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하는 요인: 이차 자료분석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Depression: Secondary Data Analysi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3, 2016년, pp.288 - 301  

김철규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최미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multiple contextual factors in 1,519 mothers in Korea who participated in the 2009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Methods: The second wave data which was a comprehensive longitudinal data set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유아 어머니의 우울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연구(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의 2차년도(2009년) 자료를 활용한 이차자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연구대상자의 대표성이 높으며,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우울에 대한 탐색이 심리사회적 특성 등 일부 특성에 대해 이루어져왔다는 한계를 극복하고 배우자의 특성, 영유아의 특성, 가족의 경제 상태를 포함한 영유아의 어머니의 상황맥락적 요인을 고려하여 통합적 차원에서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는 선정된 독립변수간의 영향과 산전 요인에 대한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이 제한점이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조사 2차년도(2009년) 자료를 활용하여 11~18개월의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 실태를 파악하고, 영유아 어머니의 개인 심리적 특성, 아버지 특성, 영유아 특성 및 가족의 경제 상태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영유아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우울 예방 및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종속변수인 영유아 어머니의 우울 평균 점수는 11.
  • 이에 본 연구는 전국 표본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머니 특성, 아버지 특성, 영유아 특성, 가족의 경제상태에 따른 영유아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영유아 어머니의 우울 수준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배경변인이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여 영유아 어머니 우울 예방과 정신 ․ 신체적 건강 및 삶의 질 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간호학적 중재 방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및 우울 관련 특성들과 우울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 어머니의 우울은 본인의 결혼만족도,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양육스타일, 양육지식, 자녀가치, 남편의 양육참여, 배우자의 결혼만족도, 자녀가치, 영유아의 K-ASQ 중 근육운동점수, 개인-사회성 점수, 월평균 가구 종합소득 간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우울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우울과 관련된 변인을 확인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산후 4~6주 사이에 발생하는 산후 우울과 구분하여 지금까지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영유아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에 영향하는 요인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전국 표본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머니 특성, 아버지 특성, 영유아 특성, 가족의 경제상태에 따른 영유아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영유아 어머니의 우울 수준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배경변인이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여 영유아 어머니 우울 예방과 정신 ․ 신체적 건강 및 삶의 질 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간호학적 중재 방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우울에 대한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3%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나[3] 여성의 우울에 대한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대한 정신보건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어머니로 전환되는 발달기적 위기 상황에서의 우울은 어머니 자신의 건강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영유아의 건강, 성장과 발달 지연 및 정서행동문제,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청소년의 정신과적 문제에 대한 중요한 위험인자가 된다는 사실이 일관되게 보고되었다. 즉 어머니의 우울은 만성적인 경과를 겪게 되며, 이로 인해 어머니의 역할과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 아동의 건강과 발달, 가족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4-8]. 따라서 남성보다 우울 위험이 높은 여성이면서, 아동의 발달 및 건강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우울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우울은 어떠한 정신질환인가? 우울은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높은 질환으로 공중 보건의 주요 관심사이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우울은 장애의 주요 원인이며 만성적인 경과를 밟기 때문에 환자와 가족은 물론 국가 사회적으로 많은 부담을 초래하는 주요 정신질환으로 제시하고 있다[1,2]. 우울에 이환될 위험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정도 높으며[2], 한국의 경우에도 여성의 우울 평생 유병률이 9.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높은 질환으로 공중 보건의 주요 관심사는 무엇인가? 우울은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높은 질환으로 공중 보건의 주요 관심사이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우울은 장애의 주요 원인이며 만성적인 경과를 밟기 때문에 환자와 가족은 물론 국가 사회적으로 많은 부담을 초래하는 주요 정신질환으로 제시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World Health Organization. Fact sheet on depression. [Internet]. Geneva, CH: Author; 2012 [cited 2015 August 25].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69/en/ 

  2. Kessler RC, Bromet EJ. The epidemiology of depression across cultures.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013;34:119-38. http://dx.doi.org/10.1146/annurev-publhealth-031912-114409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2011 Epidemiology of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2011:1-439. 

