-3001. 

  36. Xu, Z. and Zhang, Y. (2002) Quench rates in air, water, and liquid nitrogen, and inference of temperature in volcanic eruption columns. Earth Planet. Sci. Lett., v.200, p.315-3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