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국 정원문화의 대중화 전개 양상에 대한 연구 - 19세기 왕립원예협회(RHS)의 활동을 중심으로 -
The Study about Popularization of Gardening and Its Development Process in the UK - Focused on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in the 19th Centur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3, 2016년, pp.47 - 55  

조혜령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영국은 정원의 역사와 문화가 대표되는 국가로서, 크고 작은 비영리 단체 및 자선단체들이 활동을 하고 있다. 이 중 RHS는 영국의 정원문화 및 산업의 저변확대에 큰 영향을 준 핵심단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RHS의 등장 배경과 전개 과정을 통해 전문 자선단체로서의 정원문화 대중화에 기여한 전개 양상과 그 가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9세기 빅토리안 시대의 식물 수집에 대한 열정은 협회 창립의 배경이 되었으며, 영국의 시민정원문화와 관련이 깊다. 19세기 RHS의 전개양상과 정원문화 대중화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19세기 식물사냥꾼들의 해외 파견을 통한 이국적 식물의 전문적인 도입은 수집과 표본작업, 기록 등을 통해 전문적인 식물연구를 지원하는 단체로 발전되었으며, 이는 영국 내 원예기술의 발달, 묘목업의 성장 등의 결과로서 정원문화가 대중화되기 위한 기반 틀을 마련하였다. 둘째, 원예 및 가드닝의 전문서적의 출간은 로우든의 협회 가입 시점으로부터 실천적인 정보와 내용들이 편집됨으로써 대중적(특히, 여성과 중산계층) 독자 폭을 넓힐 수 있었다. 그리하여 생산 활동에 소외되어 있던 여성들의 가정적 원예활동은 새로운 정원 양식을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 셋째, 식물수집 전시를 통해 회원들과 소통하고자 했던 협회의 활동이 여러 형태의 축제로 변형되어 이어져 오다 지금의 첼시플라워쇼를 탄생시켰다. 첼시플라워쇼는 현재까지 세계 정원문화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영국 정원문화의 아이콘이다. 넷째, 이러한 RHS의 활동의 과정과 19세기 영국의 근대성은 독특한 영국만의 대중적 정원양식을 이끌어 냈으며, 이는 매우 실천적인 정원술을 요하는 영국 중산층 가정 정원의 형태로서 대중적이면서도 영국적인 성격을 갖는다. 이러한 RHS의 역사와 활동들은 결국 정원의 나라로서의 국가적 위상과도 연결되며, 우리에게 시민 중심의 정원문화 정착을 위해 지향해야할 가치 및 실천방안의 단서를 제시해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HS is a core organization with huge influences on the expansion of the base for the garden culture and industr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professional charity's role through the appearance background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RHS. The passion for plant collec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9세기에 만들어진 RHS라는 영국의 한 자선단체의 발생과 활동들을 당시 통합적인 사회적 배경과 견주어 고찰해 봄으로써 정원문화의 대중화가 어떻게 구축되어져 왔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 이렇듯 최근 정원문화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지만,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므로, 본 연구는 왕립원예협회의 초기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시대적 전개과정과 함께 고찰해 봄으로써 전문 자선단체가 정원문화 대중화에 끼쳤던 역량을 고찰해 보고, 우리의 정원문화 대중화를 위한 실천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을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의 특징은? 문화는 어느 하나가 도드라지게 부각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정치, 경제 및 문학, 미술, 철학 등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정원의 본질을 파악하는 과정은 정원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동시대 사람들의 문화적 이해와 가치가 반영되어야 하는 복합적 구성체이며(Francis and Hester, 1990), 특히 정원의 양식은 당대 사회적 맥락과 문화를 반영하기 때문에(Hunt, 2012), 본 연구에서는 영국 정원문화의 대중화 양상을 빅토리아 시기의 근대성과 대중문화의 맥락을 같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 정원문화의 대중화 양상을 빅토리아 시기의 근대성과 대중문화의 맥락을 같이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본 이유는? 문화는 어느 하나가 도드라지게 부각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정치, 경제 및 문학, 미술, 철학 등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정원의 본질을 파악하는 과정은 정원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동시대 사람들의 문화적 이해와 가치가 반영되어야 하는 복합적 구성체이며(Francis and Hester, 1990), 특히 정원의 양식은 당대 사회적 맥락과 문화를 반영하기 때문에(Hunt, 2012), 본 연구에서는 영국 정원문화의 대중화 양상을 빅토리아 시기의 근대성과 대중문화의 맥락을 같이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식물 채집에 의해 영국으로 들어온 이국적인 식물들은 상품가치가 있는 것들이어야만 했던 이유는? 18세기 이전까지는 열성적인 아마추어들에 의해 이국적인 식물들이 도입되기 시작하였으나,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전문적인 식물학자들이 묘목회사로부터 훈련을 받아 해외로 나가기 시작했다. 식물은 곧 돈을 벌어 주는(Money-spinners) 것이었고(Owen, 2004: 14), 이것은 대영제국의 중대한 부분이었다. 따라서 구체적인 식물 채집에 의해 영국으로 들어온 이국적인 식물들은 상품가치가 있는 것들이어야만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nson, W.(2012) Kingdom of Plants: A Journey through Their Evolution, Harper Collins Publisher Ltd, 37-43. 

