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remaining functional teeth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GOHAI) in the elderly.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37 female elderly in Daegu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기능 치아의 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구강검사를 통하여 기능 치아의 수를 조사하였고, GOHAI를 이용하여 노인들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평가하여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노인들의 구강건강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구강보건사업 및 노인구강 보건교육 자료에 기초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노인여가복지시설로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 우리나라 노인여가복지시설로는 노인복지관, 노인교실, 경로당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경로당은 가정에서 방문하기에 비교적 접근성이 좋아 많이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노인여가시설이다[13]. Lee 등[14]의 연구에서는 경로당이용률을 성별로 살펴보았는데 여성이 63%로 남성 보다 높게 나타났고, 평균이용 연령은 79.
노인 인구의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게된 배경은? 사회, 경제적 성장과 새로운 의료 기술의 개발은 인간의 평균 수명을 연장시켰고, 이에 따라 노인 인구의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1]. 우리나라의 경우만 보더라도 최근 들어 급격하게 늘어나는 노인 요양병원 및 시설들이 이를 대변해 주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여러 가지 노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들의 현존하고 있는 기능 치아 수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즉, 구강건강평가 지수(GOHAI)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1. 연령, 틀니의 사용, 주관적인 저작정도, 잔존 치아의수와 GOHAI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기능 치아의 수가 많을수록 삶의 질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인 저작정도와 객관적인 저작정도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기능 치아 수가 적을수록 삶의 질이 좋지 않을 위험비가 2.1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5). 또 나이, 거주형태, 교육수준을 보정한 결과 위험비는 1.9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won YO, Choi MS, Lee JH, Yun HK.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geriatric denture-related characteristics, denture satisfaction, and GOHAI. J of Digital Convergence 2010; 12(4): 399-407. http://dx.doi.org/10.14400/JDC.2014.12.4.399. 

  2. Park NG, Ko YG. Comparison of oral health related living quality of the elder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ones capable of living at homes. J Kor Aca Den Tech 2012; 34(3): 273-81. 

  3. Hur IK, Lee TY, Dong JK, Hong SH. The effects of dental prostheses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0; 48(2): 101-10. http://dx.doi.org/10.4047/jkap.2010.48.2.101. 

  4. WHO. The World Oral Health Report 2003. Continuous improvement of oral health in the 21st century: the approach of the WHO global oral health programme (WHO/NMH/NPH/ORH/03.2). Geneva: WHO 2003: 1-38.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214-20. 

  6. Park JH, Kwon HK, Kim BI, Choi CH, Choi YH. A survey on the oral health condition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resident in free asylum. J Korean Acad Oral health 2002; 26(4): 555-66. 

  7. Tada A, Watanabe T, Yokoe H, Hanada N, Tanzawa H.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physical activity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2003; 37(2): 109-17. 

  8. Atchison KA, Dolan TA. Development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J Dent Educ 1990; 54(11): 680-7. 

  9. Shin SJ, Jung SH. A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in elderly populations: validity and reliability.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1; 35(2): 187-95. 

  10. Rodakowska E, Mierzynska K, Baginska J, Jamiolkowski J. Quality of life measured by OHIP-14 and GOHAI in elderly people from Bialystok, north-east Poland. BMC Oral Health 2014; 14: 1-8. http://dx.doi.org/10.1186/1472-6831-14-106. 

  11. Cho MJ, Park DO, Song KB. Influence of denture wearing on a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in the elderly. J Korean Soc Dent Hyg 2016; 16(2): 295-301. 

  12. Cho MJ, Jung EK, Lee SS, Choi YH, Song KB.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senile dementia: A pilot study.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5; 39(3): 214-9. 

  13. Lee YK. Policy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welfare leisure center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3; 198: 56-66. 

  14. Lee JY, Kim EC, Sohn TJ. A study on improving plan and using condition for age hall as leisure facilities in Chung-Ju. J of Architect Institute Korea 2005; 1(1): 105-10. 

  15. Lee MS, Shin SJ, Jung SH.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OHRQoL) and socio-economic position in the elderly in rural area of Gangwon province. J Korean Soc Dent Hyg 2011; 11(5): 707-15. 

  16. Lee EG.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life of adults and elderly.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5): 1029-38. 

  17. Jain R, Dupare R, Chitguppi R, Basavaraj P. Assessmen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Hindi version of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GOHAI) in Indian population. Indian J Public Health 2015; 59(4): 272-8. 

  18. Dradkeh S, Khader YS.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arabic version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GOHAI). J Oral Sci 2008; 50(4): 453-9. 

  19. Lee KY, Cho YS, Lim S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under visiting health care. J Dent Hyg Sci 2015; 15(3): 325-32. http://dx.doi.org/10.17135/jdhs.2015.15.3.325. 

  20. Park JU, Park MH. Ability for chewing a social activity and connection with the life function of a senior citizen. J Kor Aca Den Tech 2007; 29(2): 87-103. 

  21. Kim JY. Impact of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on oral health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2013; 15(3): 169-80. 

  22. Shin SJ, Chung WG, Ahn YS, Ma DS, Park DY, Jung SH.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oral-relate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1; 35(3): 297-3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