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실행증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praxia on Activity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6, 2016년, pp.527 - 533  

신수정 (중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실행증이 일상생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뇌졸중 환자 38명이 참여하였으며 대상자들에게 Birmingham Cognitive Screen(BCoS) 실행증 검사와 일상생활동작 검사인 K-MBI 평가를 실시하였다. BCoS 실행증 검사의 cutoff score를 이용하여 환자들의 실행증 유무를 판별하고 실행증이 있는 환자들은 특징적인 유형으로 구별하여 일상생활수준을 ANOVA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행증 환자는 18명, 실행증이 없는 환자는 20으로 구분되었으며, 두 환자 군의 일상생활수준의 차이는 없었다(p>0.05). 그러나 실행증 환자군을 세부유형으로 분류하고 비교한 결과 개인위생, 식사하기, 용변처리, 계단오르기, 대변조절, 소변조절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4.431~9.193, p<0.05). 실행증은 일상생활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뇌졸중 환자를 관리하는 다 영역의 전문가들은 실행증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잠재적 일상생활의 문제를 고려한 정책 및 치료 프로그램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praxia affects activitys of daily living. 38 patients with stroke were participated and conducted to both Birminham Cognitive Screen(BCoS) apraxia test and K-MBI for ADL. Using a cutoff score of BCoS apraxia test, all patient was determine whether with 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증을 모델 근거한 평가를 사용하여 실행증 유무를 판별하고 이후 실행증 환자들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각 유형에 따른 일상생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실행 모델에 근거한 실행증 평가를 사용하여 실행증 환자를 판별하고 실행증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모든 과제에서 실패한 그룹에 비하여 양호한 부분이 있는 유형은 상대적으로 실행증이 경미하며, 일상생활환경에서 과제 수행 시 주어지는 다양한 자극들을 단서로 양호한 경로에 사용하여 동작이 가능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기본적 일상생활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보다 복잡한 일상생활동작은 경증의 실행증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행증이란? 뇌졸중은 뇌혈류 이상에 의해 유발되는 신경학적 장애로[1] 실행증, 실어증, 편측무시 등과 같은 증상들이 흔하게 동반된다. 그 중 실행증은 운동 또는 감각 시스템의 손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수행하던 능숙한 동작에 어려움을 갖는 증상을 말한다[2]. 이는 우세 대뇌반구의 손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왼쪽 뇌손상 뇌졸중 환자에게서 28~37%의 유병률이 보고되고 있다[3].
실행증이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그 중 실행증은 운동 또는 감각 시스템의 손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수행하던 능숙한 동작에 어려움을 갖는 증상을 말한다[2]. 이는 우세 대뇌반구의 손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왼쪽 뇌손상 뇌졸중 환자에게서 28~37%의 유병률이 보고되고 있다[3].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뇌혈류 이상에 의해 유발되는 신경학적 장애로[1] 실행증, 실어증, 편측무시 등과 같은 증상들이 흔하게 동반된다. 그 중 실행증은 운동 또는 감각 시스템의 손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수행하던 능숙한 동작에 어려움을 갖는 증상을 말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ang-Gyun, Roh, Jee-Hee, Kim, "Acute cerebrovascular acciden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3, No. 4, pp. 23-28, 2012. 

  2. L. J. G. Rothi, C. Ochipa, K. M. Heilman, "A cognitive neuropsychological model of limb praxis and apraxia. In: L. J. G. Rothi, K. M. Heilman, eds. Apraxia: the neuropsychology of action. Hove: Psychology Press", 1997. 

  3. M. Donkervoort, J. Dekker, E. van der Ende, "Prevalence of apraxia among patients with a first left hemisphere stroke in rehabilitation centres and nursing homes", Clinical Rehabilitation, Vol. 14, pp.130-136, 2000. 

  4. L. A. Wheaton, M. Hallett, "Ideomotor apraxia: a review",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Vol. 260, pp.1-10, 2007. 

  5. E. A. Roy, "Hand preference, manual asymmetries, and limb apraxia, In D. Elliot, ed, Manual asymmetries in motor control, Boca Roton, FL: CRC press", 1996. 

  6. W. L. Bickerton, M. J. Riddoch, D. Samson, A. B. Balani, B. Mistry, G. W. Humphreys, "Systematic assessment of apraxia and functional predictions from the Birmingham Cognitive Screen",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Vol. 83, No. 5, pp.513-521, 2012. 

  7. K. Sundet, A. Finset, I. Reinvag, "Neuropsychological pre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Vol. 10, pp.363-379, 1988. 

  8. A. L. Foundas, B. L. Macauley, A. M. Raymer, L. M. Maher, K. M. Heilman, L. J. G. Rothi, "Ecological implications of limb apraxia: evidence from mealtime behavior",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Vol. 1, pp.62-66, 1995. 

  9. C. M. Walker, A. S. Sunderland, M. F. Walker, "The impact of cognitive impairment on upper body dressing difficulties after stroke: A video analysis of patterns of recovery",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Vol. 75, pp.43-48, 2004. 

  10. J. A. Butler, "How comparable are tests of apraxia?" Clinical Rehabilitation, Vol. 16, pp.389-398, 2002. 

  11. A. Dovern, G. R. Fink, P. H. Weiss, "Diagnosis and treatment of upper limb apraxia", Journal of Neurology, Vol. 259, pp.1269-1283, 2012. 

  12. Su-Jung, Shi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Birmingham cognitive screen apraxia test,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15. 

  13. Han-Yong, Jung, Byung-Kyu, Park, Hee-Suk, Shin, Yoon-Kyoo, Kang, Sung-Bom, Pyun, Nam-Jong, Park, See-Hyun, Kim, Tae-Hyun, Kim, Tai-Ryoon, Han,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31, No. 3, pp.283-288, 2007. 

  14. A. A. Atteya, E. Fahmy, H. Helmy, "Ideomotor apraxia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Egypt Journal of Neurology, Psychiatry, and Neurosurgery, Vol. 51, No. 1, pp.69-77, 2014. 

  15. B. Hanna-Pladdy, K. M. Heilman, A. L. Foundas, "Ecological implications of ideomotor apraxia: evidence from physic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Neurology, Vol. 11, pp.487-490, 2003. 

  16. B. Baum, K. M. Hall,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al praxis and dressing in the head injured adul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35, No. 7, pp.438-442, 1981. 

  17. G. Goldenberg, M. Daumuller, S. Hagmann, "Assessment and therapy of complex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apraxia",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Vol. 11, No. 2, pp.147-169,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