  4. Goodman SH, Rouse MH, Connell AM, Broth MR, Hall CM, Heyward D.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psychopathology: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2011;14(1):1-27. http://dx.doi.org/10.1007/s10567-010-0080-1 

  5. Surkan PJ, Kennedy CE, Hurley KM, Black MM. Maternal depression and early childhood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ull World Health Organ. 2011;89(8):607-15. http://dx.doi.org/10.2471/blt.11.088187 

  6. Letourneau NL, Tramonte L, Willms JD. Maternal depression, family functioning and children's longitudinal development.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3;28(3):223-34. http://dx.doi.org/10.1016/j.pedn.2012.07.014 

  7. Gaillard A, Le Strat Y, Mandelbrot L, Keita H, Dubertret C.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prospective study of 264 women followed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Psychiatry Research. 2014;215(2):341-6. http://dx.doi.org/10.1016/j.psychres.2013.10.003 

  8. Halbreich U, Karkun S. Cross-cultural and social diversity of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6 4;91(2-3):97-111. http://dx.doi.org/10.1016/j.jad.2005.12.051 

  9. Klainin P, Arthur DG. Postpartum depression in Asian culture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10):1355-73.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9.02.012 

  10. Mamun AA, Clavarino AM, Najman JM, Williams GM, O'Callaghan MJ, Bor W. Maternal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 a 14-year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women's Health. 2009;18(12):2023-31. 

  11. Beck CT.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an update. Nursing Research. 2001;50(5):275-85. http://dx.doi.org/10.1097/00006199-200109000-00004 

  12. Saligheh M, Rooney RM, McNamara B, Kane RT.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natal depression, sociodemographic factors, levels of partner support, and levels of physical activity. Frontiers in Psychology. 2014. p. 5. http://dx.doi.org/10.3389/fpsyg.2014.00597 

  13. Leahy Warren P, McCarthy G, Corcoran P. First time mothers: social support, maternal parental self efficacy and postnatal depress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2;21(3-4):388-97.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1.03701.x 

  14. McGrath M, Lyng C, Hourican S. From the simulation lab to the sard: preparing 4th year nursing students for the role of staff nurse.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012;8(7):e265-72. http://dx.doi.org/10.1016/j.ecns.2010.10.003 

  15.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09 Korean Children Panel Study Tools Profile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1 [cited 2015 August 25]. Available from: http://panel.kicce.re.kr/kor/publication/01_02.jsp?modeview&idx7135&startPage20&listNo2&codepaneltoolsprofiles&search_item&search_order&order_list10&list_scale10&view_level0 

  16. Kessler RC, Andrews G, Colpe LJ, Hiripi E, Mroczek DK, Normand S, et al.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2002;32(06):959-76. http://dx.doi.org/10.1017/s0033291702006074 

  17. Kessler RC, Galea S, Jones RT, Parker HA. Mental illness and suicidality after Hurricane Katrina. Bull World Health Organ. 2006;84(12):930-9. http://dx.doi.org/10.2471/blt.06.033011 

  18. Chun H, Ok K.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nges in postpartum depression and child-rearing system variables in Korean mothe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11;29(6):153-67. http://dx.doi.org/10.7466/jkhma.2011.29.6.153 

  19. Bang K. Infants' temperament and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4):444-50. http://dx.doi.org/10.4040/jkan.2011.41.4.444 

  20. Choi IA, Lee KS, Shin YJ, Park JA. Mental health of mothers and their infant depending on degree of mothers' pre- and post-natal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12;25(3):125-48. 

  21. Youn JH, Jeong IS.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2):225-35. http://dx.doi.org/10.4040/jkan.2013.43.2.225 

  22. Song JE. Influencing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between 4 to 6 weeks after childbirth in the postpartum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3):216-23.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3.216 

  23. Park C, Lee J.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depression of korean adult male and female.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1;29(6);99-128. 

  24. Chu JE, Lee H, Yoon CH, Cho HI, Hwang JY, Park YJ.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ed mood and life style patterns in Koreans aged 40 yea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14;43(5):772-83. 

  25. Delgado PL. Depression: the case for a monoamine deficiency.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00;61(Suppl 6):7-11. 

  26. Kang HK. Variable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new mothers.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2012;72(1):131-47. 

  27. Yamamoto N, Abe Y, Arima K, Nishimura T, Akahoshi E, Oishi K, Aoyagi K. Mental health problems and influencing factors in Japanese women 4 months after delivery. Journal of Physiological Anthropology. 2014;33:32. http://dx.doi.org/10.1186/1880-6805-33-32 

  28. Akincigil A, Munch S, Niemczyk KC. Predictors of maternal depression in the first year postpartum: marital status and mediating role of relationship quality. Social Work in Health Care. 2010;49(3):227-44. http://dx.doi.org/10.1080/009813809032130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