  2. Campbell, K.(2014) British Gardens in Time, Frances Lincoln Limited. pp. 92-153. 

  3. Davidoff, L and C. Hall(2002) Family Fortunes: Men and Women of the English Middle Calss, 1780-1850, 2nd edn, London: Routledge. 

  4. Dewis, S.(2014) The Loudons and the Gardening Press. Ashgate Publishing Limited. 

  5. Edinburgh Review(2000) The Transactions of the Horticultural Society of London. Vol 1, 2 & 3, Bell & Howell Information and Learning Company. 

  6. Elliot, B.(2014) RHS Chelsea Flower Show: The First 100 years, 1913-2013. London: Frances Lincoln. 

  7. Elliott, B.(1994) Treasure of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The Herbert Press Ltd. 

  8. Endersby, J.(2008) Imperial Natur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Engels, F.(1988)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Class in England, Park J. S., Jeon B. Y., Cho H. R., Translated. Seoul: Doseochulpan DooRey. 

  10. Fox, K.(2010) Watching the English. Translated by Kwon, S. H., Seoul: Hakgojei. 

  11. Francis, Mark and Jr. Randolf T. Hester(1990) The Garden as Idea, Place and Action. The Meaning of Gardens. Mass: The MIT Press. 

  12. Goodman, G. and C. Mathieson Edited(2014) Gender and Space in Rural Britain, 1840-1920. London: Pickering & Chatto Limited. 

  13. Gothein, J. W.(1928) A History of Garden Art vol. 2. Translated by Archer Hind. London: J. M. Dent & Sons Limited. 

  14. Harrison, L.(2012) Latin for Garner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 Helmreish, A.(2002) The English Garden and National Identity: The Competing Style of Garden Design, 1870-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Hobhouse, P. translated by J. H. Choi, S. J. Yoon and J. H. Ko(2015) Garden History of Western. Seoul: Deaga, pp.414-442. 

  17. Hobhouse, P.(2004) Plants in Garden History, Pavilion Books. pp.222-255. 

  18. Hunt, J. D.(2012) World of Gardens. London: Reaktion Books Ltd. 

  19. Hwang, J. Y.(2014) Urban Parks as Modern Invention of London and Paris in Nineteen Century.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 Kim, M. H.(1998) Commercialization and Religious Materialism in 19th Centur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1. Lasdun, S.(1991) The English Park. London: Andre Doutsch. 

  22. Lee, N. R.(2015) Study on the Change of Rural Home Garden and Residents' Cognitions in the Urban Contex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Korea. 

  23. McDowell, L.(1983)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Gender Division of Urban Spaces,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24. Owen, J.(2004) Gardens through Time: Celebrate 200 Years of Gardening with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BBC Books. 

  25. Quest-Ritson, C.(2003) The English Garden. Boston: David R. Godine. 

  26. RHS Catalog(2015) The RHS Plant Hunter Journals. 

  27. Ryu, Y. J. and D. G. Cho(2015) A study on comparing traditional garden and modern garden for developing garden culture of Korea.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0(5): 113-124. 

  28. Sim, J. Y.(2015) Examination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n urban residential area, Heabangchon.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2): 1-12. 

  29. Yoon, S. J.(2008) Flower Show and Garden Culture in UK. Paju: Tree City. 

  30. Yoon, S. J.(2014) Support and management trend for garden culture: Focused on GHS, RHS, NT in UK. 2nd Studies of Garden Symposiu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